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신기 모체 혈청과 신생아 제대혈청의 철분함량 (Serum Iron Concentrations of Maternal and Umbilical Cord Blood during Pregnancy)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05.12
9P 미리보기
임신기 모체 혈청과 신생아 제대혈청의 철분함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0권 / 6호 / 860 ~ 868페이지
    · 저자명 : 장혜미, 안홍석

    초록

    본 연구는 서울 S 종합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관리를 받은 정상 임신부를 대상으로 임신 초부터 중기, 후기 및 분만시의 모체혈과 신생아 제대혈청의 철분 영양상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33명의 대상자 평균연령은 30.30세였으며 임신 전체중과 신장은 각각 54.58 kg과 161.03 cm이었으며 임신 전과 임신기 BMI는 21.00과 25.38로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임신초기 모체의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리트 평균은 11.25 g/dl 33%로 정상벙위에 속하였다.
    2) 임신 분기별 3회의 식이섭취조사결과 임신분기별 에너지 섭취량은 초기 2086.25 kcal, 중기 2058.72 kcal, 후기 1929.82 kcal 였으며 한국인 영양섭취기준(KDRIs)의임신 여성의 에너지필요추정량(EER) 1900 kcal를 기준으로(1/3분기 1900 kcal, 2/3분기 2240 kcal, 3/3분기 2340 kcal)으로 하였을 때 본 연구대상자의 섭취비율은 초기, 중기, 후기 각각 91.07%, 91.91%, 82.47% 로 나타났다. 철분섭취량은 임신 초기, 중기, 후기 각각 18.70 mg, 18.92 mg, 17.76 mg으로 KDRIs의 임신기 평균 필요량(EAR) 과 유사하였으나 권장섭취량(RI) 24 mg에 크게 못 미쳤다.
    3) 임신 초기, 중기, 후기와 분만시 모체혈청의 철분 농도는 124.27 μg/dl, 97.03 μg/dl, 94.32 μg/dl과 145.53 μg/dl이었으며, 신생아 제대혈청의 철분농도는 222.59 μg/ dl로 모체혈청의 철분농도는 신생아 제대혈청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임신 중기와 후기 모체혈청의 철분농도는 분만 시 모체혈청농도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 < 0.0001).
    혈청페리틴의 임신 분기별 농도는 초기, 중기, 후기 각각22.68 μg/l, 11.09 μg/l, 14.18 μg/l와 분만 시 24.54 μg/l 이었으며, 신생아 제대혈청 농도는 184.35 μg/l 이었다. 모체와 제대혈청의 철분과 페리틴 농도와의 상관성은 제대혈청과 임신 후기의 철분농도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p < 0.01), 초기와 중기 및 분만 시 농도와는 유의적인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4)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리트의 기준치(헤모글로빈 < 11 g/dl, 헤마토크리트 < 33%)의 기준치 이상을 정상군으로, 나머지를 빈혈군으로 나누어 혈청 농도를 비교하였다. 정상군인 23명의 임신 분기별 혈청 철분 농도는 초기, 중기, 후기 및 분만시에 122.57 μg/dl, 81.21 μg/dl, 88.95 μg/ dl, 154.60 μg/dl 이었고, 빈혈군의 모체농도는 114.40 μg/ dl, 48.25 μg/dl, 80.60 μg/dl와 122.83 μg/dl, 신생아 제대혈청농도는 236.40 μg/dl이었다. 혈청 페리틴 농도는 정상군이 임신 분기별로 26.10 μg/l, 12.70 μg/l, 16.44 μg/l, 23.83 μg/l 이었으며, 신생아 제대혈은 204.15 μg/l 이었다.
    5) 본 연구대상자의 평균 재태기간은 39.59주였으며, 임신 중 체중 증가량은 평균 12.85 kg이었다. 신생아의 출생 시 평균체중은 3383.94 g으로 양호하였으며, 출산 1분과 5분에 각각 측정된 Apgar 지수는 8.73과 9.61로 정상이었다. 임신결과와 임신 분기별 혈청 철분 및 페리틴 농도의 상관성은 임신 초기 철분농도와 5분 Apgar 지수가 유의적인 음의 상관성을 보였고(p < 0.01), 신생아 제대혈청철분 농도와 재태기간도 유의적인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p < 0.05). 분만시 모체혈청의 페리틴 농도와 신생아 출생시 체중은 유의적인 양의 상관성을, 제대혈청농도와는 유의적인 음의 상관성을 보여 모체와 제대혈청과 상반되는 경향을 보였다(p < 0.05).
    이상의 결과로 임신 전과 임신후의 모체 철분 영양상태가 신생아 제대혈청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는 바, 건강한 임신결과와 출산 후 산모의 건강을 위해서 미량영양소의 중요성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nemia diagnosed early in pregnancy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s of low birth weight and preterm deliver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maternal iron status during pregnancy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ron indices of maternal-umbilical cord serum iron and ferritin levels and pregnancy outcomes. Dietary intakes of the pregnant women were estimated by 24 hour-recall (3 times). Serum iron and ferritin levels in maternal blood and umbilical cord were measured at 1st-, 2nd-, 3rd- trimester and delivery, respectively. The mean of maternal serum iron levels of the trimester and delivery were 124.27μg/dl, 97.03μg/dl, 94.32μg/dl, and 145.53μg/dl. Those materna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umbilical cord blood (222.59μg/dl). Serum ferritin levels of maternal trimester and delivery were 22.68μg/l, 11.09μg/l, 14.18μg/l and 24.54μg/l,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umbilical cord blood (184.35μg/l)(p < 0.0001). This prevalence of anemia of total subjects was 30.3% by WHO criteria (Hb < 11.0 g/dl, Hct < 33%). Iron levels of 2nd-trimest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rmal group than in the anemia group. And ferritin levels of 3rd-trimester and deliver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rmal group than in the anemia group. Therefore, we suggest for successful pregnancy outcome and delivery differential iron supplementation programs will be carried out with individual pregnant women on the basis of pre-pregnancy nutriti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6): 860 ~ 868, 200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