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북한 전쟁 서사의 시간성과 여성 주체들의 (임)모빌리티-1950-1960년대 남북한 소설 간 비교를 중심으로 (The Temporality of South and North Korean War Narrative and the (Im)mobility of Women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fictions of the two Koreas from 1950s to 1960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2.12
34P 미리보기
남북한 전쟁 서사의 시간성과 여성 주체들의 (임)모빌리티-1950-1960년대 남북한 소설 간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상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이상리뷰 / 18호 / 119 ~ 152페이지
    · 저자명 : 하신애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남북한 전쟁 서사에 나타난 주체들의 이동 및 서사적 기법에 초점을 맞추어, 김남천의 「꿀」(1951)·황건의 「불타는 섬」(1953·1955)·정비석의 「간호장교」(1952)·황순원의 「목숨」(1951)·「너와 나만의 시간」(1958)·『나무들 비탈에 서다』(1960) 등 전방의 남성과 후방의 여성 간의 시간적 교차를 다룬 소설들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시공간에 대한 국가적 장악력이 극대화되었던 총력전 체제하에서, 남성과 여성이 각각 어떠한 시점(時點)에 배치되어 서사적 효과들을 산출했는지를 검토함으로써 전쟁 서사 속 젠더의 시간적 재편 양상을 규명했다. 나아가 이 글에서는 개개인의 시간 실천이 국가의 장악력을 초과하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작품 속 여성들이 총력전의 성별분업 구도를 넘어 각자의 현재와 미래를 향해 이동하는 과정을 고찰했다.
    1950-60년대 남북한 전쟁 서사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국가주의적 관점에 주목하여, 공간의 형상화 방식을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본 연구는 시간성이라는 연구 방법론을 활용함으로써, 한국전쟁기 성별분업에 입각한 국민화 과정이 남성-전방/여성-후방이라는 공간 재편뿐만 아니라 남성-현재-(미래)/여성-과거라는 시간 재편까지 초래했음을 논증했다. 이처럼 전쟁 서사의 시간성에 주목함으로써 본 연구는 한국전쟁기 시공간에 대한 국가적 장악력을 입체적으로 규명했을 뿐만 아니라, 국가적 질서를 넘어 다층적 시간성을 향해 “자율적으로 나아가고자” 했던 개별 주체들의 모빌리티까지 폭넓게 포착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and analyze fictions of South and North Korea set in the Korean War. Through this, this article examine the aspects of women represented in the 1950s and 1960s war narrative disappearing into uncertainty out of the war spectacle in connection with the transcendent past/divided present, or moving toward individual futures beyond the position granted by the state. In the inter-Korean war narrative, which used a spatiotemporal gender structure to build a wartime mobilization system, women are evoked and disappeared through flashback or fade-out techniques as an abstract medium to inspire and express private or national values that need to be separated to focus men on war performance. The timing and location of women's appearance/exit in the narrative are limited to the 'undifferentiated past', and they tend to be released from the glorious future of the coming male-state. But the inner will of women to perpetuate past timeliness by "watering past memories," or the movement of women to move toward individual futures by "transforming the universal purpose of government into private purposes," highlights the multi-layered timeliness that will come beyond the public reality of war or war.
    Until now, previous studies on the inter-Korean war narrative in the 1950s and 1960s have analyzed the ideological acceptance pattern and the formulation of the spatiality of the wartime system such as forward and backward based on a nationalistic perspective. This articl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exhibition hall, including Kim Nam-cheon's "Honey" (1951), Hwang Geon's "Burning Island" (1953), Jeong Bi-seok’s "Nursing Officer" (1952), Hwang Soon-won's "Life" (1951), "Time for You and Me" (1958), and "Trees Stand on Slope" (1960), focusing on individual internal and narrative techniques surrounding the exhibition syst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difference in gender composition embodied in the inter-Korean war narrative from various angles by using the analysis framework of temporality, while also examining the spatio-temporal movement of women who wanted to give themselves "excessive" historic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상리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