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일 국립박물관 전시 공간의 디지털 융합 기술 활용 현황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Digital Convergence Technologies in the Exhibition Spaces of National Museums in Korea, China, and Japan)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4.10
18P 미리보기
한·중·일 국립박물관 전시 공간의 디지털 융합 기술 활용 현황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25권 / 5호 / 339 ~ 356페이지
    · 저자명 : 양류, 심민섭, 장광집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의 국립박물관에서 활용되는 디지털 융합 기술의 적용 현황을 조사하고,이를 바탕으로 각국 박물관의 전시 전략과 기술 활용의 특징을 비교 ž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각국의 대표적인 국립박물관 9곳으로, 이들 박물관의 전시 공간에서 활용된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상호작용(인터랙티브) 기술, 다중 감각 경험, 홀로그래피(Holography), 프로젝션 매핑(Projection Mapping), 인공지능(AI), 디지털 아트워크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의 유형과 그 활용방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세 나라의 국립박물관들은 모두 상호작용 기술, 다중 감각 경험, 디지털 콘텐츠 및 예술 기술에 중점을 두어 관람객의 몰입을 유도하고 전시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을채택하고 있었다. 각국 박물관들 간의 차이점도 분명하게 나타났다. 한국의 박물관들은 상호작용 기술과 디지털 콘텐츠 활용에 강점을 보였고, 중국의 박물관들은 전통과 현대의 융합을 통해 시각적 즐거움과 문화적 깊이를 제공하며, 일본의 박물관들은 몰입 및 현실증강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강력한 몰입감을 제공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융합 기술이 국립박물관의 전시 전략과 관람객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박물관의 디지털 기술 활용과 전시 기획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다만, 주요 국립박물관에 한정된 연구로, 다양한 박물관에 대한 추가 연구와 관람객 반응 평가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lication of digital convergence technologies in national museumsin Korea, China, and Japan, analyzing the exhibition strategies and technological utilizationcharacteristics of these museums. The study focuses on nine representative national museumsfrom each country, examining the use of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in their exhibition spaces,including Virtual Reality (VR), Augmented Reality (AR), interactive technologies,multi-sensory experiences, holography, projection mapp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digital artworks. The findings reveal that all three countries’ national museums prioritizeinteractive technologies, multi-sensory experiences, and digital content and art to enhancevisitor engagement and maximize exhibition impact. However, differences among the museumswere also evident. Korean museums demonstrated strengths in interactive technology anddigital content utilization, Chinese museums excelled in blending tradition with modern digitalart to offer visual and cultural depth, and Japanese museums effectively employed immersive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to create strong visitor engagement. This study providescritical insights into the impact of digital convergence technologies on the exhibition strategiesand visitor experiences of national museums, offering valuabl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useof digital technologies in museum exhibition planning. However, the research is limited to majornational museums,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studies on a broader range of museums andevaluations of visitor respon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