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인칭 시점 딱지본 대중소설 연구 (A Study on Six‐pence Pop Novels Described from the First‐person Perspectiv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0.09
30P 미리보기
일인칭 시점 딱지본 대중소설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35호 / 37 ~ 66페이지
    · 저자명 : 배정상

    초록

    본 연구는 딱지본 대중소설 중 일인칭 서술 시점이 활용된 작품들을 소개하고, 식민지 서적출판문화의 장 안에서 이들 작품이 지닌 특징과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일반적으로 일인칭 시점은 1920년대 이후 유학생 지식인들이 주로 잡지에 게재된 단편소설을 통해 실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일인칭 서술 시점은 번역 및 번안의 경로를 통해 더 이른 시기부터 실험되었으며, 특히 『(신소설)형월』(1915)의 일인칭 시점 서술은 번역 및 번안이 아닌 신소설의 서사 전통을 계승한 가운데 이루어진 것이라 주목할 만하다.
    1920년대 이후 몇몇 딱지본 대중소설은 소위 고급문예의 장에서 적극 활용되던 일인칭 시점의 서술 방식을 수용하여 이를 대량생산의 장으로 확산시키고자 했다. 특히, 『(가정소설)해혹』, 『(신소설)표랑의 루』, 『(애정소설)애루몽』은 일인칭 시점의 서술 방식을 딱지본 대중소설에서 실험한 보기 드문 사례에 해당한다. 이들 작품이 일인칭 시점 서술을 통해 각기 다른 의미와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예컨대, 『(가정소설)해혹』은 도덕과 윤리로 포장된 주인공의 호의가 실제로는 지루한 일상에 새로운 자극을 원하는 성적인 욕망을 품고 있었음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으며, 『(신소설)표랑의 루』는 화자인 ‘나’를 실제 작가와 일치시켜 독자로 하여금 화자의 내면 고백과 소설 이야기에 더욱 몰입하도록 기능한다. 『(애정소설)애루몽』의 경우, 다양한 직업을 전전하는 룸펜 지식인의 고뇌와 좌절을 통해 제국주의 침탈의 역사적 맥락이나 자본주의 체제의 냉혹함을 날카롭게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딱지본 대중소설의 독자에게 고급문예의 내용과 형식을 확산시키는 한편, 소위 고급문예의 독자를 딱지본 대중소설의 장으로 끌어 들이기 위한 시도였다. 이처럼, 일인칭 시점 딱지본 대중소설은 식민지 서적출판문화의 다층적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흥미로운 사례가 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works in which the first person narrative view is utilized among six‐pence pop novels, and to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and meaning within the ground of colony book publishing culture. In general, it is known that the first person view was experimented by intellectuals with experience of studying abroad since the 1920s, mainly through short stories published in magazines. However, the viewpoint of first person narrative was experimented from an earlier period through the path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and it is noteworthy that the first person view narrative in a new novel, Hyeongwol (1915) was written while inheriting the narrative tradition of the new novel, not translation or adaptation.
    Since the 1920s, several six‐pence pop novels tried to expand the narrative method of first person view, which was actively used in the so‐called high‐level literary field, into the field of mass production. In particular, “(family novel) Haeok”, “(new novel) Ru of Pyorang”, and “(affectionate novel) Aerumong” correspond to rare cases where the narrative of first person view was experimented in a six‐pence pop novel. It is noteworthy that these works generate different meanings and effects through the narrative of the first person view. For instance, “(family novel) Haeok” effectively reveals that the protagonist's favor, wrapped in morality and ethics, actually had a sexual desire for new stimulation in boring daily life. “(New novel) Ru of Pyorang” functions to make readers more immersed in the narrator's inner confession and novel story by matching the speaker 'I' with the actual author. In the case of “(affectionate novel) Aerumong”, through the agony and frustration of the lumpen intellectuals who have passed down various professions,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imperial invasion and the harshness of the capitalist system are sharply revealed.
    This attempt spreads the content and form of high‐level literature to readers of the six‐pence pop novels whereas it was an attempt to draw the so‐called high‐level literary readers into the ground of the six‐pence pop novels. As such, the six‐pence pop novel from the first person perspective is an interesting example for understanding the multi‐layered nature of colony book publishing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