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자지귀』(老子指歸)의 우주자연관 (A study for the view of nature in Laozuzhigui(老子指歸))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09.12
24P 미리보기
『노자지귀』(老子指歸)의 우주자연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 / 32호 / 443 ~ 466페이지
    · 저자명 : 이석명

    초록

    이 논문은 『노자지귀』의 우주자연관이라는 주제를 통해 서한 말기 노학(老學)의 발전 경향과 흐름을 살펴보고 있다. 이 논문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노자지귀』(의 저자 엄군평은 『노자』의 추상적인 우주생성론을 보다 구체적으로 발전시켰다. 즉 『노자』에서 추상적으로 제시되는 “有生於無” 및 “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의 생성론에 대해, 기화우주론의 관점에서 구체적인 해석을 하고 있다. 특히 ‘일’ ‘이’ ‘삼’에 대해 ‘德’ ‘神明’ ‘太和’라는 구체적인 이름을 부여하고 있는 점이 독특하다. 둘째, 自生自化論을 발전시켰다. 『노자』에서는 “道生一, 一生二, …” 또는 “道生之, 德畜之, …”라는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도’가 생성자 내지는 주재자로 오해될 여지가 있었다. 이에 대해 엄군평은 “도덕이 만물을 생성하는 게 아니라, 만물이 도덕을 바탕으로 스스로 생겨난다”고 분명히 말함으로써 ‘도’가 생성의 주체로 오해될 여지를 해소시켰다. 셋째, 물아일체론의 기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엄군평은 ‘도’에 비해 보다 구체적인 ‘기’를 만물의 공통적인 요소로 제시함으로써 ‘나’와 ‘대상’ 사이에 긴밀한 유기적 관계가 존재한다는 점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론에 입각한 이러한 물아일체론은 이후 엄군평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무위정치론의 실현을 위한 하나의 이론적 근거로 활용된다.

    영어초록

    I studies the view of nature in Laozuzhigui(老子指歸) so as to find out the development and trend of Laozu-school in the later Si-Han(西漢). In this essay, I says three point.
    The first, the author of Laozuzhigui develops Laozu's abstract cosmology more concretely. He interpret Laozu's abstract cosmology such as “being birth from nonbeing” or “dao birth one, one birth two, two birth three, three birth all things” in the point of chi(氣)-theory.
    The second, he expands the theory of self-birth and self-growth. In reading Laozu we can misunderstanding dao as a creator, because there are descriptions such as “dao birth one” or “dao birth things”. At this point, he declares that “dao can't birth things, things are only born by themselves.” By this speaking, he can solve the philosophical problem.
    The third, he present a chi(氣)-theoretical ground of the traditional daoism theory that subject and object are one. He advocates that chi is the ultimate element of all things. So that all things are under one organic relationship, namely, subject and object are in the one system. Later, this theory is utilized as a theoretical ground of Laozuzhigui's wowei(無爲) political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