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문종(道門宗) 연구를 위한 일(一) 가설 (A Hypothesis Regarding the Study of Domun-jong in Korean Buddhist Histo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1.02
28P 미리보기
도문종(道門宗) 연구를 위한 일(一) 가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97호 / 37 ~ 64페이지
    · 저자명 : 민순의

    초록

    한국불교사에서 도문종(道門宗)의 존재는 태종 6년(1406) 실록에서 단 한 차례 언급된 데에 근거한다. 그 밖에는 도문종에 대해 확인되는 자료가 없기에 현재까지 이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만 1930년대 포광 김영수(包光 金映遂)가 위 실록 기사에서 도문종이 화엄종과 통합되었다고 기록한 것에 근거하여 이 종파가 화엄종과 깊은 관련을 맺었을 것으로 추정했을 뿐이다. 본고는 도문종에 관한 더 이상의 자료가 없는 현실에서 ‘도문’이라는 용어가 중국 정토사상가 도작(道綽)의 정토교판에서 정토문(淨土門)과 성도문(聖道門)이 대립 개념으로 사용된 데에서 하나의 가설을 추정한다. 즉 한국불교사에서 정토종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 대신 한국 불교문화 전반에 특히 화엄종에서 정토신앙이 확산되어 있었으며, 이에 대한 반동으로 교학적 연구에 충실할 것을 주장하는 일부 세력으로부터 도문종 내지 그에 상응하는 움직임의 집단화가 있었을 것이라는 추정이다. 이영수의 주장과 같이 도문종이 화엄종과 함께 묶일 만한 친연성이 있었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가부간 두 가지의 가능성을 모두 고려한다. 여하튼 태종 6년 도문종은 화엄종과 통합되었으며, 이는 이후 조선불교에서 화엄종이 선종의 실천수행 중심의 기풍과 조응하며 불교 교학의 대표적인 흐름이 되었던 양상의 토대가 되었다고 본다.

    영어초록

    Domun-jong was the Korean Buddhist sect referred to just one time in Korean Buddhist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Annals. The limited number of references has hindered the study of Domun-jong. This essay supposes that the name of Domun-jong is traced to Dojak (道綽, 562-645), a monk of Chinese premodern times. He was a professor of the pure land and was of the opinion that there are two roads to achieve spiritual enlightenment. One is the road of Jeongto-mun, which is an easy road composed of the faith of the pure land. The other is the road of Seongdo-mun, which is a difficult road composed of the hard study of Buddhist canons. Some Buddhists of the Korean premodern times may have preferred the hard training although most Buddhists were deeply faithful to the easy mode of faith of the pure land.
    A few Buddhist may have organized a new sect the name of which is Domun-jong. The reference of the Joseon Dynasty Annals says that Domun- jong was integrated with Hwaeom-jong in the reign of the third King of Joseon. This seems to mean that Domun-jong was related with Hwaeom- jong, although this has not been definitively concluded. This essay gives attention to the result of the integration. Furthermore, it insists that the integration of Domun-jong and Hwaeom-jong has led to the scholarly tendency to Hwaeom philosophy in Korean Buddhism during the Joseo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