•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谿谷 張維의 記文 硏究 (A study on Gegog, Jang Yu’s Ki writing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07.12
36P 미리보기
谿谷 張維의 記文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27호 / 299 ~ 334페이지
    · 저자명 : 조정윤

    초록

    본고는 谿谷 張維(1587~1638)의 記文 전체를 개관하고 주요 작품들에 대한 분석을 진행해 봄으로써, 장유 산문의 구체적 양상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모두 19편인 그의 기문은 私堂 또는 公廨를 대상으로 창작한 樓亭記가 주를 이루는 한편, 산수자연을 유람하고 그 행로의 견문과 감상을 기록한 山水遊記는 전혀 없다. 창작시기상 비교적 이른 시기에 해당하는 안산 寓居 시절의 작품들은 대부분 私堂을 대상으로 한 작품들로, 堂號의 의미 풀이를 주요 내용으로 삼고 있는데, 이때 당시 서인계로서 작자와 堂主가 처했던 상호 불우한 처지에 대한 同質意識이나 憐憫・慰勞의 감정들이 함께 표현된다. 그런가 하면 인조반정 이후 환로기에 지어진 기문 중에는 公廨를 대상으로 한 작품들도 다수 차지하는데, 이들 작품들은 애민의식을 바탕으로 한 政事에서의 교화적 내용을 기술하고 있어 위정자로써의 면모를 살필 수 있게 한다.
    장유 기문의 두드러진 특징은 일반적 기문의 양식적 특성인 ‘記事’보다는, 堂號의 의미 풀이와 관련해서 儒家的 이치 혹은 가치를 추구하거나 자신의 다양한 철학적 사유를 입론하는 방식의 ‘議論’에 치중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蜃樓記>의 경우 『莊子』를 연원으로 하는 寓言 및 『孟子』 ・『戰國策』과 같은 先秦散文에서 나타나는 論爭的 問答 형식을 활용하여 虛幻과 實在의 문제, 즉 시・공간의 무한성에 대한 인간과 만물의 유한성에 대한 문제를 상대주의적 사유에 입각하여 의론화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神明舍記>는 寓言적 방식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心’과 ‘明德’의 이치를 보다 이해하기 쉽게 풀어내고 있는 작품이다. 이 밖에 私堂을 대상으로 하여 堂號의 의미에 관한 의론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다수의 기문들은 堂과 堂號, 堂號와 堂主간에 名實相符함을 밝히는데 역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堂號에 대한 의론과 堂主에 대한 서술부분이 서로 조응하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 또한 이들 작품에서 堂號 및 堂主와 관련해서 빈번하게 강조하고 있는 주제는 바로 君子의 修養과 같은 儒家的 道임이 확인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was focused on aspects of discussion and characteristics of Ki writings that Gegog, Jang Yu (1587~1638), who was one of Hanmoonsadaegas in the middle of Chosun, wrote.
    As a result of a general survey of his Ki writings, in the first place, the main current was writings (樓亭記) about a personal house and its name by private asking.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writing about travels about landscape (山水遊記). According to the division by creation time and object, the majority of the literary works in the days when he was in Ansan were about a personal house. The same consciousness or feelings of pity and comfort between the author and the owner of the house in adverse circumstance flowed in the base of his works. On the other hand, the literary works in the aged days after enthronement of Incho described an educational subject in the governmental affairs and public morals of people related to a government building. An aspect of a politician was also visible in his works. However,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in Gegog, Jang Yu’ Ki writings was to lay stress upon discussion setting up a philosophical idea and thinking and clarify a confucian reason associated with meaning or interpretation of a name of a personal house, not to record a fact.
    Examining closely aspects of discussion through analyses of his works, in case of Shinru Ki (蜃樓記), it was confirmed that a problem on existence and non-existence was discussed by making use of the form of controversy questions and answers, which came out in prose before Jin as “Maengja (孟子)” and “Jeonggugchaek (戰國策)”, which originated from “Jangja (莊子)”. In other words, a problem on finiteness of a man and all nature for infiniteness of time and space was discussed, which was based on relative thinking. “Shinmyungsa Ki (神明舍記)” was a writing, which was comprehensively and easily solving a difficult reason of “Shim (心)” and “Myungduk (明德)” by using an allegory form
    In addition, many Ki writings including discussion on meaning of a name of a personal house was focused on making it clear to be true to the name between a house and its name, its name and its owner. They consisted of discussion on the name of a personal house and the corresponding description of the owner of it. In this point, a theme Jang-yu emphasized in several works associated with the name of a personal house was the very confucian mor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