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일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문학텍스트’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Literary Texts’ in the Middle School National Language Textbooks of Korea and Japan)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5.11
16P 미리보기
한・일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문학텍스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학보 / 105호 / 109 ~ 124페이지
    · 저자명 : 이미숙

    초록

    본고는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시대 및 배경, 작가 및 주인공의 성차, 타문화 수용 양상을 분석하고 양국의 국어교과서에서 문학텍스트가 차지하는 역할 및 학습목표 대조를 통하여 양국의 사회 문화적 특징을 밝히려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양국에서 2015년 현재 사용 중인 3종의 중학교 국어교과서 3년분이다. 한국교과서는 양적으로 일본의 1.7배에 이르지만, ‘텍스트’ 보다는 ‘학습활동’에 할애한 비율이 높았고, 텍스트 중에는 ‘문학텍스트’의 비율이 높았다. 반면, 일본은 그 반대였다. ‘문학텍스트’는 장르별(시・소설・극・수필)로 나누어 대조하였다.
    ⑴일본은 3종 공통으로 정전화(正典化)된 고전수필 등을 제외하고는 소설의 비율이 높은 반면, 한국은 3종 모두 극을 싣고 있으며, 구술성에 의존한 민담 및 신변잡기식 생활문 등의 수필이 많았다.
    ⑵시대별로 살펴보면 한국은 18세기 이전의 고전작품이 많았는데, 『홍길동전』 『양반전』은 현대어 역을 사용했고, 그 밖에 설화, 신화, 전래동화가 많아 구술적 작품에 의존하고 있었다. 일본은 고전작품이 적지만, 3종 모두 『平家物語』 『竹取物語』 등, 대표성을 띠는 고전작품이 정전화되어 있었고 원문과 현대어 역을 함께 싣고 있다.
    ⑶소설・극・수필 작가의 출생 시기를 보면 양국 모두 20세기 전반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한국이 고전(전래소설)이 많은데 반해, 일본은 19세기 작품이 뒤를 이어, 근대문학의 태동이 한국보다 한 세기 일찍 일어났음을 반증하고 있다.
    ⑷시의 경우, 한국은 현대시가 대부분이고 고전 시조가 거의 없는 반면, 일본은 와카(和歌)・하이카이(俳諧)등 고전 시가가 많아 대조적이다. 일본의 경우, 정전화되어 있고, 작품 선정이 보수적인데 반해, 한국은 상대적으로 젊은 세대의 다양한 작품이 실려 있다.
    ⑸양국 모두 작가나 주인공에서 성차가 나타났으며, 특히, 후자의 경우는 작품 개발의 여지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⑹일본이 적극적으로 외국작품을 싣고 있고, 일본 국내작가의 작품의 경우에도 외국을 배경으로 한 경우가 많아 타문화수용에 있어서 적극적이라 평가할 수 있다.
    ⑺학습목표 및 주제를 보면, 한국은 지나치게 사회 문화적 상황이나 인물간의 갈등에 치중되어 있고, 창의성이나 철학적인 사고를 유발하는 내용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고전 역시, 신분 등 사회 문화적 상황 및 갈등과 관련이 있었다. 일본은 여전히 반전(反戰)을 다룬 작품이 많으나 자국의 문제로써 보다는 국제적으로 시야를 확대하고 있다. 일본은 상대적으로 문학의 비율이 낮으며, ‘문학텍스트’의 학습목표가 ‘읽기’자체에 중점이 있음을 알 수 있고, 상대적으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Japan by analyzing the ages and themes, the gender differences of the authors and protagonists, and aspects relating to the acceptance of other cultures in the ‘literary texts’ in the middle school national language textbooks of the two countries as well as to compare the roles and learning objectives of the literary texts in the national language textbooks of the two countr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ree kinds of middle school national language textbooks for three years currently used as of 2015 in both countries.
    (1)All three of the Japanese textbooks included fiction, except canonized classical essays, whereas all three of the Korean textbooks included dramas and many essays on everyday life.
    (2)As for the age of the work listed in the textbooks, the Korean textbooks contained many classical works written before the 18thcentury, mostofwhichweresimilartoThe Story of Hong Gil-dong, and also many traditional fairy tales. The Japanese textbooks contained few classical works. All three kinds of textbooks canonized representative classical works such as Taketorimonogartari.
    (3)In the case of prose, most of the authors of work contained in the textbooks of both countries were born between 1900 and 1949. Furthermore, most of the works of prose in the Korean textbooks were classical works whereas most of the works of prose in the Japanese textbooks were written in the 19thcentury.
    (4)In the case of poetry, the Korean textbooks mostly contained modern and contemporary poems, yet few traditional three-stanza poems. This contrasted with the Japanese textbooks that included many Waka and Haikai. Although the Japanese textbooks are conservative as confirmed by their selection of canonized modern and contemporary poems, the Korean textbooks listed a variety of poems written by a comparatively young generation of writers.
    (5)The textbooks of both countries showed gender differences among authors and the protagonists of the literary texts. In the case of the latter, there is room for development of works to be included.
    (6)The Japanese textbooks were more likely to include foreign works, and the backgrounds to the works written by Japanese authors were also foreign in many cases. This indicates the acceptance of other cultures.
    (7)Concerning the learning objectives and themes,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Korean textbooks were too much focused on the social-cultural circumstances or conflicts between characters while lacking in contents that would encourage creativity and philosophical thinking. The Japanese textbooks included many works dealing with the anti-war. These issues were usually represented by foreign works, the interpretation of which was left to the rea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