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겸작 고성 운흥사 삼세불회도 특징 (The Work of Uigyeom: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 of the Three Buddhas at Unheungsa Temple in Goseo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5.06
31P 미리보기
의겸작 고성 운흥사 삼세불회도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64호 / 51 ~ 81페이지
    · 저자명 : 안희숙

    초록

    운흥사는 쌍계사의 말사로 경남 고성군 와룡산에 위치하고 있다. 임진왜란 때는 사명당유정이 승군의 본거지로 삼았던 호국가람 이었으며, 법화경(1674년)의 刊記와 <대웅전개금단확기>(1807년)에 건륭 5년(1740년)에 옥찰이 내려와 불상 개금과 단청이 이루어진것을 통해 왕실 관련 사찰이기도 하였다. 또한 18세기 최고의 화승인 의겸이 제작한 7점의불화가 있다. 이 중에서 삼세불회도의 선구가 되는 현존한 가장 오래된 최고의 삼세불회도가 있어 주목된다. 이 불화는 1730년에 제작되어, 주불전에 봉안되었다. 의겸은 세 벽면으로 이루어진 대웅전 후불벽의 독특한 건축 양식과 사찰의 성격을 고려하여 법화사상의 삼세불을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삼세불은 삼전하와 연결하여 의식을 진행한 靈⼭⼤會作 法節次, 諸般⽂, 天地冥陽⽔陸齋儀梵⾳刪補集 등도 염두에 두었을 것이다.
    후불벽 중앙에는 영산회상도, 좌우에 약사불회도, 아미타불회도를 봉안하였으며, 현재영산회상도는 도난되어 1955년 새로 제작되었다. 아미타불회도는 중앙의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팔대보살, 사천왕, 십대제자, 팔부중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존 육계와 통견의 향좌측어깨에서 흘러내려 밖으로 살짝 휘날린 표현은 의겸이 주로 사용한 표현이다. 관음보살 지물인 ‘완’은 고려와 조선초기에 확인된다.
    약사불회도는 약사불을 중심으로 보살 6위, 약사십이신장이 자리하고 있다. 약사십이신장은 17-18세기 삼세불회도의 유행으로 화면 상단이나 하단에 분산되어 등장하고, 19-20 세기에는 감소한다.
    도난된 영산회상도는 화면 구성을 알 수 없지만, 동시기에 그려진 갑사 아미타불회도와운흥사 아미타불회도가 유사한 점으로 보아 영산회상도 또한 비슷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갑사 영산회상도는 운흥사 영산회상도(1719년)를 참고로 그린 것을 통해 이 두 불화를 모본으로 운흥사 영산회상도(1730년)을 제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운흥사 영산회상도(1730년)는 좌우 아미타불회도와 약사불회도의 본존과 크기가 비슷하며, 법의는 갑사 영산회상도(1730년) 본존과 동일하게 통견의를 걸쳐 약사불, 아미타불과차별화를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정상 육계는 위로 솟지 않고 아미타불과 약사불과 같게 표현하였을 것이다.
    화면은 2단구도를 이루며, 주위 공간은 여백을 주고 있다. 본존을 중심으로 엄격한 좌우대칭을 이루고 있다. 색채는 녹색, 적색, 황색 등이 주조를 이루고 있으며, 문양은 본존 대의에만 장식하였다. 본존은 얼굴이 갸름하며, 이목구비는 균형을 이루고 있다. 귀볼은 중앙에볼륨감을 주듯 물방울 모양으로 묘사하였으며, 코 밑 수염은 유연하게 그리고 있다. 약사불회도의 본존 표현은 입술과 수인, 수염에서 의겸이 그린 불화와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의겸이본존을 모두 그렸는지 의문이 드는 점도 있다.
    이같이 운흥사 삼세불회도는 18세기 최고의 화승이 의겸이 주도한 불화로 현존한 삼세불회도의 선구가 되는 가치 있는 불화로서 의미가 크다.

    영어초록

    Unheungsa Temple is a branch temple of Ssanggyesa Temple and is located on Waryongsan Mountain in Goseong-gun, Gyeongsangnam-do. During the Imjin War, it was a national treasure that Samyeongdang Yu Jeong used as a base for his army. It is known that it was a royal temple through the publication record of 『The Lotus Sūtra』(1674) and <the Daeungjeon Geumdan Hwakgi> (1807).
    There are also seven Buddhist paintings created by Uigyeom, the greatest Buddhist monk of the 18th century. Among them, the oldest and best existing the painting of the Buddha of the three ages, which is the forerunner of the painting of the Buddha of the three ages, is noteworthy. This painting was created in 1730 and is enshrined in the main Buddhist temple.
    It seems that Uigyeom created the painting of the Buddha of the three ages of the Lotus Sūtra,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unique architectural style of the rear wall and the nature of the temple. In addition, the Three Buddhas may be related to the 『Yeongsanhoesangjakbeopseolcheureu』, 『Jebanmun』, and 『Cheonjimyeongyangsuyukjebeomumsanbojip』.
    In the center of the back wall, the painting of Yongsanhusangdo, and on the left and right, the painting of the Bhaisajyaguru Buddha and the painting of the Amitabha Buddha are enshrined. The painting of Yongsanhusang was stolen and was recreated in 1955. The Amitabha Buddha painting is composed of the Amitabha Buddha at the center, the Eight Great Bodhisattvas, the Four Heavenly Kings, the Ten Great Disciples, and the Eightfold Path. The Amitabha Buddha painting is composed of Amitabha Buddha in the center, the Eight Great Bodhisattvas, the Four Directional Guardians, the Ten Disciples, and the Eight Classes of Divine Beings.
    The painting of Yongsanhusangdo is centered around the Bhaisajyaguru Buddha and features the six Bodhisattvas and the 12 divine generals in Bhaisajyaguru Buddha paintings . The 12 divine generals in Bhaisajyaguru Buddha paintings appeared scattered across the top or bottom of the screen during the popularity of Samsebulhoedo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but decreased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The stolen Yeongsanhoesangdo has an unknown screen composition. The paintings are similar to the paintings of Amitabha Buddha at Gapsa Temple and Unheungsa Temple painted at the same time, so the painting of the video will also be similar. It is presumed that the Gapsa Yongsanhusangdo was created in 1730 based on the Unheungsa Yongsanhusangdo (1719) as a reference to these two Buddhist paintings.
    The size of the Yeongsanhoesangdo (1730) of Unheungsa Temple is similar to that of the main statues of the Amitabha Buddha and Bhaisajyaguru Buddha paintings on the left and right. It seems that the Buddha's clothes were made with the same Tonggyeonui as the main statue in the Gapsa Yeongsanhoesangdo (1730), to differentiate it from the Bhaisajyaguru Buddha and Amitabha Buddha.
    It is presumed that the normal meat world is not raised upwards and is expressed like Amitabha Buddha and Bhaisajyaguru Buddha.
    The screen has a two-stage composition, and the surrounding space is left blank. It has strict left-right symmetry centered on the main statue. The colors were mainly green, red, and yellow. The main statue has a slender face and balanced facial features. The earlobes are depicted with volume in the center, and the whiskers under the nose are drawn flexibly.
    In this way, the painting of the Buddha of the three ages at Unheungsa is a valuable Buddhist painting that was led by Uigyeom, the greatest Buddhist monk painter of the 18th century, and is a pioneer of the existing the painting of the Buddha of the three ages , making it very significa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