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日의 中國古典小說 出版樣相 硏究 (The Study on Publish Aspect of Chinese Classical Novel in Korea and Japa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5.08
26P 미리보기
韓⋅日의 中國古典小說 出版樣相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소설논총 / 46호 / 231 ~ 256페이지
    · 저자명 : 민관동

    초록

    조선시대 국내에서 출판된 중국고전소설은 대략 24종이며, 일본의 경우는 대략 55종에 달한다. 당시 출판된 판본은 대부분 文言小說이 주류를 이루며 原文으로 出版되었다. 출판초기에는 “신지식에 대한 욕구”와 “풍속의 교화 및 교육성”에 관점을 둔 官刻出版이 주도되었고 후기에는 “상업성” 위주의 방각본이 출판을 주도하였다.
    兩國에서 출판을 선호한 책으로, 조선에서는 世說新語類와 剪燈類 및 《三國志演義》를 꼽을 수 있고, 일본의 경우는 世說新語類와 애정류 소설을 꼽을 수 있다. 또 출판의 특징에 있어서 조선은 原文出版, 註解出版, 體制變形出版, 縮約 및 部分編輯出版, 飜譯出版, 用度變更出版 등 다양한 형태의 출판방식을 취한 반면 일본은 後印(再版)과 續書 및 亞流作品의 출판을 많이 하였다. 출판의 형식에 있어서는 양국 모두 중국 原版本을 그대로 모방하여 판각하는 覆刻本의 출판도 빈번하였으며, 版本은 주로 木版本⋅木活字本을 사용하였다. 그 외 조선의 금속 활자본으로 출간된 《三國志通俗演義》와 《世說新語補》는 판본적 의미가 매우 크다. 출간시기에 있어서는 조선의 경우 대략 1492년경에 《說苑》과 《酉陽雜俎》 등이 출간되기 시작하였고, 일본의 경우는 약 150여년 후인 임진왜란 이후부터 시작되었다.
    출판양식은 일본의 경우 “오쿠리가나”(送り假名) 등의 표기양식이 특징이며 紙質에 있어서는 和紙로 이루어진 반면, 조선의 경우는 대부분 楮紙로 출간되었다. 또 조선 출판본은 대부분의 작품에서 간기가 생략되어 있으나 일본의 경우는 대부분의 서적에 序文과 跋文이 있고 刊記도 매우 명료한 편이다. 그 외 서지학적 가치가 높은 판본들은 임진왜란 이전에 조선에서 간행된 《新序》⋅《說苑》⋅《唐段小卿酉陽雜俎》⋅《花影集》⋅《玉壺氷》⋅《詳節太平廣記》⋅《剪燈新話句解》⋅《效顰集》⋅《兩山墨談》⋅《三國志通俗演義》 等의 版本으로 일부 판본은 현존하는 中國版보다도 더 이른 판본도 존재한다.

    영어초록

    Classical Chinese novels published in Choseon Dynasty amounts to about 24 species while those of Japanese amounts to about 55 species. Most of these are wen-yan(文言) novels and typically formed in the original text. Initially, the government publication took lead mainly focusing on the “appetite for the new knowledge” and the “edification on customs and education”, however, in the latter stage, it was mainly lead by the public publication focusing more on the “commercial” perspective.
    When examining the publication style in two countries, shi-shuo-xin-yu(世說新語類), jian-deng(剪燈類) and san-guo-zhi-yan-yi(三國志演義) type were preferred in Choseon, while shi-shuo-xin-yu(世說新語類) and romantic types of novel were more popular in Japan. Also, when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ation, Choseon took a variety of ways of the publication such as, publishing in original editions, annotation editions, abbreviation and partial editorial publication, translation editions, etc., while Japan published more of repetition, trifling books and imitation works.
    As for the form of the publication, both countries published mostly on bok-gak-bon(覆刻本), in which engraving the Chinese edition on wood intactly. The publication was started around 1492 in Chosoen, however, it only started 150 years later in Japan, after the Im-Jin War (Japanese invasion in 1592). Among them, those that have a significant meaning in printing value are san-guo-zhi-tong-su-yan-yi(三國志通俗演義) and shi-shuo-xin-yu-bu(世說新語補), in which published in Choseon’s Keum-Sok-Hawl-Ja (a metal printing).
    In terms of the paper quality, Choseon’s publication was mainly made in chu-zhi(楮紙), while, Japan published in he-zhi(和紙).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ation, Japan’s writing form of o-ku-ri-ga-na(送り假名) is rather distinctive. Also, most of Choseon’s publishing editions omit gan-gi(刊記), however, in case of Japan, most of it contains a preface and an epilogue, as well as gan-gi(刊記) in clear and well written manner.
    Other highly valuable bibliography editions are xin-xu(新序)⋅shuo-yuan(說苑)⋅you-yang-za-zu(酉陽雜俎)⋅hua-ying-ji(花影集)⋅yu-hu-bing(玉壺氷)⋅xiang-jie-tai-ping-guang-ji(詳節太平廣記)⋅jian-deng-xin-hua-ju-jie(剪燈新話句解)⋅xiao-pin-ji(效顰集)⋅liang-shan-mo-tan(兩山墨談)⋅san-guo-zhi-tong- su-yan-yi(三國志通俗演義) that were published before the Im-jin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소설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