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균 작 1643년 백운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및 장연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의 종합적 연구 (A Study on the Wooden Amitabha Buddha at Baekwoonsa Temple and Wooden Avalokitesvara Bodhisattva at Jangyeonsa Temple by Ingyun in 1643)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4.06
37P 미리보기
인균 작 1643년 백운사 목조아미타불좌상 및 장연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의 종합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62호 / 17 ~ 53페이지
    · 저자명 : 문명대

    초록

    백운사 아미타불상과 장연사 관음보살상은 몇 가지 점에서 중요시된다.
    첫째, 조성기를 통해서 아미타불상과 관음보살상의 조성 배경을 논의했는데 17세기 전반에 활약한 유명한 조각승 인균이 1643년에 제작한 아미타불좌상과 관음보살상임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조성 관계자나 시주자 등도 모두 동일하다는 사실을 잘 알 수 있었다.
    둘째, 아미타불상의 도상 특징은 다소 성글고 큼직한 나발, 약간 긴 얼굴에 뺨과 턱의 양감을 나타내고 있으며, 관음보살상 역시 동일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두 상은 모두 다소 긴 상체의 단정한 형태, 넓고 큰 무릎 등의 도상 특징과 간결하고 단아한 양식 특징이 다른 인균상에 비해 돋보이고 있어서 인균의 조각승으로서 난숙한 시기인 1643년에 조성한 인균의 대표작으로 평가된다.
    셋째, 아미타불상은 다수의 복장품이 발견되었는데 조성기 2매, 후령통, 1604년 묘법연화경 다수, 다라니 다수 등 상당수의 복장품이 발견되어 불상의 가치를 높여주고 있으며 관음보살상의 복장품은 발원문과 비단천, 다라니만 발견되었지만 이들은 모두 아미타불상의 복장 내용과 동일하다는 사실도 밝힐 수 있었다.
    넷째, 이 아미타불상은 조성발원문, 하품중생인 수인 등으로 보아 아미타삼존불의 본존 아미타불상이 확실시 된다. 이와 함께 장연사 관음보살상의 조성발원문과 수인 및 크기 등으로 보아 이 아미타본존의 좌협시상으로 확인되므로 원래 아미타삼존상의 본존 아미타불상과 좌협시 관음보살상으로 봉안되었던 동일한 아미타삼존상으로 확인되고 있다.
    다섯째, 백운사 아미타불상과 장연사 관음보살상은 1643년에 유명한 수조각승 인균이 조성한 대표적 불보살상이자 아미타삼존상일 뿐만 아니라 조선후반기 제1기 불상 가운데 대표작이므로 조각사적 의의와 문화재적 가치가 높으므로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하여 길이 보존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Amitabha Buddha statue at Baekun-sa temple and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at Jangyeon-sa temple are important in several respects.
    First, we discussed the production background of the Amitabha Buddha statue and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through the production period, and revealed that the Seated Amitabha Buddha statue and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were created in 1643 by the famous sculptor monk In-gyun, who was active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In addition, we found it clear that the production related people and donators were all the same.
    Second, the icon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Amitabha Buddha statue include a rather sparse and large hair, a slightly elongated face, and the volume of the cheeks and chin, and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also shows the sam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since both statues stand out compared to other In-gyun statues in terms of their icon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 neat shape with a somewhat long upper body, wide and large knees, and simple and elegant style characteristics, the two are considered to be In-gyun's representative works, produced in 1643, when he was at a ripe age as a sculptor monk.
    Third, the Amitabha Buddha statue was discovered with multiple chest-inside artifacts, and a significant number of chest-inside artifacts have been discovered, including two production records, Huryeongtong (喉鈴筒), several Saddharma-pundari-ka-Sutras from 1604, and several Daranis, increasing the value of the Buddha statue. As for the chest-inside artifacts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only the prayer statement, silk cloth, and Darani were found, but these were also revealed to be all identical to the chest-inside relics of the Amitabha Buddha statue.
    Fourth, it is certain that this Amitabha Buddha statue is the Amitabha Buddha Triad Buddha statue, based on the production prayer statement and the Hanpumjungsaengin (下品中生印) mudrā (手印). In addition, judging from the production prayer statement, mudrā, and size of the Jangyeon-sa templ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as it is confirmed to be the left side accompanying Buddha statue of the main Buddha of Amitabha, it is confirmed to be the same Amitabha Buddha Triad statue that was originally enshrined as the main Amitabha Buddha statue and the left side accompanying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Fifth, the Baekun-sa temple Amitabha Buddha statue and the Jangyeon-sa templ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are representative Bodhisattva statues produced by the famous head sculptor monk In-gyun in 1643. As they are not only the Amitabha Buddha Triad statue, but also a representative work among the Buddha statues of the first period of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y have high historical significance in sculpture history and cultural property value, it is judged necessary to designate them as a nationally designated cultural property and preserve them fore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