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지훈 작 <풍찬노숙>, 혼혈족의 혁명논리로부터 새로운 질서 찾기 (Kim Jihoon's , Finding a New Order from Revolutionary Logics)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2.12
44P 미리보기
김지훈 작 &lt;풍찬노숙&gt;, 혼혈족의 혁명논리로부터 새로운 질서 찾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연극학 / 1권 / 48호 / 127 ~ 170페이지
    · 저자명 : 권경희

    초록

    현 체제에서 ‘몫을 받지 못한 자’ 혹은 ‘배제된 자’로서의 이주노동자의 삶에 착목한 김지훈의 <풍찬노숙>은, 이주노동자 문제를 새로운 사회적 현상으로 인식하며 이를 토대로 시대적 사유와 담론의 보다 중층적인 영역을 제시한다. 작품을 통해 김지훈은 이 나라를 비롯해 이 세계의 정신적이면서 행동적인 흐름을 어떻게 읽고 있는지, 그 시선 속에 어떤 저항논리를 내세워 현재의 혼돈에 대응하는지를 주목하고자 하는 것이 논문의 핵심이다.
    ‘국민의 종언’이 심심찮게 언급되는 이 시대에, <풍찬노숙>에서의 혼혈족이 그렇듯 과연 민족적 동일성으로 이루어진 공동체의 형성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민족적 동일성은 진정 국가구성에 있어 중심적인 요소이자 매커니즘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인가? 혹은 그것이 정치적 결정권을 갖는 헤게모니적 기능을 행사할 수 있는가? 여전히 민족적 동일성은, 다양한 집단성 즉 성적, 인종적, 지역적, 직업적, 세대적, 계급적 동일성에 우선되는 지배적 동일성인가? 새로운 민족국가탄생은 이질성의 충돌로 인한 혼란과 무질서를 멈출 진정한 대안이 될 수 있는가? 그리고 작품 속 문계의 계획과 의지대로라면, 모순뿐인 지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오직 유혈혁명만이 정당하고 유일한 수단인가? 이러한 의문들을 염두에 두면서 젊은 작가의 상상적 세계의 작동 속에서, 특이한 방식으로 열려진 새로운 공동체가 어떤 전략과 실천으로 이 세계와 대응하는지를 분석하고, 가능하면 그로인해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부수적 작용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혼혈족의 출현배경과 그들의 정체성, 존재성을 분석하는 작업은 무엇보다도 본질적이고 필연적인 과정이 된다. 또한 중심인물 중 특히 국가건립을 위한 신화를 계획하는 문계의 사고와 비젼을 파악하는 일은 필수적이다. 한편, 하위체로서의 대중과 혁명이라는 키워드는 자연스럽게, 기본 틀은 유지하되 최근 들어 체질을 개선하고 있는 비판적 유물론의 분석적 입장 또는 방법론에 의지하도록 이끈다. 특히 마르크시즘을 현 시대에 맞게 재구성한 안토니오 네그리(Antonio Negri)와 유독 유럽의 이주자문제에 관심을 쏟아 온 에티엥 발리바르(Etienne Balibar)의 진보적 사상이 길잡이 역할을 한다.
    혼혈족의 의식을 지배하는 이데올로기의 성격은 무엇이고, 그들의 혁명논리가 축조하는 역사 만들기와 신화창조는 어떻게 민족주의와 결합되는지, 그리고 그것이 안고 있는 모순은 무엇인지에 대한 분석과정을 거쳐, 결론으로 생산적인 야만성을 회복한 혼혈족을 상상해본다. 혼혈족이 정녕코 자신의 구체적인 실존, 즉 잡종성, 변이성, 야만성을 통해 삶의 새로운 경로를 추적하는 것은 이 시대를 보다 포괄적이고 총체적으로 수용하는 한 방법이 될 수도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primary concerns of this thesis simply stems from the curiosity of how the playwright Kim Jihoon lookouts a peculiar change of our spiritual, physical world. His lately work, <Pungchannosuk>, deals with a tribe of mixed blood who are either not shared by, or excluded from a national system, putting the writer's emphasis on some hints that informs us his outlook on the world. And these hints summon the following doubts.
    What is the significance of constituting a national community in this age, particularly in the time when the end of national people is frequently being referred? In strengthening national compositions, can the national identity be a pivotal element and central mechanism? Can the identity be able to exercise the hegemonic functions containing the political rights of decisions? Does the identity still dominate the various collective bodies such as genders, races, regions, professions, generations and classes etc? Finally, as the <Pungchannosuk> manifests, can the national identity be a desirable alternative that may cease both confusions and disorders evoked by the collision of heterogeneity?To find the answer, the study starts from a search for the origin of the complexities immanent in the mixed blood. The terror syndrome and the ambiguous identity, both residing outside the border of normality, will characterise the origin. Then I will focus both on the tribe's desperation itself and their present hope, in order. A myth of creating a country, making history and nationalism, all these are converged in their resistant ideology.
    This thesis ends with no clear conclusion, and yet suggesting the three presumptions the text insinuates: nomadism, a new barbarism, and the heterogeneity that awaits for our re-reading, and hoping that the three will lead the 'being-to-come' of the tribe, as an alternative of their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연극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