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리지정자와 자리지키는자 그리고 큐비즘 (Usher, Placeholder and Cub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8.07
21P 미리보기
자리지정자와 자리지키는자 그리고 큐비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93권 / 3호 / 327 ~ 347페이지
    · 저자명 : 최행준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피카소의 큐비즘을 자리지정자와 자리포기자 사이에서 자리지키는자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현대회화의 역사에서 피카소의 공헌은 다양한 시점에서 파악된 대상을 본질적 형태로 환원하여 화면을 재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피카소의 공헌은 대상의 관점에서 본질을 드러낸 것이지만 주체의 관점에서 시점권력을 포기한 것이다. 시점 권력의 포기는 분석적 큐비즘을 지나 종합적 큐비즘으로 이행한다. 화가의 자리, 즉 하나의 시점 포기의 가장 과격한 실천이라고 할 수 있는 분석적 큐비즘은 다양한 시점을 수용한 가운데 대상이 알아볼 수 없는 방식으로 해체한다. 피카소는 이 시기의 일부 그림에 작가의 권력을 확인하는 서명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종합적 큐비즘 시기 및 이후의 작품에서는 시점을 2~3개로 제한한 가운데 매개자로서 작가의 자리를 포기하지 않는다. 화가의 시점권력은 타자의 시점들로 해체되는 것이 아니라 해석하고 매개한다.
    하버마스는 현대 철학자들에 의해 자리지정자로서 철학의 지위가 해체된다고 진단한다. 그러나 철학이 해체될 경우 분화된 문화적 영역들 간 그리고 전문가와 생활세계 간의 매개가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하버마스는 철학이 최고재판관의 권력을 휘두르는 자리지정자를 포기하더라도 자리포기자가 아니라 자리지키는자의 역할을 담당하여 다영한 학문영역과 다양한 관점이 교직하는 자리를 포기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전통회화에서 큐비즘으로의 전환 그리고 분석적 큐비즘에서 종합적 큐비즘으로의 전환은 하버마스의 자리지정자, 자리포기자 그리고 자리지키는자의 전환과 상응한다. 이 논문은 하버마스의 글과 피카소의 그림 사이에서 시점, 즉 자리의 위상 변화를 추적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 하버마스의 자리지정자 개념과 큐비즘 이전의 전통회화를 다룬다(Ⅱ장). 여기에서 최고재판관으로서 철학과 주체의 권력 그리고 전통회화에서 화가의 자리지정자로서의 권력의 유사성을 다룬다. 둘째, 하버마스가 『도덕의식과 소통적 행위』에서 다룬 이성의 요구 자체를 공격하는 현대 철학과 전통회화의 원근법을 해체하는 분석적 큐비즘을 다룬다(Ⅲ장). 여기에서 철학과 주체 해체의 공과 과를 하버마스의 입장에서 다룬다. 동시에 피카소가 브라크와 함께 분석적 큐비즘을 단행한 이유와 발생한 문제가 무엇이었는지 살펴볼 것이다. 셋째, 하버마스의 자리지키는자와 종합적 큐비즘 이후 피카소 작품의 유사성을 다룬다(Ⅳ장) 이를 통해 하버마스가 철학과 주체의 자리를 포기할 수 없었던 이유와 이와 유사하게 피카소가 화가의 자리를 고수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밝힌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truct the Cubism of Picasso as a placeholder between the usher and the abandoner.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paintings, Picasso's contribution is reconstructed by restoring the objects identified at various points of view to the essential form, the abstract lines and faces. This contribution of Picasso reveals the essence from the viewpoint of the object, but abandons the viewpoint power from the viewpoint of the subject. The abandonment of viewpoint power transitions through analytic Cubism to synthetic Cubism. Analytical Cubism, which is the most radical practice of renouncing the position of a painter, that is, giving up one point, dissolves in an unrecognizable way while accepting various points of view. Picasso does not sign any paintings of this period to confirm the author's power. However, in the period of synthetic Cubism and later works, we limit the number of viewpoints to two or three, and do not give up the position of the artist as a mediator. The point of view of the painter is not to be dismantled at the point of view of others but to interpret and mediate.
    Habermas diagnoses that the position of philosophy is dismantled as a placeholder by modern philosophers. However, if philosophy is dismantled, it argues that mediation between differentiated cultural domains and between the expert and the living world is impossible. Habermas argues that even if philosophy abandons the place of appointment of the supreme judge, It can not give up its position as a placeholder, and can not give up its place in the multidisciplinary field and diverse perspectives.
    The transition from traditional painting to Cubism and from the analytic Cubism to the synthetic Cubism corresponds to the transformation of Habermas as the usher, the abandoner and the placeholder. This paper traces the phase change between the Habermas text and the Picasso picture.
    First, it deals with Habermas' usher concept and traditional painting before Cubism (Chapter II). Here, as the supreme judge of philosophy and subject, we deal with the similarity of violence that power on objects and power as a placeholder of painters in traditional painting. Second, Habermas deals with the disintegration thought and analytic Cubism in the philosophical discourse of modernity (Chapter III). Habermas deals with the lesson of the dissolution of philosophy and subject. At the same time, we will look at why Picasso performed analytical cubism with Braque and what the problems were. Third, it deals with the similarity of Picasso's work after the synthetic Cubism with Habermas's placeholder (Chapter IV). This explains why Habermas was unable to give up the position of philosophy and subject and similarly, why Picasso had to adhere to the painter's pos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