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질학적’ 영화공간과 신성(神性)의 문제: 타르코프스키의 <잠입자>를 중심으로 (A ‘Geological’ cinematic space and the problem of the divinity in Tarkovsky’s the Stalker)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6.09
27P 미리보기
‘지질학적’ 영화공간과 신성(神性)의 문제: 타르코프스키의 &lt;잠입자&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화연구 / 69호 / 161 ~ 187페이지
    · 저자명 : 이윤영

    초록

    순간순간마다 인상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자연현상의 생생한 현존은 안드레이타르코프스키 영화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이며, 또한 그의 영화는 예외 없이 깊이 있는 형이상학적 문제를 다룬다. <잠입자>(1978)는 특히 신성의 문제를 제기하는데, 이 신성의 문제는 무엇보다도 이 영화에 제시된 독특한 영화공간과 결부된다. 타르코프스키는 실제로 영화에 입문하기 전에 2년가량 시베리아 지역에서지질학자로 활동했고, 프랑스의 영화비평가 세르주 다네는 “이 경험의 어떤 것이그의 영화에 남아 있다”고 강조한다. 자연현상의 생생한 현존이 타르코프스키 영화의 주요한 특징이라면, <잠입자>에 나타난 독특한 양상은 이 자연현상이 산업이나 전쟁 등 인간의 파괴적인 손길이 스쳐간 공간에서 일어난다는 점이다. <잠입자>의 ‘구역’은 이런저런 산업폐기물과 폐허가 된 건물, 전쟁의 잔해가 남아 있는 지역으로서 상당 시간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아 온갖 종류의 식물로 뒤덮여있는 공간이다. 여기서 타르코프스키의 카메라는 주로 하늘이 아니라 오랜 시간의 변화가 축적된 땅을 보여주는데, 이 독특한 영화공간을 ‘지질학적’ 영화공간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다른 한편, ‘구역’의 안쪽 어딘가에 ‘소원을 들어주는 방’이있다는 것이 이 영화의 가장 주요한 내러티브 설정이다. 그러나 이 ‘방’에서는 말을 할 필요가 없고 가장 간절한 단 하나의 소원만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구역’의상황은 동화적 상황과 구별된다. 이 방에서는 한 인간의 내면 깊숙한 곳에 있는가장 간절한 소원이 이루어지는데, 한 인간의 내면 깊숙한 곳을 꿰뚫어볼 수 있는 존재는 사실상 신밖에 없다. 따라서 ‘소원을 들어주는 방’은 구체적인 장소를통해 물화된 신성, 공간화된 신성이다. 그러나 영화에서 세 인물(잠입자, 교수, 작가)은 온갖 우여곡절을 거쳐 ‘소원을 들어주는 방’에 도달하지만, 정작 방 안에들어가지 못하는데, 이는 신 앞에 설 수 없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 문제의식은 사실상 도스토예프스키의 것으로서, 타르코프스키는 “믿고 싶지만 믿지 못하는” 인간의 문제가 그의 문학의 핵심이라고 주장한다. <잠입자>는 이런 의미에서 겉보기와 달리 도스토예프스키 문학의 각색이다. 클로즈업과 이중프레임은<잠입자>에 사용된 특권적인 기법인데, 클로즈업은 순간순간의 상황에서 각 인물의 심리상태를 강조하고, 특히 ‘소원을 들어주는 방’ 앞에서 두드러지는 이중프레임의 사용은 이 세 인물이 현실세계뿐만 아니라 의식적으로 통제되는 자신의‘자아’에 갇혀 있는 모습을 제시한다. <잠입자>는 물질적 현실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서만 영적인 차원에 진입할 수 있다는 타르코프스키 특유의 영화적 세계를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vivid presence of natural phenomenon, with its impressive changes in each moment, is one of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cinema of Andrei Tarkovsky, and his cinema deals also with the profound metaphysical problems without exception. The Stalker(1978) raises the problem of the divinity, which is above all colligated with its singular cinematic spaces.
    In fact, Tarkovsky had worked in Siberia during two years as a geologist, before he began to devote himself into the film-making. Serge Daney, a French film critic, underlined that “something in this experience remained in his films.” In the Stalker, it is unique that a natural phenomenon takes place in the space, where the destructive touch of the human being, such as industry, war etc.. swept. The Zone of the Stalker, which consisted of industrial wastes, the ruined buildings, and war’s debris, is covered with all sort of plantation. Tarkovsky’s camera does not pay attention to the sky, but to the land which a long time change is accumulated. This singular space can be characterized as a ‘geological’ cinematic space. On the other hand, that a ‘wish-room’ may exist in some place within the Zone is the main narrative donnee of this film. But in the sense which one does not need to say one’s wish and one’s single innermost wish will be come true, the situation of the Zone is distinguished from that of a fairy tale. In this room, one’s earnest wish hidden within one’s inner side will be accomplished, the sole being with this capacity is the God.
    Therefore, a ‘wish-room’ in the Stalker can be defined as a materialized divinity in a concrete place, i.e., a spatialization of the divinity. But three main characters in the film(Stalker, Professor, Writer) finally arrived at the wish-room after much meandering, they did not dare to enter, which shows the human’s tragedy who cannot be faced with the God. In fact, this problematic is that of Fyodor Dostoevsky, and Tarkovsky insisted that it is central to his literature that this novelist mainly treats with a human being “who want to believe, but he cannot.” In this sense, to the contrary of the appearances, the Stalker is the adaptation of the Dostoevsky’s literature. Close-up and a double frame are used as its privileged techniques. Whereas the former underlines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three main characters in the situation whenever they undergo a serious inner conflict, the latter especially used before the wish-room, underlines their inner state which is imprisoned not only by their reality, but also by their conscious ‘ego’. The Stalker demonstrates Tarkovsky’s unique cinematic world, where one can enter into a spiritual world only by the direct contact with a material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