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관에서 작가로-1900년대 후반 개신유학자들의 소설 구상을 중심으로 (From a historiographer to a writer)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09.10
38P 미리보기
사관에서 작가로-1900년대 후반 개신유학자들의 소설 구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39호 / 65 ~ 102페이지
    · 저자명 : 구장률

    초록

    이 글은 근대적 ‘작가’를 추인(追認)한 문화적 제도가 형성되기 시작하던 1900년대 후반, 허구의 가치가 조정되면서 ‘지어내는 것(作之者)’에 관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었던 계기와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작가(作家)’ㆍ‘작품(作品)’ㆍ‘창작(創作)’과 같은 용어는 근대가 창출한 문학예술제도의 산물이다. 유가적 전통에서 새로운 문장을 만들어 낸다는 것은 낯선 것이었고, 근대적 의미의 작가(소설가)가 등장하기 위해서는 소설이나 허구의 의미를 사회적으로 인준 받는 과정이 필요했다.
    러일전쟁 이후 근대적 작가상의 초기적 양상이 몇 가지 모습으로 나타기 시작했다. 그 가운데 한학을 체현했던 개신유학자들은 전통적 소설부정론으로부터 출발했다. 그러나 근대 교육학과 국외의 역사담론을 수용하면서 국민성을 계발하기 위해 소설의 교육적 효용에 주목한다. 1908년을 전후하여 ‘제국주의’와 ‘민족주의’에 관한 비판적 담론을 번역한 것은 이들의 소설 구상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신채호는 현실의 주요 모순을 ‘제국-식민지’의 문제로 코드화하고 저항의 거점으로서 ‘민족’을 발견했고, 소설은 민족사를 복원하기 위한 전략적 글쓰기의 하나가 되었다.
    한편 식민지 번역상황과 이인직의 소설을 비판하는 과정은 역사와 소설이 각기 결핍하고 있는 것에 대한 자각으로 이어졌다. 그 결과 역사의 말류로 치부되던 소설은 ‘민족성’을 실현하는 근대적 글쓰기로 전위되었다. 또한 유가적 세계관에서 진실을 왜곡하는 것으로 여겨졌던 허구는 민족사를 복원하며 국민정신을 감발한다는 의미를 부여받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시비를 가리고 사실을 기록하는 사관으로부터 역사의 소설화 가능성을 타진하는 근대적 작가의 한 유형이 출현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review a momentum and a process that the change of recognition on ‘a person who writes’ could appear while a fictitious value is adjusted, in the latter half of 1900s when a cultural system confirming a modern ‘writer’ started to form. The term such as ‘writer’, ‘works’ and ‘creation’ is a product of a literature and arts system that the modern age created. What makes new sentences was unfamiliar in the Confucian tradition, and it was necessary that the meaning of a novel or a falsehood is socially confirmed for appearance of a writer(a novelist) with a modern meaning.
    Since the Russo-Japanese War, the initial shape of a modern writer’s image started to appear as several forms. The renewed Confucians embodying Chinese literature among them started from a traditional denial theory of a novel. But while the modern pedagogy and overseas historical discourse are accepted, the educational utility of a novel was noticed to develop the national character. The thing that a critical discourse on ‘imperialism’ and ‘nationalism’ was translated around 1908 brought an important change in their novel conception.
    Especially, Shin Chae-ho encoded main contradiction of a reality as a problem of ‘empire-colony’ and discovered ‘race’ as a base of resistance, and the novel became one of strategic writing for restoring the national history.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criticizing colony translation circumstances and a novel of Lee In-jik was connected to self-consciousness about what the history and novel are respectively deficient. As a result, the novel considered as the end stream of history was transposed as modern writing for realizing ‘the national character’. The falsehood considered as what distorts the truth in a Confucian world view receives a meaning that restores the national history and shows the national spirit. One type of a modern writer gauging novelization possibility of history could appear from a historiographer distinguishing right and wrong and recording the fact through this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