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산업화 이후 일-가족 문제의담론적 지형과 변화 (A Work - Family Dilemma and the Change of its Discourse)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07.06
41P 미리보기
산업화 이후 일-가족 문제의담론적 지형과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여성학 / 23권 / 2호 / 5 ~ 45페이지
    · 저자명 : 신경아

    초록

    이 글은 한국사회에서 1960년대 산업화 이후 일과 가족의 양립과 관련된 사회적 조건과 담론적 관심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어 왔는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일과 가족의 양립 문제는 과거는 물론, 현재와 미래 사회에서 젠더 관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이 분명하다. 이 글은 일과 가족의 양립 문제(이하 일―가족 문제)를 개인의 역할 갈등이라는 미시적 수준을 넘어 ‘한 사회가 임금노동과 돌봄노동을 조직하는 방식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정의하고 이것이 젠더 관계에 가져오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일중심적 사회 체제와 강력한 남성중심적 노동 규범을 수단으로 성장을 거듭해 온 한국사회의 경우 국가는 가족을 철저히 일 영역에 종속시키고 각각을 여성과 남성의 주된 책임으로 규정함으로써 일―가족 문제가 ‘사회적 사실(a social fact)’로 드러나지 않는 현실을 지속시켰다. 80년대 중반이후 기혼여성의 공식노동시장 진출이 확대된 후에야 일―가족 문제가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지만 처음부터 그것은 ‘여성의 문제’로 본질화되고 “여성들이 의식적으로 자각해서 실현해 가야 하는 다중 역할의 문제”로 축소되었다. 따라서 90년대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일―가족 문제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고 있지만, 공공의 실천을 조직화하기도 전에 신자유주의적 시장 질서가 확산되고 있고, 정책적 노력이 본격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새로운 젠더 관계에 기초를 둔 대안적 삶의 양식(lifestyle)도 자리잡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한국사회의 상황을 담론적 지형에 초점을 맞춰 분석함으로써 일―가족 문제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형성, 제한해 온 역사적 맥락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writing there is an objective which it tries to analyze the social conditions and discursive concerns on work-family reconciliation (or work-family balance)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after 1960 in Korea. The reconciliation of work and family must be a very important factor impacting the gender relationship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 this writing we will go over the microscopic level which is limited to a role conflict of an individual, so that we can put a focus on the social system organizing wage work and care work.
    Korean state, pursuing the economic growth with work-centered social system and masculine work norms, has made the family sphere subordinate to the work sphere, and thus prevented the work-family dilemma from being visible as a social fact. In 1980s, when married women entered the formal labor market, work-family dilemma began to become the object of social concerns. But from the beginning it was essentialized as women's questions, and misunderstood as playing women's multiple roles. Since 1990s, though the social concern for work-family dilemma has been widespread, the presence of neo-liberal market mechanism and the absence of positive policy making by the government, have established great obstacles to create public support systems and alternative lifestyles based on desirable gender relationship. This writing,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discursive areas on work- family dilemma, proves the value of the socio-structural context analysis in the research of work-family dilemm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