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임진왜란 일기자료의 현황과 傳存 양상 (Status and Inheritance and Preservation(傳存) Aspects of Diary Materials during the Imjin War of the Joseon Dynast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0.11
35P 미리보기
조선시대 임진왜란 일기자료의 현황과 傳存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77호 / 25 ~ 59페이지
    · 저자명 : 최은주

    초록

    본 논문은 조선시대 임진왜란 일기자료의 현황과 그 전승 보존 양상을 살펴 본 것이다. 현전하는 임진왜란 일기자료는 약 55종 정도이다. 55종의 일기자료에 대해 특징별 분류를 시도한 것은 임진왜란 일기가 전쟁이라는 특별하고도 혹독한 체험 속에서 작성하는 것이기에, 그에 대응하는 기록자의 연령과 입장 또는 정치적 사회적 지위에 따라 대응 방식과 경험의 범위가 다를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포착한 것이다. 이 일기자료들은 임진왜란 당시의 시간과 공간에서 종으로 횡으로 그물처럼 엮여있기 때문에, 자료 현황과 함께 자료의 특징을 동시에 제시함으로써 당시 전쟁 현장의 실상을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해 볼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해보고자 한 것이다.
    현장성과 즉시성이 강조되는 일기자료의 가치와 의미는 그것이 저자가 기록한 원형을 얼마나 유지한 채 전승되느냐에 달려 있다. 몇 가지 사례들을 통해 살펴본 결과 선조의 친필일기를 후손들이 전사하거나 문집에 수록할 때 원칙적으로는 당시 보존 상태를 충실하게 반영했음을 알 수 있다. 교감을 통해 글자를 교정하고 때로는 번다한 내용을 덜어내기도 하며 내용 보충이 필요한 부분에 소주를 달기는 했지만, 원문이 누락되었거나 알아볼 수 없는 경우 내용이 이어지지 않더라도 꼬박꼬박 ‘缺’을 표시했을 만큼 원본 그대로 전승하기 위해 노력했다. 선조의 기록이기에 보존의 의지가 강했고, 선조의 본래 의도를 함부로 훼손하지 않았다. 따라서 현재 일기자료들은 그 전승 형태가 다양하더라도 1차 자료로서의 가치는 충분하다고 하겠다. 앞으로 일기자료 연구는 생활사ㆍ미시사 탐색이나 사료적 근거 활용을 넘어 기록의 전승 및 보존과정과 그 속에 개입되는 여러 배경적 요소까지 다루는 것으로 다각화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d the status and inheritance and preservation aspects of diary materials during the Imjin War of Joseon Dynasty. The diary materials of the Imjin War which have been inherited until now are about 55 kinds. This amount includes all the materials that are assumed to be the handwritten diaries, the exclusive manuscripts that were copied and have been preserved by descendants, and the forms done in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55 kinds of diary materials tried to be classified by characteristic because the researcher grasped that the ways and ranges to deal with the Imjin War are very different depending on recorders' age, position, or political and social standing as the diaries of the Imjin War were written through special and severe experiences of the war. The study tried to form the basis for approaching reality of the then war in various aspects by 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with their status because these diary materials ar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volved in one another like a net in space time of the Imjin War.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diary materials which emphasize the field experience and immediacy depend on how they are inherited while the original forms recorded by the writers are kept. Not to mention the first handwritten drafts, but for the even exclusive diary manuscripts that have been preserved until now, the rough outlines of how the original records of the diaries are changed need to be in advance understood in the process of inheritance and preservation(傳存) considering the point to be copied(傳寫) by descendants. Furthermore, in relation to the Imjin War, there are sometimes the cases to reveal ancestors' accomplishments hyperbolically. So it is positively necessary to take a close look at the editing process of the future generations through these cases and plan to utilize the diary materials of the Imjin War critically. The results which examined them through the several cases have found that the descendents of Seonjo of Joseon made it a rule to reflect the then preservation state faithfully when copying his handwritten diaries or recording them in the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They corrected the letters through communication, sometimes removed too many contents, and put footnotes in the parts that require supplementary explanation of the contents. But they tried to inherit the original as it is as they regularly marked 'missing (缺)' in the parts that the original texts are omitted or are not recognized even though the contents are disconnected. Because it was the record written by Seonjo of Joseon, they did not thoughtlessly damage his original intention. However, the diaries included in the practice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published in modern times cannot overlook the point that the boundaries between the original records by recorders and the descendants' supplementary records need to be more precisely and clearly grasped by examining their descriptive context in greater detai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