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료소개] 입주제사(立柱祭祀)의 역사적 연구 (A Historical Study of Standing Pillar Rituals: The Origins of Standing Pillar Features and Sacred Tree Beliefs)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1.08
52P 미리보기
[자료소개] 입주제사(立柱祭祀)의 역사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라시아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유라시아문화 / 5권 / 343 ~ 394페이지
    · 저자명 : 우에다후미오(植田文雄)

    초록

    제사형태의 하나로서 제장(祭場)에 기둥을 세우는 입주제사(立柱祭祀)가 세계각지의민족례에 존재한다. 일본열도(이하 열도라 함)에서는 상⋅하 스와대사의 「어주제(御柱祭)」가 유명하지만, 일반론으로서 그(입주) 기원을 죠몬시대의 목주열(木柱列) 등 입주유구에서 구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양자의 관련에 관해서는 논리적으로검증된 것은 없고, 관계가 깊지만 이 분야의 체계적인 연구는 뒤쳐져 있다. 또한 종종죠몬시대의 연구에서는 환상열석과 입석도 합쳐서 태양운행 등으로 관련을 짓는 이지이분론(二至二分論)과 랜드스케이프론(land⋅scape論)으로 설명되는 것도 문제이다.
    여기서 우선 열도의 고고자료의 입주유구를 대상으로, 분포상황과 입지환경으로부터성인동기⋅특성을 고찰하고, 입주제사의 분류와 계통을 제시하며 또한 그들의 전개과정에 관해서 서술했다. 고찰의 결과, 열도에서는 3가지 계통의 입주제사가 존재하며,그것들이 단순하게 현재까지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지적했다.
    다음으로 관점을 넓혀서, 인류사 속의 입주제사를 고찰하기 위해서, 세계의 고고ㆍ역사자료를 가능한 한 수집하고, 열도와 같은 방법으로 시간ㆍ공간분포와 입지환경, 형태등의 특성에 관해서 검토했다. 대상으로 한 범위는 유라시아대륙 전반이지만, 고대이집트, 남ㆍ북 아메리카의 상황도 거론했다. 아울러서 유사한 의례로서, 수목의 성성(聖性)을 숭배하는 신수신앙을 취급하고, 열도와 관계가 깊은 고대중국의 고고자료와문헌자료로부터, 신수와 입주가 같은 의미였다는 것을 지적했다. 나아가서 근대이전의인류지(人類誌)에서 입주제사와 신수신앙의 사례를 찾고, 세계적인 분포상황과 특성을검토하고, 그 보편성에 관해서 서술했다. 그리고 이들 고고ㆍ역사ㆍ민족자료를 총괄하여 역사적 전개과정의 3단계를 제시하고, 입주제사의 근원에 신수신앙이 잠재하는 것도논리적으로 제시할 수가 있었다. 또한, 보편적으로는 죽음과 재생의 제의가 저류에있고, 열도의 죠몬계 입주제사는 그 전형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었다.
    신석기시대 당초에는 생산기반인 숲과 수목에의 숭배로부터 신수신앙이 생겨났고,자연의 순환구조에 사람의 죽음과 재생을 관상(觀想)하며 입주제사가 시작되었다고생각할 수 있다. 그 뒤 각 지역의 사적전개의 속에서 각각의 제도와 종교에 편입되면서,목적과 형태도 다양화하였다.

    영어초록

    Standing pillar rituals in which a pillar is erected at a ritual location areknown from ethnographic examples all over the world. In Japan, the SuwaTaisha Shrine Onbashira-sai festival is a well-known example of such aritual. The ori-gins of this pillar festival are often said to lie in the Jomonperiod, but this has not been proven and research on this top-ic is poorlydeveloped. Furthermore, the use of landscape theory in Jomon researchto explain these rituals in the same way as stone circles is problematic.
    This article analyzes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standing pillar ritualsin the Japanese archipelago by examining their distribution and locationalfeatures.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re were three lineages ofthese rituals and that they have not simply continued unchanged throughto the present.
    Following this, a study was made of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materials relating to the distribution, locational en-vironment andmorphology of standing pillar rituals through human history. Regionsconsidered were the Eurasian continent, ancient Egypt, and North and SouthAmerica. Related examples of beliefs about sacred trees are also dis-cussedand materials from ancient China are used to argue that sacred trees and standing pillars have the same mean-ings. Ethnographic examples are usedto show that prior to the 19th century, this link between pillar rituals andsacred tree beliefs was universal. A combination of archaeological, historicand ethnographic information was used to suggest a three-stagedevelopmental scheme and to demonstrate theoretically that the roots ofpillar rituals can be found in sacred tree beliefs. Roots in ceremonies relatedto death and rebirth are also universal and it is concluded that theJomon-type standing pillar ritual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are typicalexamples of such ceremonies.
    It can be suggested that sacred tree beliefs were born from the forestand tree worship of the beginning of the Ne-olithic and that standing pillarrituals combined human death and rebirth within the rotating structure ofnature. Fol-lowing that, these rituals were incorporated into social andreligious systems as part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ach region andtheir objectives and form diversif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라시아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