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식과 주체의 신체성 ―임화의 ‘주체의 재건’과 ‘이식’을 신체의 현상학으로 재독해하기 (Transplantation and Body of Subject)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4.05
30P 미리보기
이식과 주체의 신체성 ―임화의 ‘주체의 재건’과 ‘이식’을 신체의 현상학으로 재독해하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59호 / 127 ~ 156페이지
    · 저자명 : 김학중

    초록

    본 연구는 임화의 ‘이식’을 ‘주체의 신체성’으로 독해하려는 시도이다. 이러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임화가 ‘이식’을 도입할 때, 실제적으로 경유했지만 담론적으로 가시화되지 않은 영역이 ‘주체의 신체성’이기때문이다.
    임화는 주체가 지닌 ‘신체성’을 호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학사’에서 ‘이식’을 수행할 주체적 차원을 열었다. 이를 통해 임화는 식민주의의 폭력성을 환기하면서 이를극복하고 새로운 역사성을 가시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했다. 임화가 연 이러한‘주체의 신체성’의 지평은 비서구 주체의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지평이다. 임화는이 차원을 열기 위해 먼저 ‘주체의 재건’ 논의에서 주체의 지평에 ‘신체’를 놓는다. 여기에서 임화는 ‘프롤레타리아의 생활’과 ‘육체의 절박성’을 문학의 위기와 연결시킨다. 임화는 당대 리얼리즘이 현실의 묘사와 객관화에만 매몰된 나머지 현실의변화를 추동하는 가능성에 눈을 감고 있다고 비판한다. 임화에 따르면 현실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주체가 ‘혈육’을 가지고 실천하는 ‘신체’여야 한다. 흥미로운 점은임화의 문학사에서 ‘주체의 신체성’을 지닌 주체가 ‘이식’을 감내한다는 점이다. 여기서 ‘이식’은 단순히 식민주의의 ‘이식’이 아니다. ‘이식’은 ‘신체의 주체성’의 주체적차원에 의해 감내 되면서 미래로의 가능성을 여는 담론 행위이다. 이는 당대 일본의신체담론을 비판하면서 동시에 비서구 주체의 차원을 여는 작업이었다.
    당시 일본은 <근대초극론>을 통해 서구적 근대를 초극하여 일본적 근대를 열고자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도달한 것이 ‘천황제 국가 독점 자본주의’였다. 그런 점에서 <근대초극론>은 제국주의 일본의 이론적 기틀을 닦아주었다고 볼 수 있다. <근대초극론>으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이와 가까운 논의로 이해되는 것이 와쓰다 테츠로의 윤리학이다. 여기서는 일본의 신체담론이라고 논하였는데, 그 이유는 와쓰다테츠로가 윤리의 최고의 지평에 국가를 두면서 국가에 ‘공(公)’의 사상을 통해 자신의 신체를 내어놓는 것이 세간, 즉 공동체의 윤리를 지키는 것이라고 논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일본 군국주의가 카미카제를 수행하는 윤리적 기초가 된다. 즉 일본의신체담론은 주체성이 없는 신체를 추구하고 이를 군국주의의 희생물로 삼았다는것이다.
    그에 반해 임화는 ‘이식’을 도입하면서 이를 ‘주체의 신체성’을 전유하여 미래적 가능성을 열어내는 것으로 보았다. 임화는 주체가 지닌 ‘신체성’이 식민주의에 의해훼손되면서 결락된 지평을 ‘주체의 신체성’을 통해 주체화하는 것을 담론화한다.
    그것이 바로 임화의 ‘문학사’이다. 이를 독해하기 위해서는 메를로 퐁티의 신체담론을 경유해야 한다. 메를로 퐁티는 고유한 신체의 공간과 운동을 통해 훼손되거나상실한 신체적 기능 등을 신체가 주체적으로 대체하거나 회복하는 것에 대해 논한다. 여기에 임화는 ‘이식’의 지평을 기입한 것이다. ‘신체’는 잃어버린 기능도 ‘이식’ 을 통해 주체화하여 자기의 것으로 만들 수 있는 근원적 주체이다. 이를 통해 주체는 근원적으로 경험을 추동할 수 있는 지평인 삶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는 주체와얽히고 교차하며 주체의 가시화된 지평과 잠재적 지평을 동시에 연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주체의 신체성’은 비가시화된 잠재적 지평을 미래적 가능성으로 투사한다.
    앙리가 밝힌 삶의 근원적 지평에 놓인 ‘신체’란 바로 이러한 차원에 놓여 있다. 임화는 스스로 이를 담론화하지는 못했지만 이를 예비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주체의 신체성’은 비서구 주체가 당대적 현실에 대한 어떤 기록을스스로 남기지 못하더라도 침묵의 언어를 통해 식민주의에 저항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연다. 여기에 놓이는 것이 바로 서발턴의 침묵이다. 스피박이 논의하듯이 서발턴은 침묵한다. 말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비서구 주체가 저항을 통해 식민주의와맞설 수 있는 것은 주체가 가진 신체성 때문이다. 주체의 삶 그 자체가 저항으로현시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서구 주체의 특성이 바로 임화가 밝힌 ‘이식’과 ‘주체의 신체성’의 차원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terpret Lim Hwa’s ‘transplantation’ as ‘the physicality of the subject’. The reason why such research is necessary is because when Lim Hwa introduced ‘transplantation,’ the area that he actually passed through but was not discursively visualized was ‘the physicality of the subject’.
    Lim Hwa called the ‘physicality’ of the subject and, based on this, opened the subjective dimension to perform ‘transplantation’ in ‘literary history’. Through this, Lim Hwa evoked the violence of colonialism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it and visualizing new historicity. The horizon of ‘the physicality of the subject’ opened by Lim Hwa is a horizon that opens new possibilities for non-Western subjects. In order to open this dimension, Lim Hwa first places the ‘body’ on the horizon of the subject in the discussion of ‘reconstruction of the subject.’ Here, Lim Hwa connects ‘proletarian life’ and ‘the urgency of the body’ with the crisis of literature. Lim Hwa criticizes the realism of the time for being so absorbed in the description and objectification of reality that it is blind to the possibility of driving change in reality.
    According to Lim Hwa, in order to change reality, the subject must be a ‘body’ that practices with ‘blood and flesh’. What is interesting is that in LIm Hwa’s literary history, the subject with ‘the physicality of the subject’ endures ‘transplantation.’ The ‘transplant’ here is not simply the ‘transplant’ of colonialism. ‘Transplantation’ is a discursive act that opens the possibility to the future while being endured by the subjective dimension of ‘subjectivity of the body’.
    This was a work that criticized contemporary Japanese body discourse and at the same time opened up the dimension of non-Western subjects.
    At that time, Japan sought to overcome Western modernity and open a Japanese modern era through <Theory of Transcending Modernity>. And what was achieved through this was ‘Emperor-dominated state monopoly capitalism.’ In that respect, <Theory of Transcending Modernity> can be seen as lay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imperialist Japan. Watsuda Tetsuro's ethics is not classified as <Theory of Transcending Modernity>, but is understood as a close discussion. Here, it is discussed as a Japanese body discourse, and the reason is that Watsuda Tetsuro places the nation at the highest horizon of ethics, and offering one's body to the nation through the idea of 'Public Justice' promotes the ethics of the world, that is, the community. Because it was argued that it was to protect it. This becomes the ethical basis for Japanese militarism to carry out kamikaze. In other words, Japan's body discourse pursues a body without subjectivity and uses it as a sacrifice for militarism.
    In contrast, when Lim Hwa introduced ‘transplantation’, he saw it as opening up future possibilities by appropriating ‘the subject’s physicality’. Lim Hwa discourses on the subjectification of the missing horizon as the subject’s ‘corporeality’ was damaged by colonialism through the ‘the physicality of the subject’. That is Lim Hwa’s ‘literary history’. To understand this, one must go through Merleau-Ponty's discourse on the body. Merleau-Ponty discusses how the body independently replaces or recovers damaged or lost physical functions through the body's unique space and movement. Here, Lim Hwa writes about the horizon of ‘transplantation’. ‘Body’ is a fundamental subject that can make lost functions into subjects through ‘transplantation’ and make them their own. Through this, the subject can experience life, which is a horizon that can fundamentally drive experience, and this intersects and intersects with the subject, simultaneously opening the subject's visible horizon and potential horizon. It does not stop here, but the ‘the physicality of the subject’ projects the invisible potential horizon as a future possibility. The ‘body’ that lies at the fundamental horizon of life as revealed by Henry lies at this very level. Although Lim Hwa could not discuss this himself, he prepared it.
    The ‘physicality of the subject’ derived in this way opens the possibility for non-Western subjects to resist colonialism through the language of silence, even if they are unable to leave any records of contemporary reality. What is placed here is the silence of the subaltern. As Spivak discusses, the subaltern is silent. don't say Nevertheless, the reason non-Western subjects can confront colonialism through resistance is because of their physicality. This is because the subject's life itself is presented as resistance. These characteristics of non-Western subjects are the dimensions of ‘transplantation’ and ‘physicality of the subject’ revealed by Lim Hw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