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시대 한·일해역의 자원과 해녀의 이동 (The Movements of Women Divers and Marine Resources in the Colonial Period of Korea and Japan)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6.02
37P 미리보기
식민지시대 한·일해역의 자원과 해녀의 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58호 / 481 ~ 517페이지
    · 저자명 : 안미정

    초록

    이 논문은 식민지시대 동안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해산물을 채취할 목적으로 이동했던 한국과 일본의 해녀(잠수[潛嫂]와 아마)의 이동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이들의 이동을 낳은 것은 일본의 조선 식민지 통치의 영향이 크다. 이전의 봉건왕조와 막부간의 교역, 혹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조공체제 속에 전개된 ‘전통적’ 교역의 흐름과는 달리, 식민지시대 동안 물자(각종 자원)와 사람의 이동은 크게 달라졌다. 그 구체적 양상이 나타난 곳 중의 하나가 바로 한반도 주변의 한․일 해역이었다. 이 글의 요점은, 한․일 해녀의 이동에는 일본의 해산물 수요가 작용해 이들을 다른 어장으로 이동시켰으며, 이들이 채취한 것은 기존의 용도와는 다른 산업 및 군수품 원료 목적으로 채취된 것으로써, 해산물의 가격상승으로 말미암아 해녀들은 돈벌이의 기회가 확장된 반면, 해양 생태계의 파괴라는 측면이 동시에 작용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식민지시대 동안 한․일해역은 1) 해양생태적 관점에서 볼 때 해양자원의 재생산 메커니즘이 고려되지 않았으며, 2) 사회적으로는 자원의 산업적 - 특히 군수품의 - 원료로서의 가치가 일상적 가치에 우선하였고, 3) 채취자였던 한․일해녀들은 현금소득의 기회를 갖게 되었으나 제주 잠수(潛嫂)들의 노동은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평가되었다. 또 4) 일본 잠수기선이 조선연안에서 전복을 집중 채취함으로써 한․일 해녀들은 해초 채취 중심의 노동력이 되었다. 5) 전복 채취에 적용된 잠수기 기술은 서양의 기술이 일본적 변형을 보여주는 것이었고, 그 고효율성은 한․일 해역을 비롯 태평양 연안에서도 나타났다. 6) 한․일해역에서 잠수기선에 의한 생산이 현지 지역주민의 소득이 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특히 제주 잠수들의 활동은 한반도와 일본 및 중국과 러시아 연안으로 확대되었으며, 이동에는 남성 인솔자, 현지의 집주인, 현지 어장 주인 등 여러 사람들 사이의 네트워크가 기능하고 있었다. 한․일 해역에 해산물 채취를 중심으로 다양한 개인들이 모자이크식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해녀들의 이동은 해양자원에 기반한 일본 제국주의의 확장 속에서 일어난 특수한 현상이었다. 일본 제국주의의 확대에 따라 해녀들의 이동이 확대되었고, 이들의 노동을 통해 산업원료가 충당되었다. 한․일해역을 가장 많이 이동했던 해녀는 제주도의 잠수(潛嫂)들이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nsiders the social character and the social meaning of women divers in Korea and Japan who worked in the sea of Korea and of Japan through their migrational seafood gathering. Through their labor and their movem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biological aspect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instead of the traditional economical and individual evaluations. The Women diver’s movement has been considered mainly in terms of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local history. This movement started under Japanese rule in Korea. Unlike, the traditional trade among the regimes in Korea and Japan that revolved around tribute to China, this period shows significant changes in resources and human movement. It is the sea of Korea and Japan that indicates specific examples.
    The point of this article is that Japanese demands for seafood caused the movement of the women divers in Korea and Japan. They gathered seafood for industrial and military supplies. Whereas it is profitable for the women divers, it is followed by extension and destruction of fishing ground. For example, In the colonial period (1910~1945) 1) the reproductive mechanism from maritime ecological perspective was not considered. 2) Socially, industrial value – specifically as military supplies took priority over day to day value. 3) Although Korean and Japanese women divers had opportunity of cash earnings, Jeju diver’s labour has been underestimated. 4) While Japanese diving boats intensively collected abalones, Korean and Japanese women divers were only able to work on gathering seaweed. 5) These diving boat skills used for collecting abalones indicate that Japanese adopted western techniques and its high yield throughout the Pacific coast. 6) Furthermore, productivity of the diving boats did not contribute to the local resident’s income. To be specific, the movement of Jeju divers reached the Korean peninsula, Japan, China and the Russian coast. A Network based on seafood collecting in the sea of Korea and Japan among male guides, local landlords enabled the movement. Thus, the movement of women divers was a special phenomenon that occurred during the expansion of Japanese imperialism based on marine resources. The movement of women divers expanded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Japanese imperialism, their seafood was taken as a raw material for Japanese industry. The majority of divers who moved between the Sea of Japan and Korea were the women divers of Jeju Island(Jamso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