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에서 조선족의 정착과 그 문학 연구의 현황 일고찰 (A Study on Chinese Korean litera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6.12
20P 미리보기
중국에서 조선족의 정착과 그 문학 연구의 현황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0권 / 4호 / 267 ~ 286페이지
    · 저자명 : 남춘애

    초록

    중국 조선족 문학에 대한 연구는 최초로는 김학철 문학에 대한 연구로부터 서막이 열린다. 그러나 운동과 동란기 속에서 연구의 맥은 거의 끊어지다시피 하다가 1980대말 90년대 초반 사회적 안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새롭게 활기를 띄기 시작한다.
    현재 조선족 문학에 대한 연구는 중국 소수민족의 한 갈래로서의 조선족 문학이라 하여 각광을 받고 있는데, 중국의 조선족학자뿐만 아니라 중국인 학자들에 의해서도 연구가 서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는 중국 조선족의 시원으로부터 입각하여 55개 중국 소주민족중 천입민족으로서의 조선족의 우래를 간단히 밝히면서 이민의 시말과, 이민이 이루질 수 밖에 없었던 그 역사적인 이유에 대해서도 짚어보았다. 현재 중국에 살고 있는 200만 조선족의 뿌리, 말하자면 조선족은 뿌리를 갖고 있는 민족임을 먼저 살펴보았다.
    다음은 조선족의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 단계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 중국의 일원으로 되기까지는 조선족이 겪은 고난과 중국 항일에 대한 공헌, 당당한 일원으로서 개국 직전인 9월에 조선족이란 이름을 갖게 된 것에 대해 논술했다. 이어서 조선족문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족문학의 기점에 대해서는 해방 전과 해방 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특히 해방 후의 기점은 1949년 중국의 개국이 아닌 1945년, 말하자면 조선족은 8.15 해방을 받은 그때부터 자기의 문학을 갖고 있었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조선족이 중국 이주는 백년에 이르고 조선족이 중국땅에서 소수민족으로 살기 시작한 지는 64년이 된다. 그러나 조선족은 대중국이라는 거대환경하에서도 한인의 문화와 혈통을 가장 잘 이어가고 있고 또 민족의 언어를 굳건히 지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학의 영역에서도 자기의 민족을 지켜가고 있다는 점에서 조선족문학 연구는 역사시기를 막론하고 필요이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조선족문학연구에 대한 현황을 간단히 짚어보기에 주력했고 향후로의 조선족 문학 연구에서 해야 할 일들에 대해서도 간단히 살펴보았다.
    상술했다시피 조선족은 자기적인 문학을 보유하고 발전시켜 온지 10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유랑이민으로 살아야 했던 민족의 과거를 고스란히 담고 있고 해방 후 소수민족으로 살아가는 조선족의 희비극이 교감하는 생존의 현장이 바로 조선족 소설에 투영되어 있다. 조선족으로서 학자로서 조선족 문학의 맥을 짚어보는 일은 조선족 연구의 맥을 이어감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영어초록

    The Study on Chinese Korean literature begins with the study of Jin Xuetie's literature study, but its research line is interrupted by the movements in modern China, especially the unstable factors caused 10 years’ Cultural Revolution. Not until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does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begin to rise.
    This paper titled “Chinese Korean and Its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makes a thorough review on Korean literature.
    In order to give a clear picture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first part of the thesis introduces the formation and the history of the Korean nation, The second part is divided into six stages, introducing the origin of Chinese Korean ethnic group, and The third part analyzes the origin of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literature before and after liberation respectively. Then the thesis introduces and analyzes the present status and the developing process of Chinese Korean literature. It is believed that Chinese Korean ethnic group maintains a perfect national language and integrateswith the majority well in China. In China, the history of Korean ethnic literature has been more than 100 years and has made its du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Chinese minority literature. In the number of minority population, there is no big gap between the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Chinese Korean, but their ethnic language and ethnic literature has been stranded and assimilated to a far more serious degree than Chinese Korean. And Russian Korean is even worse in this aspect.
    Korean literature is the witness of Korean life since it is loaded with the Korean national history, sorrows and joys of life and. As a member of Korean ethnic group, it is lucky for me to study Korean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