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정한의 <인가지>를 둘러싼 친일 담론 연구 (A Study on discourses about pro - Japanese play written by Kim, Jeong - han - Focusing on the process of recall work and trace of pro - Japanese collaborati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6.11
29P 미리보기
김정한의 &lt;인가지&gt;를 둘러싼 친일 담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남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남어문논집 / 1권 / 42호 / 219 ~ 247페이지
    · 저자명 : 정봉석

    초록

    1943년 9월 『춘추』에 발표된 이후 사장되었던 김정한의 희곡 <인가지>는 1966년 임종국의 『친일문학론』에서 처음으로 거명되고, 1989년 양승국이 엮은 『한국근대희곡작품자료집』에서 텍스트의 전문이 영인본으로 공개된다. 하지만 <인가지>의 친일극적 성격이 본격적으로 문단과 학계에서 공론화되어진 것은 2002년 박태일의 논문 「김정한 희곡 <인가지> 연구」가 발표되면서부터이다. 이 글은 <인가지>를 둘러싸고 전개된 친일극 논쟁을 분석하기 위하여 작품이 학계에 소환되어진 일련의 과정을 우선적으로 정리하였다.
    본론에서는 <인가지>를 둘러싼 김정한의 부일 행적을 이른바 ‘절필 담론’과 ‘피신 담론’을 중심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김정한은 조선어 교육이 금지되던 1940년부터 1966년 <모래톱 이야기>를 발표할 때까지 절필하였음을 밝혀왔다. 하지만 자전기록들과는 달리 1943년에 친일극 <인가지>를 발표하였고 광복기에는 좌익 계열의 소설들을 발표하였던 사실들을 비추어볼 때 그의 절필 담론이 허구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일제 말기에 식민지 지배기관이었던 ‘경남면포조합’에서 근무하였던 사실에서 <인가지>의 창작이 일제에 협력하였던 시기의 한 증좌임도 확인하였다.
    피신 담론에서는 김정한이 해방 직전에 ‘불령선인’으로 지목되어 피신하였던 행적을 밝히고 있는데, 이 또한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지점이 있으며, 그 진술의 일관성과 신빙성에도 의문이 제기되었다. 그리고 광복을 맞이하는 심경을 표현하는 대목에서도 모순적인 태도가 발견되었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동안 형성된 민족주의적 저항 이미지와 우국지사의 이미지가 사실은 김정한이 스스로를 분식한 결과였음을 밝힘과 동시에, 일제 말에는 친일로, 광복기에는 좌익으로, 정부수립 후에는 보도연맹으로 세 번의 전향을 경험하게 된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인가지>는 김정한이 윤색하고자 하였던 일제 부역 행적의 정점에 놓여있는 상징적 표상이다. 한동안 <인가지>의 텍스트 독법과 해석 문제를 둘러싼 찬반 논의가 이루어졌으나 최근 발전적으로 계승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2부에서는 그 해석에 따른 쟁점들을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비판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September 1943, <Ingaji(Neighbor Story)> which was written by Kim, Jeong-han died out after being published in <Chunchu>. In 1966, <Ingaji> was mentioned firstly in Im, Jong-Gook’s <Pro-Japanese Literary Theory>, and its full text was recovered through <Korean Modern Drama Sourcebook> edited by Yang, Seung-Gook in 1989. However, <Ingaji>’s pro-Japanese play characteristics became an official issue in the literary and academic world in Park, Tae-Il’s thesis, 「Study in pro-Japanese play “인가지” written by Kim, Jeong-han」 in 2002. This writing preferentially arranged a series of process of <Ingaji> being recalled to the academic world to analyze the arguments of pro-Japanese play surrounding <Ingaji>.
    This thesis tried to explain Kim’s trace of Japanophilism (pro-Japanese collaborationism) in <Ingaji> with two discourses: 1) giving up writing and 2) hiding from arrest. Kim, Jeong-han announced that he gave up writing from 1940 to 1966, from the time when teaching Korean was banned by Japan and to the time when he wrote <Moraetop(shoal) Story>. However, his discourse of giving up writing was a false claim according to the fact that he published pro-Japanese play, <Ingaji> in 1943, and he also published left-leaning novels in contrast to his autobiographical records. Furthermore, he worked at ‘Kyoengnam Textile Union’ which was an institution of colonial exploitation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t means that his creation of <Ingaji> is evidence which shows that he collaborated to Japan consistently.
    At the same time, Kim wrote about his trace of escaping from arrest. He explained that he was pointed out as 不逞鮮人(ふていせんじん, Huteisenjin)from Japan right before the independence of Korea which made hide from Japan. It has some less convincing explanations, however, and questions are being asked regarding the consistency and reliability. Also, his self-contradicting attitudes were found in the passage that he expresses his feelings when Korea became independent. Through the analysis, this thesis could reveal that his images of nationalistic defiance and patriotism were made-up by himself.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Kim had turned three times into the pro-Japanese collaboration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left-wing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Bodo-League after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Thus <Ingaji> is a symbolic representation which is at the peak of pro-Japanese behavior that Kim tried to embellish. <Ingaji>’s pros and cons about the way of reading and interpretation have been debated for a while, but it couldn’t be developed and continued effectively in recent years. In part II, this thesis attempts to demonstrate issues depending on interpretations critically through the analyzing the tex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남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