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CIS 지역 디아스포라 한인 소설에서 젠더 가면의 의미- 『레닌 기치』 수록작 소설집 『행복의 고향』의 “콜호스” 서사를 중심으로 (The significance of gender masks in Korean novels in the CIS region in the open-door period - Focusing on Hometown of Happiness, an anthology of the short stories published in Lenin Gichi)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5.04
35P 미리보기
CIS 지역 디아스포라 한인 소설에서 젠더 가면의 의미- 『레닌 기치』 수록작 소설집 『행복의 고향』의 “콜호스” 서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26권 / 1호 / 303 ~ 337페이지
    · 저자명 : 양가영, 김현주

    초록

    본고는 행복의 고향 에 수록된 세 편의 소설—김광현의 「명숙 아주머니」, 강태수의 「기억을 뚜지면서」, 리정희의 「소나무」—을 중심으로 CIS 지역 한인 문학에서 재현되는 젠더 가면이 콜호스의 표상과 관련하게 전개됨을 확인하고 그 양상을 분석하여 소설에서 젠더 가면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서사의 양태를 분석하여 젠더 가면의 우상화와 소외 그리고 분열이 드러내는 가면의 수행성을 밝혔다. 「명숙 아주머니」의 명숙은 소비에트 이념이 요구하는 이상적 여성 영웅의 젠더 가면으로 「기억을 뚜지면서」의 아쌰는 공산주의 이념에 비판적 젠더 가면으로 각각 남성 화자의 시선을 통해 이상화·우상화되며, 여성 주체의 내면 타자화 되고 소외됨을 보였다. 반면에 「소나무」의 "복순"의 젠더 가면은 전통적 여성성과 사회주의적 여성상 사이에서 분열되고, 그 분열이 곧 그녀의 고통이자 내면의 갈등으로 표출된다.
    3장에서는 소설들의 시적인 언어를 분석하여 우상화 젠더의 균열이 드러내는 남성의 불안과 젠더 수행의 교차성이 드러내는 젠더 가면 벗기의 수행성을 밝혔다. 「명숙 아주머니」에서는 “명숙 아주머니”에 대한 비연속적인 정동을 통해서, 「기억을 뚜지면서」에서는 아쌰의 죽음에 대한 “나”의 불연속적인 반응을 통해서, 「소나무」에서는 "복순"의 비약적으로 뜨거운 열정을 통해서 고정되어 있는 듯이 보이는 젠더 가면에 균열을 냄을 밝혔다. 우상화된 젠더 가면은 남성의 욕망과 불안을 가리키는 동시에, 여성 주체의 내면과 욕망, 충동을 억압하거나 은폐하고, 젠더 가면이 단순히 사회적·이념적 요구에 의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내면적 욕망, 경제적 조건, 공동체의 전통적 규범이 복합적으로 교차하며 수행되고, 지배적 규범에 균열을 낼 수 있음을 보였다.
    CIS지역 소설에서 젠더 가면은 단순한 사회적 역할이나 이념적 표상이 아니라, 변화하는 시대와 개인의 내면, 경제적·민족적 조건이 복합적으로 충돌하고 교차하는 지점에서 끊임없이 생성·해체되는 수행적, 미학적 장치임을 확인였다. 또한 이를 통해 CIS 공산주의 디아스포라 문학에서 젠더와 정체성, 이념과 경제, 주체와 타자 사이의 역동적 관계와 그 미학적 의미를 새롭게 밝혔다. 이러한 분석은 디아스포라 문학의 젠더 연구가 단순한 정체성 논의를 넘어, 사회적 규범과 주체의 내면, 그리고 미학적 언어가 교차하는 복합적 층위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nalyzes the representations of gender masks in three short stories from The Hometown of Happiness—Kim Gwang-hyeon’s “Ms. Myeongsuk,” Kang Tae-su’s “While Dinging up Memories,” and Ri Jeong-hee’s “Pine Tree”—to illuminate the significance of gender masking in Korean diaspora literature from the CIS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region. In Chapter 2, the narrative modes of these texts are examined to reveal the performativity of gender masks manifested through idolization at the same time alienation, and isolated internal division. In “Ms. Myeongsuk,” the titular character embodies the idealized female hero constructed by Soviet ideology, while Asha in “While Dinging up Memories” represents a critical stance toward communist ideals. Both characters are idealized and idolized through the male narrator’s gaze, rendering the female subject othered and alienated. In contrast, the gender mask worn by Boksun in “Pine Tree” is fragmented between traditional femininity and socialist womanhood, and this fragmentation is expressed as her inner suffering and existential conflict.
    Chapter 3 focuses on the poetic language in the stories, revealing how fractures in the idealized gender masks point to male anxiety and how the intersections of gender performance expose the performative nature of unmasking. In “Ms. Myeongsuk,” the narrator’s disjointed affect toward Myeongsuk, in “While Dinging up Memories,” the narrator’s discontinuous reaction to Asha’s death, and in “Pine Tree,” Boksun’s impulsive passion—each disrupts the appearance of a fixed gender identity. These moments of poetic dissonance reveal that idealized gender masks simultaneously reflect male desires and anxieties, while also suppressing or concealing the female subject’s inner drives and desires. The study argues that gender masks are not simply products of social or ideological demands, but are performatively constructed at the intersection of individual desire, economic conditions, and communal norms, with the potential to fracture dominant ideologies.
    Gender masks in CIS-region literature are not static social roles or ideological symbols; rather, they are dynamic aesthetic devices that are continually constructed and dismantled at the crossroads of shifting historical eras, inner subjectivity, and socio-economic and ethnic contingencies. Through this lens, the study uncovers the aesthetic implications of gender, identity, ideology, and economy, and the relational tensions between self and other in Soviet Korean diaspora literature. This analysis demonstrates that gender in diaspora literature must be examined not solely through identity politics, but through multilayered intersections of social norms, inner subjectivity, and aesthetic languag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