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일 천수다라니의 송주신행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Recitation and Religious practice by the Cheonsudharani which mantra of Guan Yin Bodhisattva in Korea․China․Japa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1.06
41P 미리보기
한․중․일 천수다라니의 송주신행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35호 / 81 ~ 121페이지
    · 저자명 : 윤소희

    초록

    2005년-2019년까지 한․중․일 불교의례와 주․진언․다라니 암송율조를 조사해 보니 중국은 범문과 국어(한문)의 두 가지 버전이지만 한국과 일본은 범문, 한문 그리고 자국 언어까지 세 가지 버전이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일본은 어디서 어떤 시기에 배웠는가에 따라 미세한 발음의 차이가 있지만 범문과 音寫 한문을 병기하고 있어 원문에 대한 추정이 가능하다. 이에 비해 한국에서는 “진언은 뜻을 모른 체 암송하는 것”으로 하여 범문의 원리와 내용에 대한 이해가 희박하였다. 중국의 대비주, 일본의 대비심주라는 명칭은 다라니의 내용을 압축하고 있으나 한국은 ‘신묘장구’라는 수식어만 지칭되고 있어 본고에서는 이를 ‘천수다라니’라 하였다. 이는 『천수경』이라는 틀을 갖추어 송주하는 한국 신행의 특징을 살리면서 다라니 내용을 나타낼 수 있다.
    한․중․일 삼국의 經學과 다라니신행을 조사해 보니, 중국과 대만은 특정 신행에 치우침 없이 여러 경전과 다양한 다라니를 연중 일정에 고르게 분배하여 설행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한국에는 화엄경에 대한 비중이 좀 더 큰 가운데 범문 신행은 천수다라니가 압도적이다. 일본은 종파불교의 성격으로 각기 중점을 두는 신행의 차이가 있으나 주류 종파인 천태종과 진언종의 밀교적 신행이 강한 가운데 법화경 신앙이 좀더 확산되어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주목되는 현상은 천수다라니가 密僧에 의해 불교로 유입되었으나 정작 일본의 密宗에서는 천수다라니가 그다지 송주되지 않고 있었다. 이는 천수다라니가 密義작법 보다 민간의 대중적 기복신행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반면 일본의 여러 종파 중 禪宗에 속하는 임제종과 조동종에서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천수다라니 신행이 왕성하였다. 천수다라니가 선종에서 주된 신행으로 송주되는 것은 禪과 敎를 추구하며 주밀행법을 타파한 후 밀교적 성격이 그다지 없는 천수다라니 하나만을 남겨 呪密신행을 포용해온 결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2005 to the present through field research o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ritual tunes. Looking at the mantras of Korea, China, and Japan, it could be seen that China has two versions of the Siddham, in Sanskrit and Chinese. However, Korea and Japan have three versions in addition to their own languages In Korea, “a mantra is to be recited without knowing its meaning.” The principle of the original Sanskrit sentence is sung in a form that has been destroyed. The names Dàbēi zhòu(大悲呪) in China, and Daihisin tarani(大悲心呪) in Japan compress the contents of the Cheonsu-dharani. But in Korea only the modifier, ‘Shinmyojanggu(神妙章句)’, is referred to. In Korea, the Cheonsudharani was mainly worshiped during the Cheonsu-sutra, so I will refer to it as the Cheonsu, which means the bodhisattva with a thousand hands-dharani. A survey of the Religious Practices of Korea, China, and Japan revealed that China and Taiwan preached by distributing various scriptures and various dharani evenly throughout the year without bias toward particular sects. On the other hand, in Korea the proportion of Hwaeomgyeong(華嚴經) was a little larger, whilst the practice and faith of Cheonsu-dharani was dominant. Japan differs according to sect.
    A notable phenomenon was that the Cheonsudharani was introduced into Buddhism by the Esoteric Buddhist monks, but Cheonsu-dharani was not used very much in Japanese Esoteric Buddhism. I think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Cheonsudharani was more connected with the popular piety of the private sector than with the methods of Esoteric ritual.
    On the other hand, among the various sects in Japan, the Rinzaishū(臨濟宗) and Sōdōshū(曹洞宗), which belong to the Zen sect, used the Cheonsu-dharani in like fashion to Korea. I believe the reason that Cheonsu dharani was used as the main dharani Mantra in Zen Buddhism was that breaking through the Esoteric method caused negative phenomena such as Shamanistic magic. Following this, it changed to the Zen sect, which focuses on practicing and studying the scriptures. Just the Cheonsu-dharani remained for people as an expression of Esoteric practice or popular p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