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OTT 플랫폼 시대 드라마 제작사 임직원의 기획개발에 관한 인식 변화 (Changes in perceptions on the development of executives of Korean drama production companies in the era of OTT platform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2.09
28P 미리보기
OTT 플랫폼 시대 드라마 제작사 임직원의 기획개발에 관한 인식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콘텐츠 / 66호 / 75 ~ 102페이지
    · 저자명 : 김일중, 김치호

    초록

    본 연구는 2020년대 이후 빠르게 변모해온 한국 드라마산업 환경에서 드라마 제작사의 기획개발 활동이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 조사, 분석했다. 이를 위해 한국 드라마 대부분을 제작하고 있는 드라마 제작사의 임직원들이 최근 드라마 기획개발 개념, 세부 활동, 역량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거쳐 탐색했다.
    연구 결과, 국내외 OTT 플랫폼 기업이 드라마 기획, 제작, 유통을 본격화하면서 드라마 제작사의 기획개발 양상이 크게 달라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과거 방송사 미니 시리즈가 드라마산업의 주류였을 때는 기성 작가가 중심에 서서 대본을 개발하는 기획 개념이 통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기획개발 활동은 웹툰, 웹소설 등 원작 구매, 신인작가 발굴 및 육성, 대본 개발, 편성, 투자 유치, 감독 및 배우 캐스팅, 미디어 플랫폼 결정까지 포함하는 넓은 범위로 확장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 시점에서 한국 드라마의 기획개발 정의를 ‘장래 방영 또는 서비스할 것을 목적으로 콘텐츠 소재를 발굴하고, 영상화에 필요한 권리를 확보하며, 작가 등 집필진을 구성하여 드라마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대본을 개발·완성하고, 감독, 주요 출연진과 미디어, 플랫폼을 확정하는 일련의 모든 작업을 총칭’ 한다로 범위를 확장하여 제시하였다. 아울러 드라마 기획개발을 소재 발굴․대본 개발, 패키징, 미디어 플랫폼 매칭 등 세 단계로 구분하고, 각각의 세부활동 내용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드라마 기획개발의 확장된 정의와 세부활동 내용을 규명하고 정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드라마 제작사의 기획개발에 참여하는 주체와 역할, 다양한 집필 방식을 포함하는 기획개발 시스템의 유형과 특징, 장단점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고, 이는 향후 후속 연구의 과제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how the development activities of drama production companies are changing in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the Korean television drama industry since the 2020s.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researchers explored how the executives and staff of drama production companies, which develop and produce most of Korean dramas, currently perceive the concept of drama development, activities, and cap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ment aspects of drama production companies are changing significantly as domestic and foreign OTT platform companies start producing, and distributing Korean dramas in earnest. In the past, when mini-series of broadcasters were the mainstream of the Korean drama industry, the concept of development in which established writers stood at the center and developed the script was commonly used. However, recently, it has been revealed that development activities are expanding to a wide range, including purchasing originals such as webtoons and web novels, discovering and nurturing new writers, developing scripts, attracting investment, packaging such as casting directors and actors, and matching media platforms.
    Accordingly, this study extended to define the development of Korean dramas at this point as 'a generic term for all the series of works to discover content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broadcasting or service in the future, and to secure the rights necessary for video, and organize a team of creators and develop the script to make it possible to produce a drama and further more to determine the director, main cast, media, and platforms’. In addition, this study divided the drama development into three stages: sources discovery and script development, packaging, and media platform matching, also classified the details of each activ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the new definition and detailed activities of Korean drama development.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is study did not present the participants and their role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and the type, characteristics,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development system including various writing methods. This will be a task of future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콘텐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