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 신춘문예 경향 연구- 동화 당선작(가작 포함)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ring Literary Contests of the 1970s - Focusing on fairy tales and other literary work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7.12
29P 미리보기
1970년대 신춘문예 경향 연구- 동화 당선작(가작 포함)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아동문학연구 / 33호 / 203 ~ 231페이지
    · 저자명 : 장영미

    초록

    식민치하에 시작된 신춘문예는 1940년도를 마지막으로 중단되었다가 해방 후, 1954년부터 각 신문사들이 신춘문예를 부활시켜 다시 신인 발굴에 나선다. 신춘문예의 부활과 정착은 6․25 이후 작가 부족 현상을 겪고 있던 우리 문단에 역량 있는 신인 작가를 공급하는 등 기여한 바가 크다. 특히 전후의 새로운 아동문학에의 요청을 제도적으로, 문학적으로 반영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신춘문예다. 물론 신춘문예가 등단 제도의 제도화가 새로운 문학의 모색과 탄생에 실질적으로 기여한 부분을 가늠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우수한 신인 발굴과 문단의 저변확대, 문학 기층형성이라는 취지를 띤 신춘문예는 식민지 시대 신춘문예의 계승 및 발전이자 이후 가장 강력한 등단 제도로 군림하게 되는 문화제도적 토대를 조성하면서 활력을 불어넣은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이에 본고는 신춘문예 실시에 대한 이견보다는 한국문학사에서 중요한 향연이었다는 점을 기반으로 하여 1970년대 신춘문예 동화 당선작(가작 포함)을 대상으로 그 특성을 살폈다.
    특히, 일제 때부터 실시하여 오랜 연혁을 가진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1970년대 동화 당선작들은 약한 아이들의 처지와 심경을 대변하는 인물과 유사한 약자를 중심으로 한 창작품이 많았다. 또한 물욕을 갖고 있는 어른과 달리 어린이는 세속에 물들지 않은 순수함을 담고 있었다. 즉, 1970년대 신춘문예 동화 당선작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기에 계몽적인 측면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1960년대 신춘문예 동화 당선작들과도 크게 다르지 않은 주제와 창작 경향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동아일보』는 동화를 선호하고 『조선일보』는 동화와 아동소설의 장르 선호보다는 좀 더 다양한 작품을 선호한 결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사실, 1970년대라는 긴 장(場) 속에서 두 일간지만을 대상으로 하여 신춘문예 경향을 파악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지만,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갖고 있는 오랜 역사와 문학적 성과를 통해 1970년대 동화 당선작(가작)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영어초록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the annual spring literary contests revived and flourished, and contributed to the rise of talented new writers in Korea, which had suffered from a shortage of writers since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the spring literary contests reflected the institutional and literary demands of the newly emerging postwar children’s literature. It is difficult to gauge the actual contribution of the institution of the spring literary contests to the quest for and the birth of new type of literature. However, it is undeniable that the aim of the spring literary contests-discovering talented new authors, expanding the base of writers in Korea, and forming a new literary base-was met. The development and success of the spring literary contest was not possible in the colonial period. Owing to the fact that it was an important feat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is essa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iry tales and other literary works of the spring literary contests of the 1970s.
    In particular, two daily newspapers, “Donga” and “Chosun,” both of which had long histories dating back to the time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analyzed the fairy tales of the 1970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airy tales evaluated by “Donga” and “Chosun” had many creative ideas centering on weak characters similar to that of weak children. Also, unlike an adult with a bath, the child was innocent of innocence. In other words, it seems that the fairy tales of the spring literary contests of the 1970s provided much insight about children. This is a theme and creative tendency that is not much different from what was found in the winning works of the spring literary contests of the 1960s. Additionally, while “Donga” favored fairy tales, “Chosun” preferred considering a variety of works in addition to fairy tales and works pertaining to children’s literature. It is unreasonable to think that we can comprehend the entire literary trend of the spring literary contests during the long period of the 1970s from only two daily newspapers. However, the long history and literary achievements of “Donga” and “Chosun” can help us discern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iry tales that won the spring literary conte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아동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