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용자 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한 고령친화도시 디자인 현황분석 -고령자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Analysis for Age-friendly City Design Based on User Research Analysis -Focused on Senior Lifestyle-)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7.06
14P 미리보기
사용자 조사 분석을 바탕으로 한 고령친화도시 디자인 현황분석 -고령자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3권 / 2호 / 321 ~ 334페이지
    · 저자명 : 성소라, 전영재, 나건, 이은경

    초록

    고령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고령자를 배려한 물리적⋅사회적 환경 구축을 위해 디자인 역할 및 중요성이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대부분의 국내 연구는 WHO의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 항목을 기준으로 현재의 현황을 점검하는 정도로진행되고 있으며, 그 대상이 되는 고령자에 대한 이해는 미미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고령친화도시 구축을 위해 사용자 조사를 통해 고령자의 라이프타일 유형에 따른 물리적⋅사회적 환경 개선요인을분석하여 고령친화도시 디자인의 기본 방향성 설정을위한 기반마련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 및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다각도의 문헌연구를 통해 고령화 사회의 개념을 정의하고 연구의 대상자인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및 특징을 정리하였다. 둘째, 고령친화도시에 대한 이론적 개념에 대해 논의하고, 국내⋅외 고령친화도시사례 분석을 통해 각 도시별 디자인 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셋째, 65세 이상의 고령자 12명을 대상으로1:1 심층 인터뷰와 행동관찰 및 쉐도잉을 실시 한 후, 물리적⋅사회적 환경에 따라 나타나는 고령자들의 행동 및 인식에 대해 KJ법을 통해 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자기 주도적, 타인 의지적 라이프스타일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물리적 공간에서 고령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수립해야 하며, 공간뿐만 아니라, 생활하는데 있어 필요한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디자인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정서적 측면을 고려하는 사회적 환경 조성을 통해 고령자들의 적극적인 사회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서비스 디자인적 접근방법을 구축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물리적, 사회적 환경구성을 기반으로 고령자뿐만 아니라, 그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까지 고려하여 도시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고령자의 이해를 바탕으로 라이프스타일유형에 따른 물리적⋅사회적 도시환경 개선요인 분석을 통해 고령친화도시 디자인의 기본방향성 설정을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고령친화도시를 구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더불어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사회⋅문화적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을세분화 시켜 연구를 진행한다면 고령친화도시 구축을위한 보다 구체적 디자인 방향성을 도출 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With the emergence of aging society, the role and importance of design for physical, social environment construction considering seniors is expanding.
    However, as the understanding towards seniors is insufficient, most of the domestic research remain on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 of Age-friendly city guideline that is published by WH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foundation for determining the basic direction of Age-friendly city design. By analyzing the diverse lifestyle type of elderly people through user research, this study aims to find improvement factors regarding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in accordance with the paradigm shift of our current society.
    The study method and significant details are as below. First, the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aging societ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rom various angles and organized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lderly lifestyle. Second, the study discussed the theoretic concept of Age-friendly city and examined the current condition and design of each city based on case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Age-friendly city. Third, the study conducted 1:1 in-depth interview using behavior observation and shadowing methods targeting 12 seniors, who are over 65 years-old, and analyzed the behavior and awareness of elderly in accordance with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using KJ method into each type of lifestyle.
    The two main types of seniors' lifestyle is categorized into an independent self-driven and dependent lifestyle. This type of lifestyle requires design guidelines to prevent the risks to the elderly in the physical space, and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not only to space, but also to the design of products and services necessary for living. It is also necessary to build a service design approach that can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elderly people in society by creating a social environment that considers the emotional aspects. Finally, based on the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of these lifestyle types, an urban environment should be built not only for the elderly but also for the various stakeholders influencing their lives.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basic direction of Age-friendly city design by analyzing the factors of physical and social 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lifestyle typ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elderly people.
    In the prospective studies, it is expected to further investigate the various influential stakeholders' lifestyles according to socio-cultural factors and specific design direction for constructing the Age-friendly c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