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 디자인의 표현 경향 분석 및 시사점 - 국제 공모전 수상작을 중심으로- (Expression tendency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Media Facade Contents Design - Focusing on the prize-winner of international competition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3.06
12P 미리보기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 디자인의 표현 경향 분석 및 시사점 - 국제 공모전 수상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4호 / 463 ~ 474페이지
    · 저자명 : 양정순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미디어 파사드는 건축물의 입면을 물리적으로 고정된 외관에서 예술표현 도구이자 소통 매개로 도시공간을 변화시키고 있다. 빛을 통한 미디어 연출은 건축물과 통합 경관을 형성하여 다양한 정보전달 및 예술적 실험성 표현, 소통과 상징의 공공디자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 연출의 표현 경향을 조사 분석하여 그 의의와 시사점을 찾고, 디자인 방향성을 구축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작성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 연출의 경향 분석 및 시사점을 밝히기 위해 분석대상은 2018년~2022년 IALD Award, IES Awards, iF Awards, LIT Design Awards, Digital Signage Experience Awards의 미디어 파사드 관련 수상 프로젝트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선행연구 조사를 비롯한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여 본 연구의 당위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둘째 미디어 파사드 연출 경향 조사를 위해 최근 5년 내에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공모전 수상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 연출의 표현 경향을 조사 분석하여 그 의의와 시사점을 찾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파사드 연출의 경향을 유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콘텐츠 연출 방향성 도출을 위한 기초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로 미디어 파사드의 경관적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여 도시공간에서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 연출의 가치와 의의를 밝혔다. 더불어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 디자인 현황에 대한 분석하여 미디어 파사드의 콘텐츠 연출 경향 분석을 통해 그 표현특성을 구체화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 연출의 시사점을 ① 문화공공재로서의 가치와 활용, ② 디지털 익스피리언스와 공간목적성, ③ 평면연출과 4차원 종합예술문화, ④ 인공지능 기반 콘텐츠 연출의 대중화와 개인화, ⑤ 컨텍스트 큐레이션과 관리체계의 다섯 가지를 도출하였다. (결론) 조명디자인 분야에서는 바라본 미디어 파사드는 물리적 환경에 초점을 두고 미디어 파사드를 통해 무엇을 담을지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 연출의 새로운 시각이 중요성을 담기 위해 표현 경향 분석을 통한 콘텐츠 디자인 연출 방향성을 찾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과정을 통해 콘텐츠 디자인 방향성을 찾기 위한 기초적 토대를 제시한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음을 밝힌다.

    영어초록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The media facade is changing the urban space from a physically fixed facade to a tool for artistic expression and a medium of communication. Media directing through light form an integrated landscape with buildings, serving as public design for various information delivery, artistic representation, communication and symbolic repres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ts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n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trend of the current media facade content production, and then it is to create basic data to establish a design direction. (Method) In order to analyze the trend of media facade content production and find its implications, the analysis was limited to media facade related projects which are the IALD Award, IES Awards, iF Awards, LIT Design Awards, Digital Signage Experience Awards from 2018 to 2022. As for the research method, firstly, theoretical research including previous research,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justification of this study. Seco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rend of directing media facade,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were sought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expression trend of media facade content production, focusing on projects that have won internationally prestigious competitions within the last 5 years. Lastly, the trend of media facade direction was typified. Based on this, the basic foundation for deriving the direction of content production was prepar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found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media facade content production in urban space. It is presented that the basic foundation for finding the direction of content design.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tent design of the next media facade, it is systematized the trend of media facade content production. Therefore, at this paper, five implications of media facade contents design are derived in the analysis process. There are ①Value and utilization as a cultural public property, ② Digital experience and spatial purpose, ③flat presentation and 4-dimensional comprehensive art culture, ④Popularization and personaliz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ents, ⑤Context curation and management system. (Conclusion) In the field of lighting design, focusing on the media facade itself, there has been little interest in what to contain through the media facade. Therefore, a study was started to find the importance of a new perspective on the direction of directing media facade contents and the possibility of design directing through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raised the importance of content composition and design direction in the field of lighting design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