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日並皇子殯宮挽歌 연구 (A Study on the Elegy at the Prince Hinamisi’s Mortua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7.06
26P 미리보기
日並皇子殯宮挽歌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46호 / 43 ~ 68페이지
    · 저자명 : 윤영수

    초록

    『萬葉集』의 柿本人麻呂의 <日並皇子挽歌>는 일본최초의 공적인 殯宮挽歌 라는 문학사적 意義를 갖는 작품으로서, 長歌 전반부는 신화적 세계관에 입각한皇統찬미, 長歌 후반부는 황자의 죽음에 의한 상황이 묘사되어 있고, 反歌에서는 시간경과에 따른 현실인식과 서정의 심화라는 詩的 구조를 이루면서 황자의죽음을 애도하고 있다.
    장가 전반의 훈고 해석상의 문제는 人麻呂가 인지하고 있었던 신화가 어떠한것인지 정확히 밝혀져야만 해결될 수 있는 문제로서, 어떻게 읽고 해석해도 작품이해에는 큰 문제는 없다. 다만, 人麻呂의 작품 속에 記紀신화나 祝詞와 같은 前代로부터 내려오는 전통적 詞章의 영향은 인정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人麻 呂는 傳統歌人이면서도 창조적인 詩人이다.
    <高照らす 日の皇子>는 天武천황 또는 日並황자 어느 한 사람만을 염두에 둔표현이 아니다. 두 사람을 同一視한 人麻呂의 詩的 표현이다. 日並황자는 父親 인 天武천황과 마찬가지로 飛鳥淨御原宮에서 천황으로 즉위하여 천하를 다스려야할 황태자였고, 天孫降臨에 의해 시작된 皇統譜를 계승해야할 인물이었다.
    이러한 궁정인들의 마음과 인식을 충분히 알고 있었던 人麻呂가 天孫과 연결되면서도 天武와 日並을 동시에 연상할 수 있는 시적 표현으로서 <高照らす 日の 皇子>라는 전통적인 語句를 채택한 것이다. 따라서 <日の皇子>를 天孫과 연결시키는 이러한 이중, 삼중의 묘사는 역대의 모든 천황은 천상에서 지상으로 강림한 天孫 니니기노미코토와 연결된 권위 있는 거룩한 존재로서 끊임없이 계승되어야 한다는 天孫降臨神話 자체가 갖는 意義를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人麻呂는 황실과 궁정 사람들의 이러한 소망과 심정을 자신의 뛰어난 시적재능으로 간결하면서도 압축적인 방법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人麻呂의 작품에 서술된 신화와 記紀신화의 미묘한 차이는 당시 체계화 되지못한 신화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것은 人麻呂의 신화에 대한 지식과 이미지를자신의 詩的 재능과 창조성을 문학적으로 표현한 것이었기에 생겨난 차이점이다. 또한 人麻呂는 자신만이 알고 있는 신화 또는 다른 系統의 신화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形象化한 결과, 이러한 차이점이 발생했다고도 생각된다. 人麻呂의문학사적 위치가 구승문학에서 기록문학으로 넘어오는 過渡期에 위치한 歌人이라는 점에서 人麻呂가 認知하고 있었던 신화는 記紀신화의 내용과 동일한 것이었다고는 볼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人麻呂의 <日並皇子挽歌>는 殯宮挽歌의樣相뿐만 아니라, 그 당시 궁정사회에 전해진 신화가 어떠한가를 보여주는 작품이고, 萬葉人들의 생활과 신앙 속에 녹아 살아있던 신화의 片鱗을 엿볼 수 있는작품이라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As a work that has the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of Japan’s first public Elegy at Mortuary, Manyoshu’s <The Elegy of the Prince Hinamisi> written by Kakinomoto Hitomaro, praises the imperial line based on a mythical worldview in the first half of the long poem, describes the situation caused by the death of the emperor’s son in the later half of the long poem, and mourns the death of the emperor’s son while achieving a poetic structure of recognition of reality over time and lyrical deepening in the short poem.
    The problem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exposition throughout the long poem can be solved only if the myth that Hitomaro was aware of is revealed. As such, no matter how you read and interpret the poem, there is no problem understanding the work. However, in the work of Hitomaro, the influence of the traditional poetic style coming from former ages such as Kiki mythology or Norito(a written ritual prayer) can be acknowledged. In this respect, Hitomaro is a traditional poet and a creative poet.
    <Takaterasu Hinomiko Prince> is not an expression with only one person in mind, Emperor Tenmu or Prince Hinamisi. It is a poetic expression of Hitomaro who identifies those two people. Prince Hinaminsi, like his father Emperor Tenmu, is the prince of the emperor who would crowned as emperor at Asukakiyomihara Palace, would rule the world, and would inherit the Imperial line Genealogy begun by Advent of Heaven’s grandson.
    Hitomaro, who was fully aware of the minds and perceptions of these court people, adopted the traditional phrase, <Takaterasu Hinomiko Prince> as a poetic expression that was linked Heaven’s grandson, and could be associated with Tenmu and Hinamisi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is double, triplet depiction linking <Hinomoko Prince> to Heaven’s grandson reflects the significance of the mythology of Advent of Heaven’s grandson that all emperors must be inherited ceaselessly as a precious holy beings connected with Heaven’s grandson Niniginomikoto descending from heaven to earth. Hitomaro expressed the hopes and feelings of the imperial court and court people in a concise yet compact way with his excellent poetic talent.
    The subtle difference between the myths described in Hitomaro’s work and Kiki mythology shows that myths were not organized until that time. The difference was occurred because the knowledge and image of Hitomaro’s myth was literally expressed based on his poetic talent and creativity. In addition, Hitomaro formed this work based on his knowledge of myths that he only knew or on knowledge of myths of other systems, and it seems that such difference occurred as a result. In the sense that Hitomaro’s position of literary history is a poet in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oral literature to documentary literature, the myths that Hitomaro recognized were not the same as those of Kiki mythology.
    In this regard, Hitomaro’s <The Elegy of the Prince Hinamisi> shows not only the aspects of the Elegy at Mortuary, but also what myths were conveyed to court society at that time. It is a work that shows a part of the myth that was alive in the life and faith of the People of Manyoshu’s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