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 서비스 경험 연구: 발달장애인 의 자립을 위한 커뮤니티 서비스 경험요인 평가 및 전략 제안 (The Experience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he Disabled: Evaluation of Community Service Experience Factors and Proposal of Strategies for Self-reliance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4.07
29P 미리보기
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 서비스 경험 연구: 발달장애인 의 자립을 위한 커뮤니티 서비스 경험요인 평가 및 전략 제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37권 / 3호 / 167 ~ 195페이지
    · 저자명 : 정이랑, 구유리

    초록

    연구배경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의 특성과 삶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립 생활을지원하는 서비스 전략 제안을 위해 인공지능 기술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의 경험구성요인을 도출 및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시나리오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문헌 연구와 사용자 조사 및 경험구성요인 평가로 진행하였다. 먼저 발달장애인 자립과 특성에 대한이론을 고찰하여 구성요인을 도출하였고, 이를 도울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과 커뮤니티 서비스에 필요한 속성을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현장조사 및 디지털 에스노그라피를 통한 사용자 조사에서 이들의 삶의 이해와 맥락적 경험을 반영하여 앞서 이론적 고찰에서 도출한 결과와 종합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립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커뮤니티 서비스에 필요한 경험구성요인 도출 후, Kano 모델을 활용한 설문 조사와Timko 고객만족계수를 활용하여 서비스 경험구성요인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우선 적용이 필요한 요소를분석하여 서비스 개발 방향성을 최종 도출하였으며, 이를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이를 통해 네 가지 서비스디자인 전략이 최종 도출되었다. 첫째, 발달장애 유형별 개인화 UI/UX 설계가 필요하며, 둘째, 발달장애인에게 유용한 상호작용 보조를 위한 필요 기능의 적절한 배치, 셋째, 발달장애인이 스스로 서비스를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행동 유도 체계 지원, 마지막으로 안전과 신뢰 보장을 위한 운영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결론 도출된 전략에 따라 장애 유형과 자립 경험 단계에 따른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인공지능기술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시나리오를 최종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experience componen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based community services that develop strategies to support the independent living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is based on understand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lives and proposes service scenarios based on this.
    Methods This study consisted a literature review, user research, and experience component evaluation. The theory of self-reli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was considered to derive constituent factors, and the attributes necessar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community services that can help with this were derived. In field research and user surveys through digital Ethnography, their understanding of life and contextual experiences were reflected and synthesized with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previous theoretical review. After deriving the experience components necessary for community servic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at support the self- reliance of adult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a survey using the Kano model and a Timko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evaluate the service experience components. Through this, the direction of service development was finally derived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need to be applied first, and this was verifi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Results The study resulted in four key service design strategies. First, personalized user interface and user experience(UI/UX) design for each type of developmental disability is essential. Second, appropriate arrangement of necessary functions to assist interactions is crucial. Third, a behavioral induction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to enable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independently select and decide on services. Fourth, a robust operating system must be established to ensure safety and trust.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derived strategy, a scenario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based community service for the independent living of adult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and the stage of independent living experience was propo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9 오전