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인제사장론과 선교적 교회: 베드로전서 2장 9절의 해석을 중심으로 (The Priesthood of All Believers and the Missional Church: centering on 1 Peter 2:9)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7.10
36P 미리보기
만인제사장론과 선교적 교회: 베드로전서 2장 9절의 해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선교와신학 / 43호 / 175 ~ 210페이지
    · 저자명 : 박영호

    초록

    전신자 제사장론은 개신교회의 핵심적인 교리이자, 기독교 역사에서 가장 혁명적인 사상으로 간주되어져 왔다. 그러나 정작 개신교 신학에서 이 교리는 별 주목을 받지 못하는 소외된 영역이었다. 또한 마틴 루터의 전신자 제사장 교리가 정말로 혁명적인 사상인가에 대한 의심도 광범위하다. 본 연구는 이 교리의 성경적 근거를 점검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이 교리의 고전적 근거로 제시되어 온 베드로전서 2장 9절의 전승사적 연구에 집중한다. 이 연구는 이 유명한 구절이 제도교회 내에서 신자 개인의 자격과 권리에 대한 논의가 아니라, 제사장 나라로서 교회가 공동체가 세상을 향해 갖는 사명에 관한 것임을 주장한다.
    이러한 교회 이해는 최근의 선교적 교회(missional church) 운동에서 그 현대적 표현을 찾는다. 현시대를 기독교세계이후시대라 명명한다면, 기독교세계 내에서 일어난 운동인 종교개혁 운동보다, 기독교세계 이전의 문서인 신약성서의 삶의 정황이 우리 시대와 더욱 밀접하게 조응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기독교가 주류문화의 자리에서 내려 와야 하는 21세기 교회의 위기는 역설적으로 성서적 신앙을 회복할 기회이기도 하다. 그러한 신앙의 자세를 베드로전서의 나그네 신학은 여실히 보여주고 있으며, 전신자 제사장의 교리 또한 이러한 나그네 신학의 맥락에서 재조명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priesthood of all believers is often considered as the central doctrine of the Protestant church and one of the most revolutionary ideas in the Christian history. This doctrine has not been, however, paid enough attention in the Protestant scholarship. There has been also considerable doubt about the popular assumption that Martin Luther's idea of the priesthood of all believers is revolutionary. This study is intended to clarify the Biblical ground of this doctrine, focusing on 1 Peter 2:9. The traditional history of this verse shows that it announces the Christian community as the people who are entrusted with the glorious mission of priest nation. It raises a serious challenge to the individualistic understanding of this doctrine. The Biblical idea of the priesthood is not about an individual Christian’s privilege but about the mission of the community. The biblical image of the priest nation does not tell us much about the church order or ministerial function but it reveals a profound self-consciousness of the Early Christians as God’s chosen people for the world. In so far as the idea of the church as a priestly community is an exertion for the very essence of the church, it finds its modern corresponds in the missional church movement. The social context of 1 Peter also fittingly corresponds with the situation of the post-Christendom, the situation from which the missional consciousness of the Western church has been developed. The paradoxical existence of the church in this world, the glorious priestly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the social marginals, was a matrix from which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1st-century Christians formulated. Again, the Christian church undergoes an analogous situation of a cultural minority.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priestly nature of the church as expressed in 1 Peter will guide the 21st-century Christians’ endeavor to recover the nature of the chu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와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