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효과적인 성인학습을 위한 장(場)으로서의 감리교 사경회 갱신 연구 (A Study on the Renewal of a Bible class as Effective Adult Learning)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8.09
35P 미리보기
효과적인 성인학습을 위한 장(場)으로서의 감리교 사경회 갱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 / 55호 / 195 ~ 229페이지
    · 저자명 : 양승준

    초록

    급변하는 시대에 한국감리교회의 신앙부흥교육은 어떠한 변화를 이루어야 하는가? 역사적으로 감리교회의 부흥을 위한 교육은 사경회와 속회운동이 핵심이었다. 이 두 가지는 존 웨슬리의 정신에 기초하는데, 웨슬리는 사경회와 같은 부흥운동을 통하여 회개와 변화를 일으켰으며, 속회를 통하여 양육하고 삶의 성숙을 도모하였다. 이것은 웨슬리 전통에 있어서 은총과 성화의 체험으로 신앙과 그리스도인의 삶의 점진적인 개혁의 과정이었다.
    그러나 현대인의 분주한 일상과 모이기 어려운 삶의 구조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사경회와 속회운동은 점차 효력을 상실해 가고 있다. 특히 감리교의 상호책임(accountability)과 연대주의(connectionalism)의 표상이었던 한국 감리교회의 사경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앞두고 필요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그 의미와 효과를 잃어가면서 형식적이고 피상적인 형태로 전락하는 위기에 처해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감리교회의 사경회의 정신을 회복하고“이 세상에서 어떻게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갈 것인가?”라는 물음을 가지고, 모든 감리교회가 사경회 정신으로 상호책임과 연대주의를 드러내며 부흥운동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러한 의도를 갖고 감리교 교육국에서는 각 지방회의 사경회 시행 여부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 209지방 중 192개 지방(92%)이 어떠한 방식이든 매년 사경회를 개최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사경회 정책위원회를 조직하여 감리교의 부흥과 양육을 위한 효과적인 사경회의 운영방안을 연구하였다. 사경회 정책위원회는 2016년부터 1년 동안 정기적으로 모여 사경회의 정신을 살리는 효과적인 운영방법을 논의하며 연구하였다.
    본 소고는 사경회 정책위원회의 연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면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감안하여 효과적인 사경회 갱신 방법을 모색하고 제언하였다.
    Ⅰ장에서는 한국초대교회의 성인학습의 일환으로 등장한 사경회의 목적과 개관 및 효과를 살펴본 후, 현재 감리교회에 소속된 209지방의 사경회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문제점과 논점들을 발견하고 분석한다. Ⅱ장은 사경회의 교육과정을 점검하면서 회심과 성화의 체험을 제시하였다. Ⅲ장은 효과적인 사경회 운영방안을 다양하게 피력하였으며, Ⅳ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경회 교수방법으로 거꾸로 교실 수업(flipped learning)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Ⅵ장은 결론으로 변화하는 시대에 입각해 운영방법들을 갱신하여 감리교의 부흥과 성숙한 그리스도인을 양육하는 효과적인 교육의 장(場)으로서의 역할을 언급하였다.

    영어초록

    In rapidly-changing world, what change is necessary to faith-revival education of Korean Methodist Church? historically, education of KMC for revival has been the core of revival movement and small group gathering.
    These two movements are based on the spirit of John Wesley. Also, Wesley generated repentance and change through revival movement and motivated growth of personal life.
    It was a process of reformation created by rebirth and sanctification in Wesleyan tradition.
    However due to several reasons such as busy lives of modern people, faith revival and small group gathering begin to lose their power.
    In particular, KMC revival movement, which was the landmark of accountability and connectionalism, is questioned in its necessity, losing its effect.
    Indeed, it is in crisis turning to be formal and superficial.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cover the spirit of KMC revival movement with the question of "How do live as Christians?" When KMC recovers the spirit of revival movement it can bring back accountability and connectionalism to its organization.
    With such a purpose an education department of KMC conducted the survey of weather they perform revival sermons and as a result of it they found out that 192 parishes of 209(92%) held the revival movement every year. After this, KMC organized the policy committee for the revival movement and studied the methods to operate the effective revival movement.
    The revival policy committee had researched on how to recover the spirit of KMC faith movement regularly for one year since 2016.
    This thesis made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researches of revival policy committee and suggested the way to renew KMC revival reflecting on the are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Chapter Ⅰ, the object and overview of revival movement, which appeared as on education for early korean Church, is investigated and then problems are analyzed through the survey of 209 parishes of KMC. Chapter Ⅱ check the process of education of revival and suggests the experience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Ⅲ proposes various ways to operate effective revival movement and Ⅳ suggests the use of flipped learning for teaching methods of revival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riod. Finally Ⅴ mentions that KMC should play a role of an educational venue to nurture Christians renew growth of KMC in the rapidly changing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교육 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