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동하는 시대의 이방인들, 이주자와 여행자 - 조해진의 ≪로기완을 만났다≫를 중심으로 (Stranger Groups, Migrants, and Travelers in the Age of Mobility - With a focus on I Met Ro Gi-wan by Jo Hae-jin (Changbi, 2011))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3.12
28P 미리보기
유동하는 시대의 이방인들, 이주자와 여행자 - 조해진의 ≪로기완을 만났다≫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65호 / 643 ~ 670페이지
    · 저자명 : 이미림

    초록

    탈국경 이동이 일상화된 유동성의 시대에 이방인으로서의 흔적과 타자의 표상으로 주목받는 이주자와 여행자가 유령처럼 지구촌에 출몰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을 반영한 여행소설, 다문화소설, 디아스포라소설이 발표되고 있으며, 이방인 정체성을 지닌 주인공이 등장하였다. 조해진의 ≪로기완을 만났다≫는 전직방송작가인 ‘내’가 탈북청년 ‘로’의 행적을 쫓아 벨기에와 런던을 여행하는 과정에서 국제적 미아이자 사회적인 좀비인 ‘증’없는 비존재 로에 공감하고 동일시되면서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고 작가라는 입사의례를 통과하는 여정을 그린다. 21세기의 가장 미천하고 비루한 타자로 은유되는 탈북이주자인 로와 한민족 디아스포라 박, 끔찍한 얼굴 때문에 차별받는 17세 고아소녀 윤주와 내가 연대함으로써 난민, 고아, 불법체류자, 디아스포라, 소설가는 이방인 정체성을 공유한다. 어머니와 조국을 잃어버린 로의 아픔와 아내의 안락사에 조력한 박의 고통, 어린 나이에 커다란 불행을 감당한 윤주의 절망이라는 타자의 얼굴에 응답하고 환대하는 타자지향적 자세와 소수자적 입장에서 글을 써야한다는 문학적 자세를 작가는 주창하고 있다. 가족을 잃고 자신을 증명할 어떤 관계도 형성되지 못한 채 지구 밖을 떠도는 로는 로기완이라는 풀네임과 사랑하는 여성과의 관계맺음을 통해 존엄성과 존재감을 되찾고자 하며, 그러한 로의 고통과 아픔, 슬픔을 역추적하고 추체험하는 과정에서 창작의 어려움과 한계를 느끼지만 21세기의 비극적 인간상인 주인공에게 빙의되고 투사한 작가는 한 편의 장편소설을 완성해 나간다. 살아남아야하는 최악의 인간조건을 지닌 탈북디아스포라의 해맑은 웃음과 대면하고 접촉한 작가이자 소설 속의 화자는 타자의 권리와 상처치유, 자기수련이라는 여행과 이주를 통한 입사의례적 방랑을 마친다. 이주자인 탈북청년과 여행자인 소설가의 지향점과 목표의식은 다르지만 소수적 연대 속에서 우리 자신의 문제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과 이방인의 타자적 정체성 그리고 인권에 대해 이 소설은 말하고 있다.

    영어초록

    In the age of mobility when trans-border movement has become part of daily life, migrants and travelers that attract attention as the traces of minority group and the representations of others are appearing around the global village as if they were specters. Reflecting such a social phenomenon, travel, multicultural, and diaspora novels have been published. Protagonists with the identity of alien or marginal person have also made their way to such works, reflecting the phenomenon. In I Met Ro Gi-wan by Jo Hae-jin, “I,” a former scripter, follow the track of “Ro,” a young male North Korean defector, throughout Belgium and London. In the process of travel, I empathize and identify with Ro, an international missing person, social zombie, and non-being with no “certificates,” healing my own wounds and passing the rite of passage as a writer. I join together with Ro, a North Korean defector metaphorically considered as the lowest and basest others in the 21st century, Park of Korean diaspora, and Yun-ju, a 17-year-old girl that is an orphan discriminated for her horrible face, thus finally realizing that I am the very minority group of refugee, orphan, illegal alien, diaspora, and novelist. The author presents the others-oriented attitude to respond to and welcome the faces of others, which include the suffering of Ro, a migrant that has lost his mother and motherland, the pain of diaspora Park that assisted the euthanasia of his wife, and the despair of Yun-ju that has to endure incredible misery at a young age. The author also presents a literary view to write in the shoes of minority groups. Not forming any relationship to prove himself after losing his family and wandering outside the earth, Ro tries to take back his dignity and present as a human being through his full name Ro Gi-wan and his connections with a lady he loves. The author feels the difficulty of creation and the limitations as writer in the process of reverse tracing and indirectly experiencing his suffering, pain, and sadness but manages to complete a novel by transferring his soul to Ro, the protagonist of his story, and projecting himself onto him. The author and speaker of the story faces and personally contacts the innocent smile of diaspora of North Korean defectors that should survive even in spite of the worst human conditions and completes his wandering as a rite of passage through the rights of minority groups, the journey of human identity, wound healing, and self-training, and the mobility of migration. The novel talks about human rights, arguing that even 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oints of orientation and consciousness of goals between the migrant North Korean defector and the travelling novelist, we should eventually take the issues of minority groups as ours in otherness and minority solida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