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악보 소재 <평조 보허자>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traditional ancient score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8.12
32P 미리보기
고악보 소재 &lt;평조 보허자&gt;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64권 / 99 ~ 130페이지
    · 저자명 : 이수진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낭옹신보』(1728)․『소영집성』(1822)․『현학금보』(1852)․『오희상금보』(1852)를 중심으로 현재 전승이 단절된 <평조 보허자>의 주법과 선율을 살펴, 전승 양상을 고찰하였다.
    <평조 보허자>의 주법과 선율은 『낭옹신보』․『현학금보』가 동일한 부분이 많은 것에 비하여 『소영집성』은 두 악보와 상이하다. 상이선율의 변화 양상은 ‘박 분할․음 변화․문현(文絃) 변화․청현(淸絃) 변화․옥타브 관계 진행․4도 관계 진행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한 옥타브 관계를 보이는 상이선율을 통해 <평조 보허자>에서는 우조 악곡을 4도 아래로의 변조 및 이를 한 옥타브 올린 5도 위로의 변조가 선택적으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소영집성』의 <평조 보허자>는 문현과 청현 주법이 통일성있게 사용된 것으로 보아 다른 악보들보다 거문고 음악의 특징적인 모습이 잘 드러나 있다. 또한 『소영집성』의 <보허자>는 우조와 평조 악곡을 병기하여, 두 악곡이 상호 영향을 주기에 매우 적합하며, <우조 보허자>와 <평조 보허자>의 문현․청현 주법이 동일한 위치에 출현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소영집성』의 <평조 보허자>는 『낭옹신보』의 선율에 기초하여 우조 악곡의 영향을 받아 문현 변화․청현 변화․박 분할 등의 변화 양상을 보이면서 형성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낭옹신보』와 『소영집성』, 그리고 『소영집성』과 『현학금보』는 동일선율의 비율이 적은 반면에, 『낭옹신보』와 『현학금보』는 동일선율 비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상이선율까지를 유사선율로 본다면 두 악보의 <평조 보허자>는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평조 보허자>는 『낭옹신보』와 『현학금보』의 편찬 연대가 130여년의 차이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선율진행이 유사한 반면, 『현학금보』보다 30년 앞선 『소영집성』은 『낭옹신보』와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이와 같은 사실은 『낭옹신보』․『현학금보』와 『소영집성』의 <평조 보허자>가 서로 다른 풍류 집단에 의하여 연주되었던 음악으로 추정할 수 있다.
    18~19세기의 <평조 보허자>는 『낭옹신보』에 처음 수록된 후, 『소영집성』에서는 매우 다채로운 모습을 보이지만, 『현학금보』에 이르러서는 『낭옹신보』에 비하여 더 이상 크게 변화된 모습이 드러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현상은 김성기에 의하여 처음 만들어진 <평조 보허자>가 18~19세기 풍류방에서 『소영집성』 편자 등을 포함한 일부 풍류객들에 의하여 악곡의 음악적 측면이 세련되게 다듬어지기도 하였으나, 그 밖의 풍류객들로부터는 큰 관심을 얻지 못하면서 전승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traditional aspects of <Pyeongjo Boheoja>, of which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 has been severed, by comparing 『Nangongsinbo』(1728), 『So youngjibseong』(1882), 『Hyeonhakgeumbo』(1852), and 『Ohhuisanggeumbo』(1852), in order to review the playing method and melody of <Pyeongjo Boheoja>

    <Pyeongjo Boheoja> of 『Nangongsinbo』․『Hyeonhakgeumbo』 have many of the same playing methods and melodies, while 『Soyoungjibseong』 are composed of unmatching melodies. In unmatching melodies, rhythm division, tone change, Moonhyeon change, Cheonghyeon change, octave relationship progress, 4th relationship progress are appeared complexly. It can be seen that the <Pyeongjo Boheoja> is composed of a harmonious combination of the 4th degree below and 5th degrees up of the modulation tone of Ujo music through octave progressing of unmatching melodies.




    <Pyeongjo Boheoja> of 『Soyoungjibseong』 indicates a distinctive feature of geomungo music than the other scores because the Moonhyeon and Cheonghyeon playing methods were used in a unified manner compared to <Pyeongjo Boheoja> of 『Nangongsinbo』 and 『Hyeonhakgeumbo』. In addition, since <Boheoja> of 『Soyoungjibseong』 takes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Ujo and Pyeongjo song, the two songs are very suitable for mutual influence. In particular, because the Moonhyeon and Cheonghyeon playing methods appear frequently in the same part of Ujo and Pyeongjo <Boheoja>, the <Pyeongjo Boheoja> of 『Soyoungjibseong』 was formed by showing the changing pattern, such as Moonhyeon changing, Cheonhyeon changing, and rhythm divis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Ujo music based on the 『Nangongsinbo』 melody.




    The <Pyeongjo Boheoja> of 『Nangongsinbo』, 『Hyeonhakgeumbo』 is very similar since the ratio of matching melodies between two scores are high even if slightly unmatching melodies are considered as a similarity melodies, while the ratio of matching melodies between 『Nangongsinbo』, 『Soyoungjibseong』 and 『Soyoungjibseong』, 『Hyeonhakgeumbo』 is low. Therefore, among the ancient scores including the <Pyeongjo Boheoja>, while melody progress of 『Nangongsinbo』 and 『Hyeonhakgeumbo』 are similar although compilation time of two scores are different by 130 years, the 『Soyoungjibseong』, which is 30 years ahead of 『Hyeonhakgeumbo』, is different compared to 『Nangongsinbo』. This fact is presumed that the <Pyeongjo Boheoja> of 『Soyoungjibseong』 and 『Hyeonhakgeumbo』 are played by different groups.




    These <Pyeongjo Boheoja>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were first recorded in the 『Nangongsinbo』 and then varied in the 『Soyoungjibseong』. However, the <Pyeongjo Boheoja> of 『Hyeonhakgeumbo』 did not reveal much more changes than the 『Nangongsinbo』. This phenomenon is reason why that the <Pyeongjo Boheoja>, which known as first made by Kim Sung-Ki, have refined by few elegant people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however, it could not be transmitted because of getting much attention from other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