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용자 경험 기반 자동차 디자인 관련 감성 가치 연구 - 여성 운전자의 감성 어휘와 행동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motional Value about Car Design Oriented in User Experience -Focusing on Analysis about Female Owner Driver’s Emotional Vocabularies and Activities-)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5.09
15P 미리보기
사용자 경험 기반 자동차 디자인 관련 감성 가치 연구 - 여성 운전자의 감성 어휘와 행동 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1권 / 3호 / 589 ~ 603페이지
    · 저자명 : 임영빈, 나건

    초록

    감성 디자인의 중요성은 과거 남성 위주의 관점에서 접근해오던 자동차 분야에도 영향을 주어 갈수록증가하는 여성 소비자의 세부적인 정서적, 감정적, 감각적 니즈 등을 적극 반영한 전략과 모델을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자동차의감성 디자인 및 여성사용자에 관한 연구는 정량적 평가를 위한 감성형용사를 통한 결과 도출에 한정되거나 시트, 클러스터 등 부분적인 아이템 디자인 개발과같은 좁은 범위로 귀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자동차 디자인의 핵심 요인으로부각되고 있는 여성 사용자의 감성적 니즈 및 잠재적필요 요구사항 등을 다양한 관점에서 도출 분석하여앞으로 선보여질 여성 전용 자동차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 및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 문헌 고찰을 통해 어느 정도 가시화 되고 있는 자동차에 있어서의 일반적 감성 디자인가치 및 속성 그리고 여성 사용자의 특성과 요구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았다. 또한 국내외 자동차 및디자인 유관 자들의 연구 논문과 전문 기사 및 관련정보에 소개되어 있는 여성 친화형 또는 특화형 차량사례를 토대로 현재 여성을 고려한 자동차 디자인의현황과 가시적인 미래 발전 가능성이 있는 8가지 트렌드 키워드(colorful, stylish, practical, efficient, emotional, simple, esay to drive, physical care)를 도출해 보았다.
    무엇보다 단순 설문이 아닌 인뎁스인터뷰, 포토다이어리, 주행 행태 관찰 등을 통한 직간접적 사용자 중복 조사를 통해 여성 사용자의 실제 언어, 무의식적행동, 잠재적 니즈 등의 내용을 디자인 전문가들이 정성적 차원의 연구와 분석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최근 자동차 디자인에 있어서의 여성 사용자 감성 목표가치 및 인식 그리고 보다 상위 개념의 컨텍스트 별디자인 아이템을 선정하여 그에 대한 디자인 관여 요소 등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특히, 여성사용자 스스로가 여성성 또는 여성 친화형 제품(자동차)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본질적인 가치 탐색을 실시하고, 연결선상에서 자동차에 대한 인식과 태도 그리고 자동차 아이템 별 각각에대한 세부적인 니즈 분석을 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 번째, 자동차 디자인에서 여성과 감성 디자인 의트렌드 변화 키워드 분석을 통해 미래적 감성 가치 6 가지(다채로움 colorful, 매력 stylish & sexy, 실용성practical, 효율성 efficient, 따뜻함 care, 쉬움 simple & direct, 편의 easy to drive)를 제시하고, 두 번째, 각종 문헌 자료 및 전문 기사 등에서 추출한 자동차 디자인의 여성 감성 어휘와 사용자 조사에서 언급되고 표현된 각종 언어 등을 종합하여 4가지유형(여성스러움 feminine, 안정성 stable, 고급스러움luxury, 적극성 active)의 구체적인 상징 가치를 그룹핑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12명(파일럿 3 명, 실질 조사자 6명)의 정성 조사의 결과로 실질적인 니즈 파악에 관련한 실제적 가치 6가지(다용도 multi-use, 보호 protect, 아름다움 beauty, 유희 entertaining, 개방, 자유함 free, 알림 notice)를 도출해 내었다.
    최종적으로 디자인 적용의 범위와 영역을 제시하기위하여 위의 세 가지 부문의 감성 가치를 사용자 조사에서 나타난 자동차에서의 여성의 주요 고려 컨텍스트를 기초로 한 디자인 아이템과 요소 등을 종합하여 총 8가지 디자인 가치 속성(거주성, 시계/인지성, 안전성, 편의성, 수납성, 심미성, 환경성, 관계성)을 정리하였다.

    영어초록

    The significance of emotional design affected the field of automobile, which has been approached from the male-centered perspective, and there are increasing strategies reflecting female consumers’ detailed affective, emotional and sensual needs actively, and such models are released competitively. But despite these changes in the market, studies of the emotional design of cars and the female users are limited to drawing the result through emotional adjectives for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r result in narrow rang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partial item designs like sheets or cluster etc.
    Therefore,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give a direction and inspirations for developing a female car through precise user’s necessities and unmet-needs.
    It also examined the values and attributes of general emotional design of the car and the female users’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which are visualiz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literatures. In addition, based on the cases of women-friendly or-specialized type vehicles introduced in research papers, professional articles and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domestic and foreign persons concerned with cars and designs, the status of the current car designs considering women and eight kinds of keywords of trend (colorful, stylish, practical, efficient, emotional, simple, easy to drive, physical care) with visible potential of development in the future were drawn.
    Above all things, through the direct or indirect duplicate researches of users such as in depth interviews, photo diary and driving behavior observation etc., but the simple survey, the design experts could draw the female users’ actual language, involuntary actions and potential needs, etc. through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qualitative dimension about the emotional target value and perception of female user of the finally recent car design, and the design related elements by selecting designs item from the context of a higher concept.
    Especiall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intrinsic value to research the female users’ perception about the femininity or women-friendly product (car), and analysis of the detailed needs for each car item, recognition and attitude about the car in the connecting line are as follows.
    First, six future values of sensibility (colorful, stylish & sexy, practical, efficient, care, simple & direct, easy to drive) were proposed through the analysis on the keywords of the trend change of the women and emotional car design, second, the feminine emotional words of the car design extracted from the various literature data and professional articles and the various languages noted and expressed from the user survey were integrated for grouping the specific symbol value of four types (feminine, stable, luxury, active). Finally, six actual values (multi-use, protect, beauty, entertaining, free and notice) related to examine the substantial needs were drawn from the results of qualitative research of twelve people (three pilots, six practical examiners)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data.
    Lastly, in order to propose the range and areas for applying the designs, summarizing design items and elements based on the key context, considering women at the car in a user survey of the emotional values of the three sectors above, a total of eight design value properties (habitability, visibility/awareness, safety, convenience, storage, aesthetics, environment, relationship) were draw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