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기와 일기문학의 경계 -『도사 일기』와 『가게로 일기』를 중심으로 - (Boundaries of Diaries and Diary Literature : Focusing on “Tosanikki” and “Kagerounikki”)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9.08
21P 미리보기
일기와 일기문학의 경계 -『도사 일기』와 『가게로 일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연구 / 110권 / 229 ~ 249페이지
    · 저자명 : 이미숙

    초록

    本稿は『土佐日記』と『蜻蛉日記』における現在時点の時間表現、その中でも「今日」という「今」を表す時間表現に注目し、現在時点を表す時間表現が日付と一緒に用いられた場合その用いられ方の様相を具体的に分析し、日記と日記文学の弁別性あるいは境界について考えてみた論である。なお、従来日記文学の嚆矢として認識されてきた『土佐日記』が日記文学として見なされることができるのかについても考えてみた。 従来の研究において、平安時代の日記文学は日次の記録ではない「回想の文学」、「作中話者の独自的な人生認識の表出」という二つの要素を併せ持つ文学様式であると言われてきた。が、実際日記文学の中には現在時点の時間表現が多く用いられており、日付の表記もまた日次の記と変わらない用いられ方の作品もある。作品の内実ともいうべき作中話者の人生認識の表出に関しても再考すべき点があるように思われる。 先ず、日記文学の嚆矢と言われる『土佐日記』には現在時点の時間表現が四十八例確認できる。そのうち二十八例の「今日」という時間表現に注目したとき、その用いられ方は「日付+今日+その日の出来事」の順になっている。また、五十五日間にわたる旅の記録も一日も欠かさず記されており、日次の記と全く同じである。作中話者の内面の吐露を代表する例として挙げられる「亡児の追懐」もまた作品全体を貫く主題にはなっていないように考えられる。要するに『土佐日記』は日次の記という男性の漢文日記をそのまま踏襲する、漢文日記を仮名で翻訳したような「日次の仮名旅日記」として読み取られ、後続する女性たちの日記文学とは別の地点に位置しているように考えられる。 これに対し、序文から回想の文学であることを書き出している『蜻蛉日記』にも現在時点の時間表現は多く用いられており、「今日」という用例は六十七例確認できる。が、日付と「今日」という表現の用いられ方に注目したとき、『土佐日記』とは異なって日付は独立的に用いられず文体の散文性を高めるための工夫がなされている。なお、道綱母という家の女である作中話者が自分の結婚生活の経緯とその中における自分の内面の苦悩を形象化するという日記執筆の目的は全巻にわたって達成されている。 要するに、『土佐日記』は書き手の内面がある程度形象化されている男の私的な漢文日記及び女の公的な仮名日記と、『蜻蛉日記』に代表される女性日記文学との境界に位置し、その橋渡しとして機能していると言えよう。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urrent time representation of “Tosanikki” and “Kagerounikki”, and of which the time representation of "today(今日)" represents "now(今)", and the time representation of the present time is used together with the date. The aspect of the usage was analyzed concretely, and it considered about the distinctiveness or boundary of diary and diary literature. In addition, I also considered whether “Tosanikki”,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the beginning of the diary literature, can be regarded as diary literature.
    In conventional research, it is said that the Heian period diary literature is a literary style that combines the two elements of "retrospective literature" which is not a daily record, and "expression of the author's unique life recognition". It has been done. However, in fact, in the diary literature, the current time expression is often used, and there are also works of the date notation that are not different from the daily notes. It seems that there is a point to be reconsidered regarding the expression of the life recognition of the working speaker who should be called the intimate fact of the work.
    As a result of consideration,, “Tosaniikki” is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man's private chinese language diary and the public kana diary of women whose internals of the author have been reshaped to a certain extent, and women's diary literature represented by “Kagerounikki”, Seems to function as a brid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