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분황 원효 『능가경소·종요』(집일)의 중심 내용과 주요 특징 (Main idea and features of Bunhwang Wonhyo's Commentaries on Laṅkāvatāra Sutra, and The Essence of Laṅkāvatāra Sutra (compiled version))

6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2.10
67P 미리보기
분황 원효 『능가경소·종요』(집일)의 중심 내용과 주요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철학 / 11권 / 161 ~ 227페이지
    · 저자명 : 고영섭

    초록

    이 논문은 분황 원효(芬皇元曉, 617~686)의 『능가경소』와 『능가경종요』 집일본의 중심 내용과 주요 특징에 대해 밝힌 글이다. 원효는 여타의 경전에 견주어 『능가경』(4권/10권)을 『대승기신론별기』(유16/16회; 김24 회)와 『대승기신론소』(유12/14회; 김21회)에서 가장 많이 인용하고 있다. 그의 만년작인 『금강삼매경론』에서도 『능가경』을 4차례 인용하고 있 다. 『능가경』은 원효 일심사상의 기반을 이루고 있는 『대승기신론』 주 석에 큰 영향을 미친 경전이다. 그는 『대승기신론』의 생멸문 해석에 『능가경』을 적극적으로 원용함으로써 『능가경』을 『기신론』의 소의 경 전으로, 『기신론』을 『능가경』의 주석서로 확립하였다.
    『능가경종요』(1권)는 매우 적은 분량이지만 일본 불학자들에 의해 널리 인용된 점을 고려해 볼 때 『능가경소』(7권)와 함께 그의 여래장 인식과 기신학 이해를 엿볼 수 있는 저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 현대의 학자 후쿠시 지닌(福士慈稔)이 집일한 『능가경소』와 『능가경종요』는 일본의 고중세 및 근세의 불학자들이 한국 고대의 불학자 원효와 어떠한 사상 적 연쇄를 이루어왔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원효의 집일 『능가경소』와 『능가경종요』의 인용 전적들에 의하면 이 주석서가 시기별, 종파별로 일본의 주요 불학자들에 의해 애독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집일본 『능가경소』에서는 ① 자성법신과 의성법신에 대한 해석, ② 의 생신에 대한 『승만경』과 『능가경』의 해석, ③ 우치선 관찰선 진여선 여 래선에 대한 해석, ④ 차제가 있지 않다는 것에 대한 해석, ⑤ 무여열반 에 대한 정의와 해석, ⑥ 유신견에 대한 두 가지 해석 등 6가지 주제를 다루고 있다. 집일본 『능가경종요』에서는 ① 장식과 법집의 관계에 대 한 해석, ② 일심에 포섭된 장식의 여섯 측면에 대한 해석, ③ 의지문과 연기문에 의한 진제와 현장의 해석, ④ 불지의 항상함과 무상함에 대한 해석, ⑤ 구경이므로 일승이라고 설한다는 구절을 제외한 이유 해석, ⑥ 구경 현료 일승 측면의 논의를 제외한 의미 해석 등 6가지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들 두 집일본 주석서에 남아있는 12가지 주제들은 불 교의 가장 핵심적인 교리들에 대한 원효의 안목을 보여주고 있다. 아 울러 일본의 주요 불학자들이 불교사상사에서 제기된 비담학과 유식 학, 기신학과 선학 등의 난문들에 대한 교리 해석을 원효에게 의지하 거나 미루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도 주목되는 것은 원효가 『능가경』 주석서의 저술 과정에서 『능가경』을 『대승기신론』의 소의 경전으로 만들었고, 『대승기신론』을 『능가경』의 주석서로 만들었다는 지점이다. 그가 『능가경』의 주석서 를 5종이나 펴냈다는 것은 그의 사상사에서 이 경전이 차지하는 비중 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나아가 원효의 저술은 이후 거의 한 세대 후배 인 육조 혜능(638~713)에 의해서 『금강경』이 주도적인 선경으로 자리 잡았음에도 불구하고 기신학의 소의 경전이자 선종의 소의 경전으로 서 『능가경』의 가치와 의미를 지속시켰다. 이러한 점 또한 동아시아사 상사에서 원효를 주목하지 않을 수 없게 하는 이유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ains the main idea and features of Commentaries on La kāvatāra Sutra (hereafter CLS, compiled version), and The Essence of La kāvatāra Sutra (hereafter, ELS, compiled version) by Bunhwang Wonhyo (芬皇元曉, 617-686). In comparison with other scriptures, Wonhyo adopted more references from La kāvatāra Sutra (hereafter LS, 4 volumes / 10 volumes) in his works, such as An Abbreviated References on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hereafter, ARAFM, Yu 16/16; Kim 24) and Commentaries on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hereafter, CAFM, Yu 12/14; Kim 21). LS is a scripture that greatly influenced the CAFM, which forms the basis of the one mind philosophy; in his later work, Commentaries on Vajrasamadhi-Sutra (hereafter, CVS), LS is quoted four times.
    He suggested that LS is the source sutra of AFM by specifying the name of LS as the source(本經) in the part where he interpreted the arising-and-ceasing aspect of one mind i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hereafter, AFM).
    ELS (1 volume) is very small, but considering that Japanese Buddhist scholars have widely cited it along with CLS (7 volumes), it can be said that CLS and ELS are the sources from which we can comprehend Wonhyo's understanding of tathāgata and AFM.
    CLS and ELS compiled by Japanese modern scholar Jinin Fukushi (福士慈稔) demonstrate the ideological connection between ancient, medieval, and modern Buddhist scholars in Japan with Wonhyo, an ancient Korean Buddhist scholar.
    The books citing Wonhyo's CLS and ELS indicate that these commentaries have historically been consistently read by major Japanese Buddhist scholars of all denominations.
    The CLS compiled version deals with six themes: ① interpretation of self-nature dharma body and mind-made dharma body; ② interpretation of Srimaladevi-Simhanada-Sutra (SSS hereafter) and LS regarding mind- produced body; ③ interpretations regarding the four types of meditation: unenlightened people's meditation, observance-meditation, true-thusness- meditation, and tathgata-meditation; ④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opinion that there is no separate order; ⑤ the definition and interpretation regarding “Nirvana without remainder”; ⑥ two interpretations on sakayaditti, a view of an individual self.
    The ELS compiled version also deals with six themes: ①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ālayavijñāna and attachment to dharmas; ② interpretation of the six aspects of ālayavijñāna subsumed in one mind; ③ how Paramārtha and Xuanzang (玄奘, 602?-664) understood foundational and phenomenal aspects; ④ the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permanence and impermanence of the wisdom of Buddha(佛智); ⑤ interpretation of the reason that excluded the phrase that it is called “one vehicle” because it is ultimate wisdom; ⑥ interpretation of the reason that excluded the discussion regarding “one vehicle” as the ultimate wisdom.
    The 12 themes in these two compiled version commentaries reveal Wonhyo's insight into the most essential Buddhist doctrines. Moreover, it can be understood that major Buddhist scholars in Japan rely on Wonhyo for doctrinal interpretation to solve in-depth questions in abhidharma, consciousness-only, awakening-of-faith, and Zen meditation schools mentioned in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
    The most notable is the point Wonhyo suggested that LS is the source sutra of AFM while at the same time suggesting that AFM is the commentaries on LS. The fact that he published five commentaries on LS indicates the importance of this sutra in the history of his thought.
    Furthermore, Wonhyo's writing had an impact on LS to continue the value of LS as the foundational sutra of Zen and AFM schools, despite the fact that Diamond Sutra was established as the leading Zen sutra by Huinung (慧能, 638~713), a successor who emerged almost a generation later. This makes it impossible to ignore Wonhyo in the history of thought in East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