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시기 여성의 고등교육과 숙명여자전문학교의 설립 (Women's higher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established Sookmyung Women`s colleg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5.06
37P 미리보기
일제시기 여성의 고등교육과 숙명여자전문학교의 설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숭실사학 / 34호 / 183 ~ 219페이지
    · 저자명 : 강혜경

    초록

    개화기 이후 시작된 여성에 대한 근대교육은 여성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교육의 질은 당시의 시대적 한계와 맞닿아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교육목표 역시 기존의 가부장제 아래 여성이 현모양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일제시기 여성의 교육도 식민지 교육정책의 영향아래 놓여 있을 수밖에 없었으며, 여성 교육은 남성과 다른 교육체계로 교육연한도 짧고 교육내용도 여성이 주로 가정에서 해야 하는 일에 중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일제는 조선에 대한 차별적 동화교육을 실시하였는데, 여성에 대해서는 더욱 차별적 교육을 실시하여 이중적 차별을 하였다. 중등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는 여자고등보통학교 혹은 고등여학교를 졸업하여도 여성의 고등교육기관 자체가 부족하여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는 사실상 많지 않았다.
    1906년 대한제국 황실 순헌황귀비의 지원으로 명신여학교가 설립되고, 이 학교의 재단이 이후 숙명여자전문을 설립하는 주체가 되고 또 운영하였다. 1939년 숙명여자전문의 설립을 앞두고는 당시 영친왕이 이왕직을 통해 막대한 기본재산과 학교 부지를 제공하여 순헌황귀비의 유지를 이었다. 일제시기 영친왕이 할 수 있었던 유일한 일이 바로 대한제국 황실에서 지원하여 설립된 학교들에 대한 지원이었으며, 이는 숙명여자전문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로 이어졌다. 대한제국시기의 황실의 여성교육이 일제시기에도 이어져 숙명여전을 설립할 수 있었으며, 일제말기 황민화 교육이라는 한계를 보이지만 여성들에게 고등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해방 후 영친왕은 귀국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숙명여전은 구황실재산에서 재정적 지원을 받는 것으로 하여 1948년 대학으로 승격하였다. 그러나 주인 없는 구황실 재산은 후일 국고로 귀속되고 구황실이 설립하였던 숙명여자대학은 운영과 '주체'를 둘러싼 논란속에 휩싸일 수밖에 없었다. 1906년 순헌황귀비가 명신여학교를 설립하면서부터 일제의 강제병합이전까지 순헌황귀비의 여성교육운동이 부각되었으나, 1911년 그녀의 승하이후 매일신보 등 친일언론은 연택능혜(淵澤能惠)를 숙명의 중심인물로 부각시켰다. 1920년 동아일보가 창간된 이후로는 이정숙을 부각시키기도 하였다. 해방이후 영친왕이 귀국하지 못하고 있던 상황에서 순종의 비였던 순정효황후와 그녀의 오빠 윤홍섭은 황실에서 세운 숙명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숙명을 둘러싼 정체성은 이들에 대한 정치한 평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modern women education began since the Enlightened Period affected much the life of women but the quality of education was not high as the bound of the time, and the goal of education was also that women should be good wives and wise mothers according to the patriarchy existed. During the time of Japanese colony, women education was inevitable to the affection of colony education policy, and women education period was short as different education system to men and the content of education was also focused on working home mainly. Japanese imperial implemented education assimilating discriminated to Josun, and implemented more discriminated education, so it was discrimination duplicated. Although women graduated Women`s Godeung Botong School or Godeung Women`s school as middle education course, they did not have opportunities a lot to learn high level knowledge because the number of women high level education institutes was insufficient.
    In 1906, Myungshin women school was established by Empress Um's support of the Great Han Empire, thereafter the foundation of the school became the body establishing Sookmyung women college and administrated. Prior to the foundation of Sookmyung women college in 1939, King Youngchin donated a lot of properties and real estates through Yiwangjik, and so continued Empress Um's spirit. In the time of Japanese colony, the only way, which King Youngchin could do, sponsored schools found by the Great Han Empire support, and it led to fully sponsorship for SookMyung women college. Sookmyung women college could be established as women education of the Great Han Empire continued to the time of Japanese imperial, it provided high level education opportunities to women although it showed a limit called 'Imperialist'Educational Policy in the last age of Japanese imperial.
    After liberation, under the status which King Youngchin could not return, Sookmyung women college promoted to a university in 1948 as financial support from the old imperial. However, the old imperial properties belong to the nation thereafter, Sookmyung women university could not but issue for administration and ownership.
    Until the forced merger of Japanese imperial since Empress Um established Myungshin women scooh in 1906, Empress Um's women education was magnified but friendly jounals like Maeil shinbo highlighted Huchijawa Noe as Sookmyung's important person since Empress Um died in 1911. After Dongailbo was found in 1920, Lee, JeongSook had been magnified. After liberation, Empress Sunjung and her brother Yoon Heungseob tried to keep Sookmyung which the imperial established. The identity of Sookmyung can be set up through appraisal for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숭실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