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루마니아 트란실바니아·부코비나에 대한 역사적 일고찰 (A historical inquiry and the chronicle of Transylvania and Bucovina)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09.02
39P 미리보기
루마니아 트란실바니아·부코비나에 대한 역사적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 / 21권 / 235 ~ 273페이지
    · 저자명 : 김정환

    초록

    루마니아 민족형성의 요람인 아르데알(Ardeal), 오늘날의 트란실바니아는 11-19세기동안 헝가리, 오토만 투르크, 합스부르크 제국의 지배를 받으며 헝가리 왕국에 예속된 자치 대공국을 형성하고 있었다. 루마니아어로 아르데알(Ardeal) 또는 트란실바니아(Transilvania), 헝가리어로는 에르디이(Erdély) 그리고 독일어로는 지벤뷔르겐(Siebenbürgen)이라고 불리는 트란실바니아는 오늘날 루마니아 중앙부에 위치한 카르파티아 산맥의 서북부 분지 지역을 일컫는다. 보다 정확한 지역은 동북쪽에서 서남쪽으로 활처럼 휘어진 카르파티아 산맥의 서북부 분지로서 서쪽의 아푸세니(Apuseni) 산맥까지를 이르는 지역이다. 트란실바니아는 1526년까지 헝가리 왕국, 1683년까지는 오토만 투르크 제국, -1804년까지는 합스부르크 제국, 1867년까지는 오스트리아 제국 이후 1차 세계대전 종전까지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제국의 지배를 직·간접적으로 받았던 불행한 지역이지만, 이러한 역사적 굴곡 속에서도 루마니아의 영지로서 루마니아인의 삶이 영속되어 온 곳이기도 하다. 카르로비치(Karlowicz, 1699) 평화조약으로 합스부르크제국에 예속된 트란실바니아는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제국 하에 헝가리 왕국에 그 종주권이 넘겨진다. 이 이중제국은 1914-1918년 1차 세계대전과 더불어 붕괴되기 시작되어 1920년 트리아농 조약을 통해 루마니아의 영토로 공식 반환된다. 트란실바니아의 북부지역은 1940년 헝가리에 일시 양도되기도 하지만 1944년 다시 루마니아에 재 반환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천 년 가까운 세월동안 피폐된 삶과 상황을 버텨내며, 트란실바니아와 부코비나의 루마니아인이 민족 각성과 자기 인식을 할 수 있었던 계기와 자극은 다름 아닌 17세기 계몽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그레코-가톨릭’ 성직자와 지성인들이 제기한 ‘라틴성’의 회복과 재확립의 독려에 기인하는 바이다. 트란실바니아에서 이루어진 이 지성의 흐름은 카르파티아 산맥을 넘어 동남쪽에 있던 루마니아인들에게도 전이되어 갔고, 급기야 전 루마니아인을 하나로 결속시키는 구심점이 되었다. 이러한 정황의 이면에는 합스부르크 제국이 트란실바니아에서 종주권을 행사하면서 취한 일련의 정책이 루마니아인의 민족 권리 인정과 지식층의 형성, 더 나아가 근대 언어의 정립과 민족적 자각을 불러일으키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루마니아 민족 정체성의 확립과 근·현대 문화를 이해하는데 있어 합스부르크와의 상관관계는 매우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 이해관계의 주무대에 있었던 트란실바니아와 부코비나의 역사를 직시하는 일은 루마니아 민족 문화정체성의 형성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완성되어졌는지를 살피는 귀중한 작업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Ardeal, the cradle of the formation of Romanian nationality, Transylvania of today remained as an Independent principality between the 11-19th century being under the control of the Kingdom of Hungary, the Ottoman Empire, the Habsburg Empire, the Austrian Empire and the Austro- Hungarian Dual Monarchy. Transylvania as ‘Ardeal’ or ‘Transilvania’ in Romanian, Erdély in Hugarian and ‘Siebenbürgen’ in German, named the west-northern basin of the Carpathian Mountains being located in the middle of Romania today.
    Transylvania is an infelicitous region which fell directly and indirectly under the control of the Kingdom of Hungary until 1526, the Ottoman Empire until 1683, the Habsburg Empire until 1804, the Austrian Empire until 1867 and of the Austro-Hungarian Dual Monarchy until the World War I, but remained continuously a sacred place as a holy land which continued forever the Romanians' existence in this historical refraction. Transylvania subordinated her sovereignty to the Habsburg Empire through the peace Treaty of Karlowicz(1699) and was falling under complete control of the Kingdom of Hungary under the Austro-Hungarian Dual Monarchy. This Dual Monarchy got down to collapse during the World War I (1914-1918) and receded officially conquered territory(Transylvania) to Romania through the Treaty of Trianon (signed in June 1920). In 1940 the second Vienna Award granted the northern half of Transylvania to Hungary, but after the Treaty of Paris (1947) this territory was returned to Romania.
    The motive and the stimulus, which Romanians of Transylvania recognized and awaked to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the cultural self-recognition standing all hardships throughout the millennium, are the recovery and the reestablishing of the “Latinity”. The policies of the Habsburg Empire, especially related with religion, contributed to form the first school of the Romanian intelligentsia, to recognize the national consciousness and to constitute the modern Romanian language. Therefor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and the modern Romanian culture, the relation with the Habsburg Empire had a very important historical significance for Romanians. The work which faces up to the history of Transylvania and Bucovina will be an important task to observe how it was completed the formation of the Romanian national and cultural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유럽발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