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화의 유물론적 사유에 나타나는 주체의 위치(position) (The Position of Subject in Im-Hwa's Materialism)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08.04
32P 미리보기
임화의 유물론적 사유에 나타나는 주체의 위치(position)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24호 / 213 ~ 244페이지
    · 저자명 : 손유경

    초록

    이 논문은 임화의 비평에 나타나는 유물론적 세계관을 재고찰하기 위해 쓰였다. 임화의 문화 예술론은 유물론의 경계 안에 갇혀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넘나들면서 문학과 예술, 그리고 창작 주체인 인간의 열정, 상상력, 양심의 힘에 전폭적인 지지를 보내면서 전개된다. 따라서 반영론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않지만 분명 그것을 초과하고 있는 어떤 지점, 다시 말해 문화와 예술의 일차적 중요성과 인간의 ‘감성’이나 ‘꿈’ 그리고 ‘열정’과 같은 미적 자질에 대한 임화의 신념에 본고는 주목하였다. 임화가 꿈꾼 공산주의적 인간형은 육체노동과 예술 창작의 경계를 자유자재로 넘나들 수 있는 전인적 인간에 가까웠으며, 시인, 영화배우, 조직운동가, 출판경영자, 그리고 비평가로 살아 온 임화 자신의 생애가 마르크스가 말한 “전면적이고 심오한 감각을 지닌 풍부한 인간”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는 점에서 비평가 임화의 고유성이 자리한다.
    예술(노동)을 예술가의 특권이 아닌 인간의 유적 보편성에 속한 것으로 파악하는 이 같은 태도에서 임화의 비평가적 이상(理想)을 엿볼 수 있다면, 그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임화의 전략은 철저히 당파적인 입장에서 구상되었다. 임화는 ‘어떤’ 인간이 갖는 특정한 속성을 인간 ‘본질’로, ‘어떤’ 지식이 표방하는 특수한 이해관계를 지식 ‘일반’으로, ‘어떤’ 주체의 구체적 입장(position)을 ‘보편적’ 주체로, ‘어떤’ 현실의 국면적 특수성을 ‘객관적’ 현실로 둔갑시키려는 모든 시도를 비판한다. 임화의 유물론적 사유 안에는 ‘누구의’ ‘어떠한’이란 구체성을 띠고 있지 않은 보편타당한 입장이란 존재하지 않았는데, 임화에게 사회주의라는 지식(이론)의 생명은 지식의 가치중립성이라는 신화를 벗겨내는 데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진실은 본성상 당파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올바른’ 유물론자는 보편을 자처하거나 ‘전체로서의 세계’가 존재한다고 믿어서는 안 된다고 임화는 주장한다. 항상-이미 현실의 일부분인 작가(주체)는 따라서 현실을 단순한 묘사 대상으로 다룰 수 없다.
    문학=행동이라는 신념으로 부르주아적 시민예술의 예술지상주의를 돌파하고자 했던 임화는 중일 전쟁 이후 문화와 정치의 자기동일성을 주장함으로써 그 문제의식을 이어받는다. 예술 곧 노동이라는 인식이 여기서는 문화 곧 정치라는 등식으로 대체된다. 인간의 정서와 감성 구조 자체를 바꾸는 문화 예술의 해방적 가치에 관한 임화의 일관된 강조는 그 자체로 문제적이었다. 그러나 공산주의적 인간형과 혁명에 대한 理想을 한 축으로, 그리고 그러한 이상과 불화하는 현실과 대립하면서 취해지는 당파성을 다른 한 축으로 하는 임화의 긴장된 사유는 중일 전쟁을 고비로 느슨해진다. 당파성을 전면적으로 내세우지 못하게 된 이 같은 상황에서 임화는 ‘예술적 실천’이라는 노선을 천명한다. 작가(예술가) 고유의 행위인 ‘예술적 실천’을 여타의 행위들에 비해 우월하고도 중요한 것으로 간주하는 임화의 이 같은 입장은, 그의 유물론적 세계관 안에서 문학과 예술, 그리고 그것의 창작 주체가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다시금 확인하게 한다는 점에서 임화 비평의 일관성을 이룬다. 보편적 주체를 상정한 김남천의 리얼리즘론을 공격하는 예외적인 장면을 제외한다면, 이 시기 임화의 비평에서는 ‘누구의’ ‘어떠한’이라는 구체성이 잘 사유되고 있지 않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reread Im-Hwa's materialism. Focusing on the materialism as a critical keyword to understand Im-Hwa's coherence in his writings, I intend to illuminate the position of subject in his materialistic viewpoints. The significance of writers, artists, and their passion, emotion, imagination played an essential role in formation, development, and diversification of Im-Hwa's Marxist literary criticism. He regards a person who recovers his/her oppressed instinct and reforms his/her artistic nature as an ideal type of human being. According to Im-Hwa, writers should 'dream' and 'imagine' the ideal type of human being and society.
    Im-Hwa's strategy to realize the ideal is founded on the principle of the partiality. He believes that 'the real' by definition is partial. It is important for a real Marxist not to pretend to be a universal observer but to take a particular position in the real struggle. Reality is not an object of description, but a world where the writers live.
    In the late 1930's, Im-Hwa addressed the 'artistic practice' as a political as well as literary strategy. It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the coherence in his critical writings because in his materialistic viewpoints literature and arts take not secondary but primary position. However, without the principle of the partiality, Im-Hwa's strategy of 'artistic practice' deviated from the coher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