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1세기 재난소설의 ‘비장소(Non-Place)’와 경계 사유 - 편혜영의 재난소설 3부작을 중심으로 - (‘Non-Place’ and ‘Border Thinking’ in 21st Century Disaster Novels: Focusing on Pyun Hye-Young's Disaster Trilogy)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9.12
22P 미리보기
21세기 재난소설의 ‘비장소(Non-Place)’와 경계 사유 - 편혜영의 재난소설 3부작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이화어문논집 / 49호 / 186 ~ 207페이지
    · 저자명 : 김미현

    초록

    편혜영의 재난소설 3부작인 『재와 빨강』, 『서쪽 숲에 갔다』, 『홀』은 관계성·역사성·정체성 중심의 전통적인 인류학적 공간과는 ‘다른 공간’으로서의 기능에 충실하고 있다. 표류 중심의 이동성(『재와 빨강』), 환승 중심의 일시성(『서쪽 숲에 갔다』), 공백 중심의 개방성(『홀』)은 ‘비장소’의 무규정성과 혼란을 각각 대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이 소설들은 자본으로 인한 타락이나 인간성의 소멸을 비장소를 중심으로 새롭게 구성함으로써 더욱 공고해진 21세기적 재난에 대한 자동화된 저항이나 낙관적 전망을 동시에 비판한다.
    이처럼 편혜영의 재난소설 3부작을 비장소 중심으로 접근해 봄으로써 묵시록적 재난을 초래한 인간의 유죄성에 주목할 수 있다. 또한 비장소를 통해 전통적인 인류학적 공간조차도 해결하지 못했던 모순 자체를 새롭게 부각시킬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비장소만의 특수성과 의의는 ‘경계 사유’를 가능하게 해준다는 데에 있다. 이런 이점들을 통해 편혜영의 재난소설 3부작 속 비장소는 장소/장소 상실, 저항 공간/대안 공간, 유토피아/디스토피아 등으로 대변되는 이분법적 대립의 손쉬운 결합이나 확실한 반전을 모두 거부하는 ‘다른 공간’으로 기능한다.

    영어초록

    Since the early 21st century, there have been a lot of Korean novels criticising the dehumanization of capitalism through catastrophe, disaster and apocalyptic worldviews. In novels by Pyun Hye-Young in particular, narratives are developed based on such ‘super modernity’. Focusing on Pyun’s trilogy of disaster, City of Ash and Red, Went to the West Forest, and The Hole, it is possible to see the works questioning the disorder of 21st century disasters.
    The novels do this by showing ‘non-place’ spaces, differing either from an overly optimistic or pessimistic view. ‘Non-place’ is neither utopia nor dystopia. Rather, it is characteristic of in-between disorder, indeterminacy and flexibility. Hence the existing arguments that regard these works as a variety of ‘dystopia’ are limited. The ‘non-places’ in Pyun Hye-Young’s disaster trilogy each have a particular character: mobility City of Ash and Red, perviousness Went to the West Forest, and the void The Hole. In the novels, the symbols of ‘non-place’ are ship, forest and hole.
    Pyun Hye-Young’s novels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y criticise modern civilization not as status but as situation, and also not as result but as process, through such aspects of ‘non-place’. Above all, the aspects of ‘non-place’ in Pyun Hye-Young’s novels show ‘border thinking’, not in ‘post-border’ but in ‘trans-border’. Finally ‘non-place’ is not ‘place’ and ‘space’, even though it may be considered ‘anthropological space’, because ‘border thinking’ is based on the denial of rule and fixability, instead pursuing irregulation, temporality and disor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화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