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정일 시에 나타난 추(醜)의 미학과 윤리의 상관성 (The Correlativity between the aesthetics of ugliness and the ethics in Jang Jung-il's Poetr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6.09
36P 미리보기
장정일 시에 나타난 추(醜)의 미학과 윤리의 상관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국문학 / 176호 / 627 ~ 662페이지
    · 저자명 : 엄경희

    초록

    본 논문은 로젠크란츠와 아도르노의 추의 미학, 그리고 ‘허물’, ‘죄’, ‘흠’의 개념을 통해 인간의 내면적 윤리 문제를 깊이 사유했던 프랑스 철학자 리쾨르의 이론을 바탕으로 장정일의 시에 나타난 추에 대한 태도와 윤리의 상관성을 밝힘으로써 그의 시에 내포된 세계인식과 자기이해의 문제를 해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장정일은 ‘죄와 징벌’, 감시를 경험했던 독특한 이력을 지니고 있으며 아울러 제도적 지평을 벗어나 아웃사이더의 위치에서 자신의 예술 세계를 구축했다는 특이성을 지닌다. 그의 이력 가운데 청소년기에 겪었던 죄와 징벌, 감시의 경험은 곧 그가 ‘추’의 세계에 심각하게 노출되었음을 의미한다. 추와 윤리의 상관성이 장정일의 시 의식을 이루는 핵심적 기반이라 판단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장정일은 ‘냄새’와 ‘추문(소문)’을 통해 추의 편재성을 감지한다. 후각과 청각에 의해 환기되는 공기적 이미지는 로젠크란츠의 말대로 형태 없는 것이며 부정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확실한 실체로 드러나지 않는 이 같은 추의 형상화는 그것이 쉽게 각인될 수 없음을 암시한다. 즉 세상에 편재하는 추는 그 편재성 때문에 오히려 자각하기 어려운 것이 된다. 특이한 것은, 시인이 냄새로 감지한 추를 통해 추함의 감각을 부각시키는 것이 아니라 추와 미의 ‘혼합감정’을 구축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편 그의 시에서 소문은 대체로 비윤리적인 형태의 담론으로 생성이 되며, 그러한 속성은 자신도 추문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내면의 두려움을 건드리게 된다.
    이와 같은 추의 편재성 속에서 존재의 ‘허물’과 ‘죄’ 그리고 ‘흠’이 서로 중첩되면서 자신의 소외와 세계의 타락을 고발하는 고백의 언어가 장정일의 시에 극적으로 표출되고 있다. 이러한 추와 윤리의 문제는 시 「하얀 몸」으로 상징화된다. 이때 악의 불가피성과 구원의 불가능성을 통해 장정일은 실존에 동반된 죄의식과 세계에 대한 ‘의심’을 동시에 갖게 된다. 아울러 이런 과정에서 겪게 되는 윤리적 위기의식이 그에게는 강력한 자기부정성으로 내면화된다. 그의 복락원에 대한 꿈이 ‘추’와 결합하게 되는 이유는 바로 이 같은 자기부정성 때문이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유머가 결손된 모독의 수사로 드러난다.
    장정일의 ‘추의 미학’은 추의 편재성과 자신의 내적 추를 그야말로 추로써, 동시에 폭로하고 탄핵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그 깊이를 지닌다. 이와 같은 그의 추의 미학은 예술적 추의 가치와 유효성에 대한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o solve the problems of Jang Jung-il's world-recognition and self-understanding within his poetry, the correlativity between the attitude to ugliness and the ethics in his poetry is elucidated on the basis of theory of French philosopher Paul Ricoeur who considered deeply the problem of human inner ethics through Karl Rosenkrantz's and Theodor Adorno's aesthetics of ugliness and their conceptions of ‘fault,’ ‘crime’ and ‘defect.’ Jang-Jung-il has not only peculiar experiences of ‘crime and punishment’ and repression under surveillance but also a singularity establishing his art world in the position of an outsider beyond the institutional horizon. His juvenile experiences of crime, punishment and surveillance imply his serious exposure to the world of ‘ugliness.’ This makes the correlativity between ugliness and ethics to be judged as the essential basis of his poetic consciousness.
    Jang Jung-il perceives the reformation of ugliness with his senses of ‘smell’ and ‘scandal(rumor).’ An aerial image from the olfaction and audition is said by Rosenkrantz to be intangible as well as inaccurate. This formation of ugliness without its obvious entity means that it isn't easy to be perceived. Indeed, for its ubiquity the ubiquitous ugliness is rather difficultly aware of. Peculiarly, the poet constructs with the olfactory ugliness not the sense of ugliness but the ‘emotion blending’ ugliness with beauty. Besides, the attribute of rumor appearing usually as a ‘nonethical’ from of discourse in his poetry touches his inner fear that he can be an object of scandal too.
    With the mutually folded ‘fault,’ ‘crime’ and ‘defect’ of the existence in this ubiquity of ugliness, his poetry also expresses dramatically the confessional language complaining against his alienation and world's corruption. These problems of ugliness and ethics are symbolized into his poem “A White Body.” Then, by the inevitability of evil and the impossibility of salvation, he has both his guilt accompanying the existence and his ‘distrust’ against the world. Moreover, His sense of ethical crisis in this process is internalized as a strong self-negativity into him. Simultaneously, his dream of the regained paradise uniting once again with ‘ugliness’ appears concretely as the rhetoric of profanity without humor.
    Jang Jung-il's aesthetics of ugliness attains a meaning by its attempt with the literal ugliness to expose and impeach both the reformation of ugliness and his inner ugliness. This aesthetics of ugliness at his command is expected to be a base for founding the standard of ‘validity’ of the artistic ugli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국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