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星湖先生全集』 간행에 관한 일고찰 (A Study on the Publishing of the Sŏngho-sŏnsaeng-jŏnjip)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7.06
40P 미리보기
『星湖先生全集』 간행에 관한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49권 / 187 ~ 226페이지
    · 저자명 : 강세구

    초록

    1774년 이병휴가 『성호선생문집』을 만든 뒤, 지금까지 『성호선생문집』과 『성호선생전집』 두 본이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성호선생문집』은 1917년 노상직․이병희 등이 경상도 밀양 퇴로리 서고정사에서 간행하였고, 『성호선생전집』은 1922년 안희원․김호승 등이 주관하여 역시 밀양 사포리 모렴당에서 간행하였다.
    이병휴가 편찬한 『성호선생문집』은 1890년 이남규가 축소 재편하였는데, 이것을 대본으로 하여 퇴로리에서 『성호선생문집』을 간행하였던 것이다. 축소 간행한 가장 큰 이유는 간행 경비를 줄이기 위한 것이었다. 따라서 퇴로리에서 간행된 『성호선생문집』은 이병휴가 편찬한 『성호선생문집』의 내용이 크게 삭제되어 간행되었다.
    그런데 안희원은 이전부터 원칙적으로 이병휴가 편찬한 문집을 원본 그대로 간행할 것을 주장해 왔다. 그러다가 1917년 『성호선생문집』이 간행되자 불만을 품고, 이병휴가 만든 성호문집을 모본으로 하여 『성호선생전집』 간행에 착수하였다. 약간의 삭제와 보완을 가하여 5년 뒤 1922년 완성하였다. 따라서 퇴로리에서 간행한 『성호선생문집』과 비교하여 이병휴가 편찬한 『성호선생문집』 내용에 훨씬 충실하다.
    이와 같이 『성호선생문집』과 『성호선생전집』은 간행 원고본이 다르기 때문에 분량에 있어서 큰 차이가 난다. 따라서 사료적 가치와 이용에 있어, 『성호선생전집』이 나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성호선생전집』도 완전하게 이병휴의 『성호선생문집』을 간행한 것이 아니고 역시 약간의 삭제와 보완이 가해졌기 때문에 완전하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두 간행 문집은 1774년 이병휴가 편찬한 원본 『성호선생문집』을 능가할 수 없다는 아쉬움을 면할 수 없다. 앞으로 간행에서 빠진 성호의 글을 모두 수집하여 새로운 성호 문집의 정본화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In 1774, since Lee, Byŏng-hyu(李秉休) has made Sŏngho-sŏnsaeng-munjip[湖先生文集, the collection of Sŏngho, Leeik(李瀷)], Both Sŏngho-sŏnsaeng-munjip and Sŏngho-sŏnsaeng-jŏnjip(星湖先生全集) were published as woodcuts. Sŏngho-sŏnsaeng-munjip was published by Noh, Sang-jik(盧相稷) and Lee, Beong-hee(李炳憙), and so on at Sŏgojŏngsa(西皐精舍) which was located in T'oerori(退老里), Milyang(密陽) in 1917, and Sŏngho-sŏnsaeng-jŏnjip by Ahn, Hŭi-wŏn(安禧遠) and Kim, Ho-sŭng(金鎬承), and so on at Moryŏmdang(慕濂堂) which was located in Sap'ori(沙浦里), Milyang in 1922.
    Sŏngho-sŏnsaeng-munjip which was compiled by Lee, Beong-hyu was shortened again by Lee, Nam-kyu(李南珪) in 1890, based on this, he published Sŏngho-sŏnsaeng-munjip in Sŏgojŏngsa, Tero-ri. The fundamental reason for making brief was to reduce expenses. Therefore, many parts of Sŏngho- sŏnsaeng-munjip, compiled by Lee, Beong-hyu, were deleted in Sŏngho- sŏnsaeng-munjip that was published at Tero-ri.
    However, An, Hŭi-wŏn and Kim, Ho-sŭng had insisted on publishing with the original collection of Sŏngho-sŏnsaeng-munjip, compiled by Lee, Byŏng-hyu. As soon as Sŏngho-sŏnsaeng-munjip was published in Tero-ri, they had dissatisfaction of it. they immediately started to publish Sŏngho-sŏnsaeng-jŏnjip based on the original collection. Sŏngho-sŏnsaeng- munjip compiled by Lee, Beong-hyu was used as a manuscript of publication. Five years later, they finally finished publishing Sŏngho-sŏnsaeng-jŏnjip in 1922 with some deletion and modifications. Thus, comparing with Sŏngho- sŏnsaeng-munjip published in Tero-ri, it is much more substantial in contents of Sŏngho-sŏnsaeng-munjip compiled by Lee, Beong-hyu.
    Likewise,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Sŏngho-sŏnsaeng-munjip and Sŏngho-sŏnsaeng-jŏnjip in quantity because of shortening. Sŏngho-sŏnsaeng- jŏnjip is more valuable in terms of historical materials and uses. But It is cannot be recognized as a complete publication of Sŏngho-sŏnsaeng-munjip because it was applied to some deletions and modifications. Therefore, we can not avoid feeling sorry about that two-published-collections could not surpass the original collection, compiled by Lee, Beong-hyu in 1774. I hope to collect all of the missing texts from the publishing, and then to make a new version of the original tex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