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 직후 남한 귀환자의해외 재이주 현상에 관한 연구-만주 ‘재이민’과 일본 ‘재밀항’ 실태의 원인과전개과정을 중심으로, 1946~1947- (A Study on the Migration Phenomena of Korean Repatriates just after Liberation -Focus on Illegal Moving Back to Manchuria and Japan, 1946~1947-)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8.06
48P 미리보기
해방 직후 남한 귀환자의해외 재이주 현상에 관한 연구-만주 ‘재이민’과 일본 ‘재밀항’ 실태의 원인과전개과정을 중심으로, 1946~1947-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민족문제학회
    · 수록지 정보 : 韓日民族問題硏究 / 34호 / 77 ~ 124페이지
    · 저자명 : 이연식

    초록

    解放直後における韓国の人口は、約1,600万人であったが、わずか1年の間 に、海外から約250万人が流入し、急激な社会的な増加を経験した。海外帰 還者は、38度線を越えて南下した帰郷民·越南民·中国帰還者と、釜山と付 近の沿岸地域に戻ってきた、日本をはじめアジア·太平洋地域の帰還者に分 けられるが、中国大陸と日本列島から帰ってきた帰還者が、全体流入人口の 約80%を占めた。ところが、1945-1946年の間に爆発的に増加した海外帰還者 の流入は、1946年3-4月を基点に急速に減少し、ついに母国に背を向け、満 州や日本に再移駐する人々が現れた。 この研究では、解放の後、海外帰還者の「再移住現象」に関するものである が、再移住を決めた人が、母国を離れていった動機と移住地での展望、再移 住者が発生した、1946-1947年における韓国社会の構造的問題、再移住者に 対する社会的認識などを考察した。その結果、満州移住の場合は、日本植 民地時代に農地を開拓した韓人が、解放後北朝鮮や韓国に帰り、満州の中 で閑村が発生した反面に、韓国と北朝鮮は、1946年米軍政の南北間の交易 断絶措置により、肥料や農機具の調達をはじめ、農地改革の遅延により、小 作地が得られなかった南部地域の帰還貧農が再び移住したことが分かった。 一方、日本の場合は、1946年に入り、アメリカが、在日朝鮮人の財産搬入 規制を強化し、日貨預金領を断行することにより、すでに搬入した円貨さえ使え なくなった状況のなかで、物価高·就職難·食糧難などで生活が不可能になっ た大勢の人々が、日本に在留中である知人や親戚にたより集団密航したことが 明らかになった。 この研究では、全世界的に行われた前後人口移動が、韓半島の南部で、 どのように展開されたか、その普遍性と特殊性は何かという問題を解明する基礎 作業であったが、帝国解体の以後、旧植民地において、海外帰還者の受け 入れと社会的統合を通じた「国民形成」の過程が、どれぐらい難しい課題であっ たのかを実証した。また、帰還者の再移住という、「人の移動」という現象を通じ て、占領期における韓国社会の社会像と国家運営能力を、さらに多面的に眺 望した。また、世界的な移民排出国·ディアスポラ国家でありながらも、移住 労働者の主な流入国として現在の韓国が、直面している多民族·多文化状 況、変化する国民の概念と構成、在外同胞社会との関係の再設定問題など について、解放空間の歴史的経験を反芻するきっかけを提供し、それから知恵 を絞る契機を与えたことも研究史的な意義と言えよう。

    영어초록

    The liberated korea has the estimated population 16 million in 1945, and added 2.5 million just after an year. The korean repatriates returned by way of 2 main routes. The returnees, Wol-Nam-Min(former residents in north korea), and repatriates from Manchuria came into south korea over the 38th division line. The other repatriates from japanese islands and pacific areas came into Busan port and the vicinity. The repatriates who returned from the China and the Japanese islands made up about 80% of the total added population. However, the influx of overseas repatriates who explosively increased between 1945 and 1946, declined abruptly in April of 1946, and at last illegal re-emigration group to Manchuria and Japan Appeared, who had repatriated from those areas.
    This study deals with the “re-migration phenomenon of 1946” in korea, mainly focuses on 1) the motivation for those who decided to remigrate, their prospects of resettlement in Manchuria and post war japan after re-migration, 2)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Korean society in 1946-1947, and 3) the social recognition for the people who letf for Manchuria and Japan. This study proved the cause and background of re-migration phenomenon. The Manchuria case, the local authorities wanted farmers and peasants who could cultivate the abandoned land which had been originally pioneered and reclaimed by korean poor peasants, who repatriated to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repatriates had a hard time in tenanting farmland, and so much difficulty in getting farming tools including fertilizer. That’s why they left korea for Manchuria again. The Japanese case, the korean repatriates had a tough life owing to the restriction of properties left in japan, while the inflation and food shortage in korea got worse and worst. Accordingly, many koreans tried illegal entrance into post war japan.
    This study is a part of clarifying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post war repatriation and migration issues developed in the south Korea.
    Through this study, we can find how difficult it is for newly liberated areas to accommodate repatriates and make them ordinary nationals in harmonic way with successful social integration. and we can observe the social aspect and administrative ability of newly liberated south korea in detail, Because the present korea has faced with so many problems connected with immigration workers and re-setting with korean communities abroad, we should introspect these historical experience of our ow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日民族問題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