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에 나타난 ‘기쁨의 이중적 여정(旅程)’ -「입문자 교리교육」(De catechizandis rudibus)을 중심으로 - (Two different paths to joy in De catechizandis rudibus with st. Augustin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05.12
24P 미리보기
성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에 나타난 ‘기쁨의 이중적 여정(旅程)’ -「입문자 교리교육」(De catechizandis rudibus)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톨릭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신학 / 7호 / 105 ~ 128페이지
    · 저자명 : 이성효

    초록

    「입문자 교리교육」(De catechizandis rudibus)은 아우구스티누스와 데오그라티아스 부제 사이에 오간 편지이다. 데오그라티아스 부제는 교리교육을 잘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조언을 듣고자 편지를 썼다. 이에 대한 답으로 아우구스티누스는 교리교육에 대해 본질적인 부분부터 실천적인 부분까지 데오그라티아스 부제에게 알려 준다. 본질적인 부분의 핵심에 그리스도와 사랑이 위치하며 실천적인 부분의 핵심에 기쁨이 위치한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설명하는 기쁨은 “하느님께서는 기쁨으로 주는 사람을 사랑하십니다.”(2고린 9, 7)라는 바울로 사도의 말씀에 근거한다. “이 기쁨은 어떤 종류인가?” 또한 “이 기쁨의 역할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통해 아우구스티누스가 말하는 기쁨이 무엇인지 밝힌다. 이 기쁨은 항상 영원하며 영적이다. 달리 말하면 영원성(永遠性)과 영성(靈性)은 무엇이 기쁨과 일치하는지 밝히는 일종의 기준 역할을 한다. 이 기준에 따라서 아우구스티누스 작품에 나타나는 ‘미소 짓는 얼굴’이나 ‘감미로운 말’은 기쁨에 대한 또 다른 표현이며 사목적 기쁨과 일치한다.
    결론적으로 「입문자 교리교육」에서 발견되는 아우구스티누스의 교리교육의 원리는 ‘그리스도-사랑’이다. 데오그라티아스에게 건네는 그의 충고에 따르면 이 원리는 기쁨의 이중적 진행을 통해 성취된다. ‘감미로운 즐거움’에서 ‘영적 즐거움’으로 발전하는 영적 기쁨에 대한 현실적인 경험과, ‘인간의 기쁨’에서 ‘영원한 기쁨’으로 발전하는 기쁨의 영원성에 대한 희망 안의 긴장이다.

    영어초록

    De catechizandis rudibus is the letters of Augustine and Deogratias. Deogratias wanted to obtain advice from Augustine to seek the effective method in educating catechism. In response to this inquiry, Augustine informed Deogratias about the method of catechism which covered from fundamental to practical issues. The love of Jesus stood in the core of the fundamental issue, whereas joy was the main theme for the practical issue.
    The joy Augustine described is based on the words of St. Paul, “God loves a cheerful giver.”(II Co. 9,7). The questions such as "What kind of joy is this?" or "What is this joy for?" are used to reveal the joy Augustine had in mind. The joy, in his definition, is everlasting and spiritual. In other words, eternity and spirituality both act as a measure to decide what belongs to joy. This measure reveals that the terms in his work such as 'a smiling face' or 'a sweet words' express joy and at the same time coincide with ministerial joy.
    In conclusion, the principal of education found in De catechizandis rudibus is 'Jesus-love'. In the advice from Augustine, it is found that this principal operates with two different paths to joy - the real experience of evolving from 'sweet pleasure' to 'spiritual joy' and the tension formed in the hope of achieving eternal joy through developing from 'joy of human being' to 'eternal jo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