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석존일대가』의 서술 양상과 시대적 맥락 (The Narration Pattern and Historical Context of Seokjonildaega)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0.02
31P 미리보기
『석존일대가』의 서술 양상과 시대적 맥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54호 / 187 ~ 217페이지
    · 저자명 : 김기종

    초록

    본고는 <석존일대가>의 문학적 성격을 究明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서술 양상의 특징적인 국면과 작품의 시대적 맥락 및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예비적 고찰로, 작자의 생애와 창작 시기의 문제 등을 검토하였다. 지금까지의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한된 자료의 범위 안에서 작자인 이응섭의 생애 일부를 복원하고, 그의 사상적 경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응섭은 전통적인 승가교육과 국내외의 근대적인 교육을 모두 체험한 당시 불교계의 지성으로, 불교대중화를 위한 저술 활동에 힘쓴 인물이다. 그는 자신의 저술들을 통해 현세이익적 기복신앙을 미신으로 규정하고 ‘미신’․‘신비’·‘神異’에 대한 비판과 교정을 주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응섭의 행적과 사상적 경향은 <석존일대가>의 내용 및 성격과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석존일대가> 서술의 구체적인 양상을 세 항목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신이한 사건의 배제와 사실․지식의 강조, 석가 연보의 재구 및 이에 따른 사건 배열, ‘총론’·‘총결’의 설정을 통한 불교관·불타관의 제시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서술 양상은 근대불교학의 영향을 반영한 것으로, ‘위인’ 석가의 역사적 ‘사실’을 널리 알리기 위한 <석존일대가>의 창작 의도에 기인한다. 이렇듯 이 작품의 석가 형상화 및 서술 양상은 근대 이전의 佛傳에서 볼 수 없었던 특징이라는 점에서, 석가일대기의 근대적 변용이라는 의의를 갖는다. 한편, <석존일대가>는 독자에 대한 교화나 권계의 내용이 없는 반면, 지식 및 정보의 전달에 치중하고 있는데, 이 점은 불교시가의 근대적 변모 양상의 한 예로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석존일대가> 창작의 배경 내지 이유를, 당시의 불교계에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던 불타 담론의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주요 불타 담론에서 보이는 ‘불타’에 대한 관심과 석가의 인격적 형상화는 기독교·반종교 세력의 불교 비판에 대한 시대적 대응의 논리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석존일대가> 역시 여타의 종교와 구별되는 불교의 정체성 및 합리성을 드러내고자 한 의도에서, 위인 석가의 역사적 사실을 충실히 서술하게 된 것이라 하겠다. 이렇게 볼 때, <석존일대가>는 당시 불교계의 시대적 대응 논리인 불타 담론보다 시기적으로 앞선다는 불교문화사적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effort to explain the literary characteristic of Seokjonildaega, and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its narration pattern and the historical context and meaning of the work. In addition, the writer’s life and the time when this work was written were discussed as a preliminary review. The contents of discussions made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recovered a part of writer Lee Eung‐seop’s life and examined the tendencies of his ideology within the scope of limited materials available. Lee Eung‐seop is an intellect in the circle of Buddhism who experienced both traditional Buddhist education and modern education at home and overseas, and was engaged in active writing activities for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Through his writings, he concluded that fortune‐seeking beliefs are superstitions, and advocated the criticism and correction of ‘superstition’ – ‘strangeness.’Next, the specific narration pattern of Seokjonildaega was discussed in three terms, and characteristics were found as follows. Exclusion of strange incidents and emphasis on facts – knowledge, chronological restructuring of Shakyamuni’s life and rearrangement of incidents, suggestion of the view of Buddhism – the view of Buddha through setting ‘outline’ – ‘final conclusion.’ These narration patterns reflect the influence of modern Buddhism studies, and come from the purpose of Seokjonildaega, which was to spread historical ‘facts’ about ‘great person’ Shakyamuni.
    Lastly,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or reason for writing Seokjonildaega in the context of Buddha discourses, which were made actively in the Buddhist circle in those days. People’s interest in ‘Buddha’ and the personification of Shakyamuni observed in major Buddha discourses can be seen as a historical response to the criticism of Buddhism by Christianity and anti‐religious groups. Considering these points, Seokjonildaega was written for revealing the identity and rationality of Buddhism distinguished from other religions through faithful narration of historical facts of great person Shakyamun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