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시각디자인 분야 수상작의 디지털기술 특성 발현에 관한 연구 - 1977∼2015년 기관장급 이상 수상작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igital Technology Characteristics Manifested in Prize-Winning Works of the Korea Design Exhibition in the Category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 Focused on Works Recognized with Prizes )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7.06
14P 미리보기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시각디자인 분야 수상작의 디지털기술 특성 발현에 관한 연구 - 1977∼2015년 기관장급 이상 수상작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15권 / 2호 / 185 ~ 198페이지
    · 저자명 : 민달식

    초록

    디지털기술이 발달하면서 시각디자인 환경은 급변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디지털기술 특성이 발현(發顯)된 그래픽적 요소와 양상을 분석해 디자인 분야의 실무 활용성과 학문적 깊이를 더해보고자 했다. 1장에서는 연구범위 및 방법을 한정하고, 2장에서 이론적 토대를 ‘미디어 기술과 그래픽형식’, ‘디지털기술 특성’으로 나누어 논하였다. 3장에서는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고찰과 분야별 수상작 흐름을 논한 후, 12회(1977년)∼50회(2015년) 사이 시각디자인 분야 기관장급 이상 수상작의 유형 분석 및 293점의 연구대상을 표집 하였다. 4장에서는 연구대상을 세 시기로 나누어 디지털기술 특성이 발현된 그래픽적 요소를 분석하고 그 발현 양상을 논했다.그 결과로서 4.1절에서 ‘디지털기술 특성이 발현된 그래픽적 요소’를 ① 점에 의한 축조, ② 기하 도형의 사용, ③ 활자의 이미지화, ④ 이미지 중첩, ⑤ 선에 의한 이미지, ⑥ 이미지 방위(方位)의 다양성, ⑦ 이미지 역전, ⑧ 동형반복과 가변적 표현, ⑨ 사진사용의 증가, ⑩ 글자 수의 증가, ⑪ 전통적 이미지의 감소 등으로 나누어 논하였다. 더불어 4.2절에서는 ‘디지털기술 특성이 발현된 양상’을 ① 디테일한 재구성, ② 재구성 쉬움으로의 수렴, ③ 수리적 제어에 의한 형식의 다양화, ④ 상상계의 다양화, ⑤ 시각디자인에서 커뮤니케이션디자인으로 변화 등으로 논하였다. 이처럼 연구자는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시각디자인 분야 수상작에 나타난 디지털기술 특성이 발현된 그래픽적 요소를 분석하고 논의해 그 양상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디자인 분야의 실무 활용성과 학문적 깊이를 더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Visual communication design environment has witnessed rapid changes amid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graphic elements and patterns manifest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technology so as to expand practical application and deepen the boundaries of academic knowledge in the field of design. Chapter 1 defined the scope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and Chapter 2 presented discussions on theoretical foundation from the prism of media technology, graphic format, and digital technology characteristics. Chapter 3 also presented a review of the Korea Design Exhibition and trends of prize-winning works in respective fields, followed by the analysis on type of works recognized with prizes awarded by heads or higher-ranking officials of organizations in the category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from the 12th event held in 1977 to the 50th event held in 2015, along with sampling of 293 works as subjects. Chapter 4 presented an analysis of graphical elements manifest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technology based on 3 periods and discussed the pattern of such manifestation. Consequently, the graphic elements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technology had been expressed were classified into ① construction by dot, ② use of geometric figures, ③ conversion of print types into image, ④ image superimposition, ⑤ image rendered by lines, ⑥ variety of image orientation, ⑦ image reversal, ⑧ identical shape repetition and variable expression, ⑨ increase of photograph use, ⑩ increase of number of letters, ⑪ decrease of traditional image, etc. in 4.1. In addition, the expressive patterns of digital technology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based on ① detailed reconfiguration, ② convergence to simplified reconfigurability, ③ diversification of forms by mathematical control, ④ diversification of imaginary systems, ⑤ transition from visual communication design to communication design, etc. in 4.2.In this way, the researchers analyzed and discussed the expression of the graphic elements of the digital technology characteristics that manifestoed in prize-winning works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in the Korea design Exhibition.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to expand practical application and deepen the boundaries of academic knowledge in the field of de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랜드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