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고분시대 상감기술의 전개와 한일교섭 (The Development of Inlay Technology in the Three Kingdoms and Kofun Periods and the Negotiation of Korea and Japan)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7.09
44P 미리보기
삼국·고분시대 상감기술의 전개와 한일교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104호 / 124 ~ 167페이지
    · 저자명 : 김도영

    초록

    본고에서는 5~6세기 한반도와 일본열도에서 출토된 상감유물을 분석하여 한일교섭의 일 단면을 밝히고자 하였다. 우선 상감기술의 핵심이 철제품 표면의 홈가공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홈의 가공에 사용된철제끌의 흔적을 분석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상감 홈의 가공방법을 분석하여 백제에 크게 두가지의 상감기술 계통이 존재하였으며 이 기술이 인접한 가야와 신라, 그리고 왜까지 전파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다음으로 삼국시대 상감유물의 전개 과정과 그 분포를 정리하였다. 백제와 가야에서는 주로 5세기대다수의 상감유물이 제작되었으며 그 분포가 반드시 각 정치체의 중앙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그리고 고분시대 중기의 상감대도가 한반도 출토품과 기술적으로 깊은 관련을 맺고 있어 완제품이 이입되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았다. 특히 키나이지역에서 제작되어 지방으로 하사된 것으로 여겨진 명문대도의 상감작업에는 한반도계 공인이 참여하였을 가능성이 크므로 제작지 판단에는 좀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5세기대의 한일교섭의 일 단면을 상감기술의 핵심인 철의 가공기술에 주목함으로써 해명해 보고자 하였다. 상감기술과 동일한 역사적 수준의 선각철촉, 철부, 끌, 종장판갑, 철련이 5세기를 즈음하여 한반도와 일본열도에 넓게 확인되는 현상은 한일에 걸쳐 넓게 형성된 공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철제끌과 같은 전용공구가 서로 공유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추론하였다.
    이처럼 유물 제작의 핵심인 공구에 주목하고 공구흔을 분석함으로써 한일교섭에 관해 새로운 시각을제시하였다는 점이 본고가 지닌 의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Artifacts decorated using inlay technology that were recovered from the 5th to 6th century tomb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Archipelago are examined in this study in order to consider the nature of Korean-Japanese interaction. Firstly,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making of furrows on the surface of iron products is crucial to this technology, the traces of ironwork chisels used to make such furrows have been examined. Based on this,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that two different types of inlay technology had been used in Baekje, which were transmitted to Gaya, Silla and Ancient Japan.
    It is therefore highly likely that such inlaid objects had been impor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since most of the swords decorated with iron inlay from the middle Kofun Period indicate close relations with the Korean Peninsula.
    As for the swords with inlaid inscriptions produced in the Kenai area, which appear to have been granted to the provinces, it is highly possible that a master craftsperson with connections to the Korean Peninsula may have participated in their manufacture, based 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Seven-Branched Sword and the sword with inscription excavated in Changyeong.
    The iron production technology required for the inlay technique was also shared by the iron chisels, incised arrowheads, axes, and reams that were widely used in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Archipelago during the 5th century. This indicates that wide network of craftspeople, in which technology and knowledge were shared, may have been in existence, providing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interaction between Korea and Japan around this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