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입김의 성질에 따른 단소의 단계적 지도방법 (Phased Tutoring Method for Danso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reath)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4.08
29P 미리보기
입김의 성질에 따른 단소의 단계적 지도방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연구 / 8권 / 2호 / 49 ~ 77페이지
    · 저자명 : 정일영

    초록

    단소의 소리에 관한 기존의 견해는 단소 소리의 성질을 낮은 음(평취)과 높은 음(역취)으로 나누고 있으며, 지도 방법도 낮은 음을 汰→潢→無→林→仲 순(또는 역순)으로 소리내기를 지도한 후, 높은 음을 㳞→淋→潕→㶂→㳲의 순으로 지도하는 것이었다. 이는 단소 소리를 내기 위한 입김의 성질을 고려하지 않은 방법으로 단소 소리의 지도 순서에 알맞지 않게 되어 단소 교육을 어렵게 만든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였다.
    단소의 소리를 입김의 성질에 따라 분류하면 ‘가운데 소리’, ‘낮은 소리’, ‘높은 소리’의 셋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운데 소리는 汰를 불 때와 같은 입김으로 소리 낼 수 있는 다섯 음(無, 潢, 汰, 㳞, 淋)이다. 낮은 소리는 汰를 불 때보다 입김의 세기는 약하게(또는 부드럽게), 입김의 양은 많이, 입김의 속도는 느리게 불어서 소리 내는 두 음(仲, 林)이다. 높은 소리는 汰를 불 때 보다 입김의 세기는 세게(또는 강하게), 입김의 양은 적게, 입김의 속도는 빠르게 불어야 하는 세 음(潕, 㶂, 㳲)이다.
    단소 소리의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위해서는 소리를 단계적으로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소 곡을 분석하여 보면 汰와 같은 입김으로 연주할 수 있는 가운데 소리의 비율은 대부분의 곡에서 70~80% 정도이다. 즉 汰 소리를 연주할 수 있으면, 입김을 다르게 하지 않고 운지법만 익히면 연주할 수 있는 가락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가운데 소리를 먼저 지도하는 것은 단소의 학습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단소곡에서 출현음의 비중이 가장 높다는 것은 단소곡을 쉽게 익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소를 활용한 창작 수업을 이른 시기에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입김의 성질에 따른 단소 소리의 지도 순서는 ①‘소리 내기(汰)’→②‘가운데 소리 내기 Ⅰ(潢, 無)’→③‘가운데 소리 내기 Ⅱ(㳞, 淋)’→④‘낮은 소리 내기(林, 仲)’→⑤‘높은 소리 내기(潕, 㶂, 㳲)’ 순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㳞과 淋에 비하여 입김의 성질을 달리 하여 소리를 내야 하는 낮은 소리(仲과 林)를 먼저 학습하게 되면 연주할 수 있는 곡의 범위가 매우 좁아질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 㳞과 淋의 소리를 내기가 어렵다는 선입견을 심어 주게 되어 단소 학습을 어렵게 만드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단소 학습의 체계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입김의 성질을 고려하여 그 흐름에 맞게 단계적으로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어초록

    The existing view about sound of danso divides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of danso into a low tone(Pyeong chui) and a high tone(Yeok chui). Tutoring method also teaches to sound the low notes in the order of tae→hwang→moo→eem→joong (汰→潢→無→林→仲) (or a reverse order), then teaches to sound the high notes in the order of joong→eem→moo→hwang→tae (㳞→淋→潕→㶂→㳲). This method does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breath to make a sound of danso; it was the factor which made danso tutoring difficult because of the unfavorable tutoring order of danso sound.
    Categorizing the sound of danso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reath, it can be divided in to three, ‘the middle pitch’, ‘the low pitch’, and ‘the high pitch.’ The middle pitch is the five notes (moo, hwang, tae, joong, eem) (無, 潢, 汰, 㳞, 淋) which can be sounded when blowing tae(汰). The low pitch is the two notes (joong 仲, eem 林) which are sounded by blowing weaklier (or softlier) than when blowing tae(汰), and blowing big amount of breath and slowly. The high pitch is the three notes (moo 潕, hwang 㶂, tae 㳲) which are blown harder (or more strongly) and more quickly with less amount of breath than when blowing tae(汰).
    For the effective tutoring method of sound of danso, it is important to tutor the sound in phases. Analyzing a danso music, the ratio of the middle pitch, which can be played with the same breath as tae(汰), is 70~80% in the most of danso music. That is, if able to sound tae(汰), one can play almost any music by not varying the breath and learning the fingering. Thus tutoring the middle pitch first is very effective in teaching danso. The high importance of emerged notes in danso music means an advantage which enables not only mastering danso music easily but also practicing creative classes using danso in the earlier period.
    The effective tutoring order of danso sou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reath is ①‘making a sound, tae(汰)’→②‘making the middle pitchⅠ(hwang潢, moo無)’→③‘making the middle pitch Ⅱ(joong㳞, eem淋)’→④‘making the low pitch(eem林, joong仲)’→⑤‘making the high pitch(moo潕, hwang㶂, tae㳲).’ If one learns the low pitch (joong仲 and eem林) which should be sounded by differing the characteristics of breath compared to joong㳞 and eem淋, the range of music to play becomes very limited, which gives a prejudice that it is hard to sound joong㳞 and eem淋 to students, making danso leaning difficul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systemicity of danso learning, tutoring in phases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breath and following the flow is desira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악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