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대후기의 고대 조각 - 초기 비잔티온 제국에서의 이교 조형물의 수용과 계승을 중심으로 (Greek and Roman Statues in Late Antiquity: The Acceptance and Inheritance of Pagan Statuary in the Early Byzantine Era)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4.04
27P 미리보기
고대후기의 고대 조각 - 초기 비잔티온 제국에서의 이교 조형물의 수용과 계승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고대사연구 / 37호 / 169 ~ 195페이지
    · 저자명 : 김혜진

    초록

    일반적으로 그리스도교로 개종된 로마 제국에서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조각과 기념물은 파괴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고학 증거와 문헌 자료에 따르면 4세기 말과 5세기 초까지는 초기 그리스도교인들이 고전 조각을 파괴한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상은 이교 조각상과 신전은 반-그리스도교적이라는 이유로 파괴되는 동시에 황제와 엘리트에 의해서 공공장소와 개인적 공간에 수집되거나 전시되었다. 초기 그리스도교인들이 지닌 이교 조각상에 대한 모호하면서도 수용적인 태도는 마법적이거나 정치적, 경제적, 심미적 이유에 기인했는데, 결과적으로는 조각상들이 새로운 종교적 문맥에서 재평가되어 보존될 수 있게 했다. 따라서 고전기의 종교적 조형물에 관한 새로운 가치들이 발견된 시점은 초기 비잔티온 제국 시대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제국의 수도였던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초기 그리스도교인들에게 이교 조각상이 수집 전시되어 본래의 종교적 의미와 상징과 동떨어진 채로 이들을 감상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했다.
    그리스도교화된 황제들은 반-이교주의적 정책을 시행하면서도, 특정의 목적으로 고전기의 조각과 기념물에 관용적 태도를 보인 것은 테오도시아누스의 칙법집에 드러난다. 그리스도교적 교리와 고대 조형물에 관한 종교적 관용 사이의 충돌은 이교 신상이 지닌 종교적이고 심미적인 가치를 강조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었다. 이에 고전기 조각과 기념물은 그리스도교화된 제국에 재해석되어 보존될 수 있었다. 특히 콘스타티노폴리스의 운동경기장, 포룸, 욕장과 같은 공공장소에서는 이교조각상들이 수집, 전시되고 공개적으로 관람되어 그 각각은 심미적으로 비교되고 평가될 수 있었다. 그들은 성소, 신전, 사당, 아고라, 무덤과 같은 본래의 맥락에서 벗어나 새로운 문맥에서 감상되었다. 따라서 그리스도교인들의 고대 조형물의 수집과 전시 행위는 감상과 감정의 대상으로 ‘예술’의 개념을 발견하고 오늘날까지 이들 조형물이 현존하도록 기여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It is generally thought that ancient Greek and Roman sculptures and monuments were destroyed in the Christianized Roman Empire, but the archaeological and written evidences testify that the early Christians did not always destroy the classical statuary until the late 4th and the early 5th centuries. It is true that the pagan statues and temples were damaged for the reason to be regarded as anti-Christian as well as were collected and displayed in public and private spaces by the emperors and elites. The ambiguous or receptive attitude of the early Christians toward the pagan statuary was due to magical, political, economic and esthetical reasons, and the statuary could be re-evaluated to survive in different religious contexts. In fact, it was in the early Byzantine era that new values of the classical religious artifacts were discovered. Especially it was the capital, Constantinople, that provided the early Christians with the environment to appreciate the pagan statuary which were collected and displayed, reflecting a departure from their original religious meanings and symbolism.
    In the Theodosian codes, it is shown that the Christianized emperors showed tolerance for the classical statues and monuments for their own purposes although they implemented anti-pagan policies. In such circumstances the conflict between the Christian creed and the religious tolerance could be relieved by highlighting the political and aesthetical values of the pagan statuary. Therefore, the classical statues and monuments could be reinterpreted and adapted to the Christianized Empire. In Constantinople, particularly in the public spaces such as the Stadium, Forum and Baths, they were collected and displayed so that they were viewed openly and estimated aesthetically in comparison with one another. They could be appreciated in a new context regardless of their original contexts and settings of sanctuaries, temples, shrines, agora or tomb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Christians' collecting and displaying of the classical statues and monuments led to the discovery of the notion of ‘art’ for appreciating and evaluating, which resulted in their survival even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